||<-2> '''{{{#white {{{+1 수도사}}}[br]修道寺}}}''' || ||<-2> [include(틀:지도, 장소=영천시 신녕면 수도사,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건설'''}}} || [[647년]] || || {{{#white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치산관광길 404[* 치산리 312]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팔공산|팔공산도립공원]] 내에 있는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 [[은해사]]의 말사이다. 최초의 명칭은 금당사(金堂寺)였지만, 이후 수도사(修道寺)로 개칭되었다. 647년에 승려 [[자장(신라)|자장]], [[원효]]가 건설한 이후 1296년, 1805년에 중건했다. [[영천시]] [[신녕면]]에서 올라가는 [[팔공산]] 등산로 인근에 있으며, 주변에 치산폭포가 있어서 많이 찾으며 특히 여름철에 사람이 많이 찾는다. [[영천시]]에서는 이 일대를 치산관광지로 꾸몄다. == 형태 == 영천 수도사의 중심이 되는 전각은 [[관세음보살]]을 모신 원통전이다. 원통전 내에는 관세음보살이 좌상으로 모셔져 있으며, 그 외에는 산신각, 승방 등이 있다. 불상 뒤에는 후불탱화, 지장탱화, 신중탱화가 걸려 있다. == 교통 == 대중교통편은 불편하며, 사실상 자가용이 없다면 가기 어렵다. [[영천시|영천]]에서 출발할 경우 영천 수도사 바로 앞으로 가는 버스는 없으며, [[영천시 시내버스/200번대|영천 버스 271번]]이 그나마 영천 수도사에 가깝게 가지만 이마저도 치산리 정류장에서 하차 후 치산계곡 방향으로 약 1.5km 정도 걸어가야 한다. 거기다가 [[영천시 시내버스/200번대|영천 버스 271번]]의 배차간격이 1일 5회만 운행되기 때문에, 만약 대중교통을 이용할 것이라면 필히 시간표를 미리 검색해서 확인해야 한다. [[http://bis.yc.go.kr/bustime.do|#]] [[경산시|경산]]에서 출발할 경우 [[경산시]] [[하양읍]]에서 [[경산 버스 하양-와촌1#은해사, 신녕, 치산 행|경산 버스 와촌1번]]을 타고 치산관광지종점 정류장에서 하차 후 치산계곡 방향으로 약 1.5km 정도 걸어가야 한다. [[경산 버스 하양-와촌1#은해사, 신녕, 치산 행|경산 버스 와촌1번]]의 배차간격이 1일 3회만 운행되기 때문에, 이 쪽도 필히 시간표를 미리 검색해서 확인해야 한다. 군위 방면의 경우 아예 버스가 없다. 271번을 타고 부산2리 정류장에 내린 다음 백학1리까지 3.2km 정도 걸어야 군위 방면 버스를 탈 수 있다. 와촌-하양 방면의 경우 조금 더 걸어 작은 길인 '신녕요양병원' 정류장에서 탈 수 있다. 자가용의 경우 치산관광지 주차장이 아닌 수도사까지 차를 몰고 갈 수 있으며, 수도사 이후 구간부터는 일반 차량의 출입이 금지된다. === 버스 === * 치산리 (영천 출발) * [[영천시 시내버스/200번대|영천 버스 271]] * 치산관광지종점 (경산 출발) * [[경산 버스 하양-와촌1#은해사, 신녕, 치산 행|경산 버스 와촌1]]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수도사, version=271, paragraph=2.1)] [[분류:영천시]][[분류: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분류:대한불교조계종 말사]][[분류:원효]][[분류:한국의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