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2C3539 20%, #2C3539 80%, #000000)" '''{{{#ffffff {{{-2 しょうじ たろう}}}[br]{{{+1 東海林 太郎}}}[br]쇼지 타로 | Shoji Tar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쇼지 타로.jpg|width=100%]]}}} || ||<|2> '''출생''' ||[[1898년]] [[12월 11일]] || ||[[아키타현]] [[아키타시]] || ||<|2> '''사망''' ||[[1972년]] [[10월 4일]] || ||[[도쿄도]] [[타치카와시]] 타치카와 중앙병원|| || '''학력''' ||[[와세다대학]] {{{-2 (경제학 / 학사)}}} || || '''데뷔''' ||[[1931년]] 우지 차따기 노래(宇治茶摘唄) || || '''활동 기간''' ||[[1931년]] ~ [[1972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가수]]이며 [[아키타현]] [[아키타시]] 출신이다. == 생애 == === 가수 데뷔 전 === 양친은 [[남만주철도]]의 직원으로 [[만주]]에 있었기에 조부모 밑에서 자랐다. 장성하여 [[와세다대학]] 경제학과에 진학하였고, 졸업하고 나서 부모처럼 만주에 건너가 남만주철도의 직원으로 일했다. 그러나 와세다대학 재학 시절에 하필이면 마르크스 경제학을 공부했기에 사상 관계로 좌천당하고 이에 낙담하여 귀국한다. 그 뒤 모교 앞에 해당하는 [[도쿄]] 타카다노바바에서 중국집을 개업했고, 당시 일본에서는 교자 붐이 일었기에 그의 생활은 꽤나 윤택했다고 한다. === 가수 데뷔 후 === 그러나 1931년 우지 차따기 노래(宇治茶摘唄)를 취입하여 가수로 데뷔, 이후 여립도중(旅笠道中) 등의 히트곡을 내며 전전(戦前)을 대표하는 가수가 된다. 하지만 중일전쟁이 발발한 1937년부터 보리와 병대(麦と兵隊), 상해함락만만세(上海陥落万々歳), 칭다오행진곡(青島行進曲), [[전우의 유골을 안고]](戦友の遺骨を抱いて) 등 주로 [[중일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관한 전시 선전 가요를 부르는 등 일제의 침략전쟁에 적극적으로 찬동하고 이를 선전한 가수가 된다. 쇼지 타로가 와세다 대학 학사의 고학력자, 즉 지식인이기 때문에 쇼지 타로에 대해서는 「나는 무식했으니까 나라에서 시키는 건 무조건 옳은 줄 알고 그랬습니다」 같은 변명이나 옹호는 불가능하다. 결국 일제 패망 후 주일미군에게 감시받는 생활을 한다. 이후 1964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일본가수협회 초대 회장을 맡았고, 1965년 [[자수포장]]이 수훈되었다. [[분류:일본 남가수]][[분류:아키타시 출신 인물]][[분류:1898년 출생]][[분류:1972년 사망]][[분류:자수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