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링크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鎖龍蛇-スカルデッ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쇄룡사-스컬데드, 일어판 명칭=鎖龍蛇(さりゅうじゃ)-スカルデット, 영어판 명칭=Saryuja Skull Dread, 레벨=4, 속성=땅,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800, link1=, link2=, link3=, link8=, 소재=카드명이 다른 몬스터 2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는\, 이 카드의 링크 소재로 한 몬스터의 수에 따라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효과2=●2장 이상: 이 카드의 링크 앞에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300 올린다., 효과3=●3장 이상: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4=●4장: 이 카드가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4장 드로우하고\, 그 후 패를 3장 골라 좋아하는 순서대로 덱의 아래로 되돌린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듀얼=제한 카드)] [[극한의 힘]]에서 등장한 OCG 최초의 링크 4 몬스터로, 드디어 나온 하단 마커 3개짜리 범용 링크 몬스터다. 이전에 등장한 하단 링크 3개짜리 몬스터는 특정 카드군에서만 쓸 수 있거나, [[토폴로직 폭탄 드래곤|마커 앞에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면 파괴하는]] 카드들뿐이었으나, 이 카드는 카드명이 다르기만 하면 토큰이든 뭐든 소재로 쓸 수 있고 하단 링크에 제약은 커녕 오히려 링크 앞의 몬스터가 나오면 능력치를 올려주는 버프 효과까지 있다. 소환 조건도 굉장히 쉬워서 그냥 [[희생양(유희왕)|희생양]] 1장 발동하고 나온 양 토큰을 2장씩 써서 아무 링크 2 몬스터 2장만 뽑으면 소환 조건이 만족된다. 또는 양 토큰 3장으로 [[링크 스파이더]]와 [[시큐리티 드래곤]]을 1장씩 뽑아 시큐리티 드래곤의 효과로 상대 몬스터 1장을 치운 후 링크 스파이더 + 시큐리티 드래곤 + 양 토큰으로 불러내면 곧바로 패에서 새로운 몬스터를 전개해 그곳이 이 카드의 링크 앞이라면 소소한 공격력 상승도 해줄 수 있다. 효과는 링크 소재로 한 몬스터의 수에 따라 발동하는 효과들로, ~장 이상이라 4장을 썼다면 앞의 2, 3장 이상 썼을 때의 효과도 전부 쓸 수 있다.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링크 소환했을 때의 얘기고, 링크 소환 이외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을 한다면 효과를 못 쓴다. 소재가 2장 이상이라면 링크 앞에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이 될 때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과 수비력을 300 올려주기에 소소하게 전투에 도움이 되며, 이 카드도 2800이라는 준수한 공격력을 보유하고 있기에 충분히 전투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소재가 3장 이상이라면 1턴에 1번 패에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전개 효과로 링크 앞에 소환해 능력치를 올릴 수도 있고 새로운 엑스트라 덱 몬스터의 소환에 쓸 소재로도 쓸 수 있다. 소재가 4장이라면 사기적인 패 순환이 된다. 4장을 뽑고 그중에 3장이 아닌 다른 패까지 포함되므로 완벽한 패를 구축할 수 있다.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출시 이후, [[BF-농그림자의 고우후우]] 1장으로 일소권 없이 소재 4장 먹은 이 카드를 소환할 수 있었다. 1.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없을 경우 고우후우 특수 소환 1. 고우후우의 효과로 농그림자 토큰 2장 특수 소환 1. 농그림자 토큰+고우후우로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링크 소환 1. 하리파이버의 효과로 덱에서 [[그로우업 벌브]] 특수 소환 1. 그로우업 벌브로 [[링크리보]] 링크 소환 1. 묘지에서 그로우업 벌브 특수 소환 1. 그로우업 벌브+농그림자 토큰+링크리보+하리파이버로 쇄룡사-스컬데드 링크 소환 이후 고우후우와 그로우업 벌브는 금지됐다. 이외에도 [[토치 골렘]] 기본 콤보 중 [[아카식 매지션]]+[[시큐리티 드래곤]]+[[링크리보]]+토치 토큰으로 4소재 충족이 가능하다. 결국 이쪽도 토치 골렘이 금지당했다. 그리고 [[여섯 무사]] 덱+[[다이가스타 에메랄]]+[[엑조디아]]에 이 카드를 섞고 [[여섯 무의 문]] 2장만 깔리면 진 여섯 무사-키잔과 여섯 무사의 사범을 계속 돌려써서 다이가스타 에메랄과 이 카드를 계속 소환해 무한 드로우 콤보가 성립돼 엑조디아로 게임을 끝내거나 상대가 [[증식의 G]]를 쓴 상황이라면 덱 파괴로 게임을 끝낼 수도 있다. 쇄룡사가 제한 카드가 된 후엔 나머지 2장의 자리에 [[바렐로드 드래곤]] 같이 범용성 높은 링크 몬스터로 채워주고 그걸로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키잔과 사범을 문으로 서치해 특수 소환한 후 키잔 2장으로 다이가스타 에메랄 엑시즈 소환, 다이가스타 에메랄로 몬스터 3장을 덱으로 되돌려서 드로우한 후 다시 키잔 서치 및 특수 소환, 다시 이 카드를 링크 소환할 때 효과 쓴 다이가스타 에메랄과 그 링크 몬스터, 키잔, 사범으로 이 카드 링크 소환하고 효과로 4장 드로우하고 3장 덱으로 되돌리고 여섯 무의 문으로 키잔, 사범을 가져온 후 특수 소환, 키잔으로 소환한 다이가스타 에메랄로 다시 되돌리고 드로우를 반복하면 된다. 여섯 무의 문이 2020년 4월에 제한 카드가 된 후엔 쓰기 어려워졌다. 여러 효과로 강력한 성능을 자랑했기에 OCG에선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19년 10월|2019년 10월]]에 '''제한''' 카드가 되었다. 11기에서는 쇄룡사를 활용했던 대량 전개덱들이 대거 사장되었기에 12기를 시작하는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23년 4월|2023년 4월]]에는 '''준제한'''으로,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23년 7월|2023년 7월]]에는 '''무제한'''으로 완화되었다.[* 다만 남은 전개덱에선 여전히 잘 쓰였다. 7월 금제 이전의 [[초중무사]]는 [[성견야수 가리스]] 원턴킬을 위해 서치가 어려운 가리스를 쇄룡사로 2번 멀리건해 찾는 방식으로 사용하였으며,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선 땅속성이라 [[봄화정]]과 충돌하지 않아 [[아다마시아]]가 [[초융합]] 케어로 내 턴에 [[파슬 다이너 파키세팔로]]를 특수 소환시켜놓고 엔드하기 위해 채용한다.] 쇠사슬에 꽁꽁 묶인 걸 보아 원래는 봉인됐던 것으로 추정되며, 전반적으로 사악한 느낌이 든다. 또한 이름에 뱀(蛇)이 들어가 있어서 그런지 뱀을 어느 정도 참고한 듯, 입을 보면 아래턱이 뱀처럼 2갈래로 갈라졌으며, 목 부분도 [[코브라]]를 연상케 한다. 이 카드가 탄생한 경위를 설명하는 함정 카드 [[사룡의 가쇄]]가 나왔다.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극한의 힘]] || EXFO-KR048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얼티밋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극한의 힘|EXTREME FORCE]] || EXFO-JP048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얼티밋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극한의 힘|Extreme Force]] || EXFO-EN048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8 Mega-Tin Mega Pack || MP18-EN202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Duel Devastator || DUDE-EN026 || [[울트라 레어]] || 미국 || || [[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