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손원평}}}[br]孫元平 | Son Won-pyung''' || ||<-2> [[파일:손원평2020.jpg|width=100%]] || ||<|2> '''출생''' ||[[1979년]] [[4월 21일]] ([age(1979-04-21)]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 '''본관''' ||[[밀양 손씨]] || || '''종교''' ||[[천주교]][* 아버지 [[손학규]]는 [[개신교]] 신자다.] || || '''학력''' ||[[서강대학교]] {{{-2 (사회학 · 철학 / 학사)}}} || || '''가족''' ||아버지 [[손학규]], 어머니 이윤영, 언니 손원정[*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출신 연극연출가, 드라마투르그, 번역가. 현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대학 교수. 독특하게도 두 자매가 모두 [[서강대]] 출신이다.]|| || '''데뷔''' ||[[2005년]] <인간적으로 정이 안 가는 인간>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영화 감독]]. == 상세 == 1979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강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철학]]은 복수전공 했다.] 한국영화아카데미 영화과에서 영화연출을 전공했다. 2001년 《[[씨네21]]》 영화평론상 우수상을 수상하며 영화평론가로 데뷔했고, 이후 《인간적으로 정이 안 가는 인간》(2005) 《너의 의미》(2007) 등의 단편영화를 연출했다. 2017년 장편소설 《[[아몬드(소설)|아몬드]]》로 제10회 창비청소년문학상을 수상하며 소설가로 등단했다. 2020년에는 《[[침입자(2020)|침입자]]》로 장편 영화 감독으로도 데뷔했다. == 저서 == * '''[[아몬드(소설)|아몬드]]''' (2017) - 손원평 최대의 히트작. * 서른의 반격 (2017) * 4월의 눈 (2018) * 프리즘 (2020) * 몬스터: 한낮의 그림자 (2020) * 두 번째 엔딩 중 상자 속의 남자 (2021) - 손원평을 비롯해 [[구병모]], [[김려령]], 김중미, 배미주, 백온유, 이현, 이희영이 쓴 소설이다. 작가의 유명한 작품의 두 번째 엔딩을 그린 것이다. * 타인의 집 (2021) * [[위풍당당 여우 꼬리]] (2021, 2022) * 튜브 (2022) == 연출 영화 == * 인간적으로 정이 안 가는 인간 (2005) * 숏!숏!숏! (2007) * 너의 의미 (2007) * 좋은 이웃 (2011) * 두 유 리멤버 미 3D (2012) * [[침입자(2020)|침입자]] (2020) == 수상 내역 == * 2001 제6회 [[씨네21]] 영화평론상 * 2005 제4회 [[미쟝센 단편영화제]] 심사위원특별상 * 2005 제7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우수상 * 2006 제3회 [[과학기술창작문예]] 공모 시나리오 시놉시스 부문 * 2016 제10회 창비청소년문학상 * 2017 제5회 [[제주4.3평화문학상]] 소설 부문 * 2020 일본 [[서점 대상]] 번역소설부문 == 둘러보기 == [include(틀:손학규)] [[분류:한국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한국의 정치인 자녀]][[분류:밀양 손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79년 출생]][[분류:2005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서강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