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켓몬 기술, 노말=, 변화=, 파일=9세대 손가락흔들기.jpg, 한칭=손가락흔들기, 일칭=ゆびをふる, 영칭=Metronome, 위력=-, 명중=-, PP=10, 효과=손가락을 흔들어 자신의 뇌를 자극해서 모든 기술 중 어느 하나를 날린다.)] [목차] == 소개 == [[포켓몬스터]]의 [[포켓몬스터/기술|기술]]로 1세대 [[기술머신]] 35번, 8세대 [[기술레코드]] 14번, 9세대 [[기술머신/9세대|기술머신]] 80번이다. 대표적으로 [[픽시(포켓몬스터)|삐삐]]나 [[토게피]]같이 작고 귀여운 포켓몬들이 사용하는 걸로 유명하다.[* 물론 실제로 배울 수 있는 포켓몬들은 아주 많고, 그 중 대다수는 작고 귀여운 것이랑 거리가 멀다. 예를 들어 [[팬텀(포켓몬스터)|팬텀]], [[괴력몬]] 등.] 작을 때 배우던 포켓몬이 진화해서 계속 쓰기도 한다. '''랜덤으로 아무 기술이나 나가는 희대의 도박기'''로, 사용할 시 게임 내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기술 중 하나를 시전한다. 안 나가는 기술은 페이지 하단에 기술되어 있다. 위력과 효과 등은 전부 이걸 써서 나온 기술에 의존한다. == 효과 == 이걸 써서 나가는 기술의 제한은 일부 특이한 기술을 제외하면 거의 없으며, 심지어는 [[전설의 포켓몬]]의 전용기나 '''일격기''' 같은 것까지 나갈 수 있다. [[아르세우스]]가 정식으로 공개되기 전 [[심판의뭉치]]의 연출을 볼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기도 했다. 한편 5세대부턴 미공개 [[환상의 포켓몬]] 전용기는 나가지 않게 조정되었다. 실전에서 사용할 만한 기술이라고 하기는 매우 어렵다. 강력한 기술이 운 좋게 걸려도 정작 사용 포켓몬의 대다수가 공격/특공 종족치가 낮은 녀석들이다 보니, 그리 큰 효과를 기대하긴 힘들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로, 금 버전에서 [[꼭두(포켓몬스터)|꼭두]]의 삐삐를 비슷한 레벨의 피죤으로 상대하던 도중 삐삐가 손가락흔들기로 [[마음의눈(포켓몬스터)|마음의눈]]→[[전자포#포켓몬스터의 기술]] 콤보를 성공시켰는데 피죤의 체력은 '''약점을 찔리고도''' 반토막 정도만 나고 끝났다는 이런 식이다. 실제 전자포의 위력을 생각하면… 물론 토게키스같이 화력이 좋은 포켓몬이 써서 제대로 된 공격이 나오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대미지가 나온다. --애초에 이 기술은 실전에서 안 쓰이지만 그건 무시하자.-- [[솔라빔]]이나 [[불새(포켓몬스터)|불새]]와 같이 사용 전에 한 턴을 소모하는 기술이 나왔을 때 [[앵콜(포켓몬스터)|앵콜]]이 걸리면, 한 턴 소모 상태에서 손가락을 흔들고 앵콜이 끝난 후에나 사용한다. 이 때문에 [[공중날기]], [[구멍파기]], [[다이빙(포켓몬스터)|다이빙]], [[섀도다이브]]와 같이 공격 전에 공격을 피하는 기술이 나온 후 앵콜이 걸렸다면, 무적의 손가락흔들기를 볼 수 있다. 물론 스킬이 잘 나온다는 전제 하에 그렇다. ~~근데 상대방이 [[번개(포켓몬스터)|번개]]나 [[지진(포켓몬스터)|지진]]이나 [[파도타기(포켓몬스터)|파도타기]]을 갖고 있다면 애도...~~ 얻을 수 없는 포켓몬의 전용기를 보고 싶은 사람들이 고레벨 [[루브도]]와 손가락흔들기만 배운 1레벨 토게피로 전용기가 나오면 [[스케치(포켓몬스터)|스케치]]로 베껴서 이펙트를 보기도 한다. 손가락을 흔들어서 어떤 기술이 나오던 원본은 변화기라서 [[기습(포켓몬스터)|기습]]에 당하지 않으며, [[도발(포켓몬스터)|도발]]에 걸리면 사용할 수 없다. 다만 물리기가 나오면 [[카운터(포켓몬스터)|카운터]], 특수기가 나오면 [[미러코트]]가 발동 가능하다. [[오롱털]], [[깜까미]]같은 짓궂은마음 보유자가 사용 시 자신의 운만 좋다면 '''모든 기술을 우선도 +1'''로 쓸 수 있다. 하지만 너프된 짓궂은마음으로 사용할 경우 악타입 앞에서는 모든 기술이 효과가 없어지니 조심할 것. 오롱털, 깜까미 미러전이나 오롱털 vs 깜까미의 대결인 경우, 지루하게 실패하는 결과가 벌어진다.[* 이때 [[텍스처(포켓몬스터)|텍스처]]를 꺼내오거나하면 얘기가 달라진다. 악 타입이 아니게 되기 때문. 다만, 상대의 타입을 바꾸는 [[물붓기]]같은 스킬은 짓궂은마음 효과로 무효처리 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는 자신의 타입을 바꾸는 기술에만 한정된다.] == 사례 == 아무 기술이나 나와라 식으로 처음부터 만들어진 기술이므로, 그 목적에 충실하게 친선대전이나 장난칠 때나 쓴다. 특히 한국 유튜버들 사이에서는 이것'''만''' 사용해서 상대를 이기는 손가락흔들기 대결이 유행이며, 손가락흔들기를 배우는 포켓몬들 중에서도 픽시, 뮤, 토게키스 중 한 마리만을 사용한다. [[https://youtu.be/8GbnLj00sE8?t=848|가끔 이런 신묘한 일도 벌어지고]][* 상대가 [[고스트다이브]]를 뽑아서 사라지고, 그 다음 자신의 턴에 [[텍스처(포켓몬스터)|텍스처]]를 뽑아 노말 타입으로 변해 고스트다이브를 씹었다.] 역으로 NPC한테 손가락흔들기를 맞았는데, [[공간절단(포켓몬스터)|공간절단]]과 [[심판의뭉치]]가 연달아서 나오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pokemon&no=4879753|1100대 싱글 심해]]에서는 차례대로 '''[[불꽃춤]]''', '''[[시간의포효]]''', '''[[뿔드릴]]''', '''[[공간절단(포켓몬스터)|공간절단]]''', '''[[폭음파]]'''가 튀어나와 보는 사람들을 웃게 만들었다.[* 심지어 뿔드릴은 일격기 특유의 엄청 낮은 명중률을 뚫고 공격에 성공하기까지 했다. 그 외에도 악의파동을 주구장창 쓰는 동안 한 번도 풀죽지 않기도 하고, 스톤에지가 두 번 연속 빗나가는 등 말도 안 되는 확률로 패배했다.] [[디시인사이드]]의 [[포켓몬스터 갤러리]]에서는 손가락흔들기 대회를 열었다. 이름하여 포갤배 운켓몬 대회. 포갤에서 한 번 시작하더니 어지간한 인터넷 방송으로 다 퍼져서, BJ들도 한 번씩 토게피 운켓몬 대회를 한다. 심지어 [[트위치]]와 [[니코니코 동화]]로도 번져나간 듯하고, 공식 대회에서조차 썬문 시즌 15와 소드실드 2022년 새해 시즌을 손가락흔들기 대회로 채택할 정도. 그러나 정작 손가락흔들기로 진행된 공식대회는 엄청난 노잼이라며 혹평을 받았다. 승리를 위해 온갖 술수를 쓰다보니 어떻게든 한 마리를 먼저 쓰러트리고 이후 프레셔나[* 미라몽, 야느와르몽] 저주받은바디[* 팬텀, 포트데스] 특성 포켓몬으로 교대하고 다이맥스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https://youtu.be/GBlYfzjq41Q?t=328|다이월을 사용하는 등,]][* 상황 설명을 하자면 서로 잠만보만 남은 상태에서 상대가 [[HP회복]]을 뽑자마자 시간을 끌다가 다이맥스를 사용한 것이다.][* 하지만, 상대가 두 번째 다이월에 실패함과 동시에 [[성스러운칼]]을 뽑아 피를 빼고 [[참교육|역으로 다이맥스를 써]] 극적으로 이겼다.] 상대 포켓몬의 손가락흔들기 PP를 소모시켜 발버둥을 발동시키고 자멸시키거나 최대한 시간을 오래끌어 TOD(Time Out Death)로 승리하는 졸렬한 플레이가 남발하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잘 아는 사람이 사설 대회를 열 때는 '''저주받은바디 사용 금지''' 같은 하우스룰을 내걸고 [[빡겜]](ガチ) 분위기를 의도적으로 배제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프레셔나 전설/환상 포켓몬까지 금지하는 하우스룰도 있다. 난수를 조정하면 플레이어가 원하는 기술이 나가기 때문에 [[Tool-Assisted Speedrun|TAS]]에서 이 기술을 사용하기도 한다. [[https://youtu.be/9iRvguElQpk|파이어레드 버전 TAS]]. 1시간 33분부터 상대의 약점을 찌르는 고위력기만을 정확하게 뽑아내며 사천왕과 챔피언을 탈탈 털어먹는다. 항상 급소에 맞는 건 덤. == 세대별 양상 == 1세대 당시에는 [[픽시(포켓몬스터)|픽시]] 계열과 [[뮤(포켓몬스터)|뮤]]만 자력으로 배울 수 있었으나, 의외로 기술머신으로 존재했다. 게다가 배우는 포켓몬도 상당히 많았다. 일단 손만 달렸다 하면 다 배웠으며, [[럭키(포켓몬스터)|럭키]]처럼 손만 있지, 손가락이 없어 보이는 포켓몬도 배웠다. 이것 때문에 3세대에서는 FRLG와 에메랄드에서 NPC에게서 1회 한정이지만 배울 수 있는 기술로 등장하기까지 했다. 배울 수 있는 포켓몬들은 더 다양해졌지만, 어째서인지 에레브와 마그마는 배울 수 없게 되었고 이후 다시는 풀리지 않아 쓰고 싶으면 1세대 VC를 통해 전송해야 했다. 별도로 가르칠 방법이 없던 2세대, 4~7세대에서는 상술한 픽시, 뮤 외에 [[토게틱]] 계열, [[먹고자]]만 자력기로 추가되었고, [[그랑블루(포켓몬스터)|그랑블루]] 계열과 [[해피너스]] 계열에 유전기로 추가되는 정도에 그쳤다. 이 때문에 [[잠만보]]와 [[토게키스]]는 가르친 후 진화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손가락흔들기 파티로 예능 레이팅을 하려면 세대 마크가 필수였기 때문에 사실상 6마리가 전부 고정되는 문제도 있었다. 7세대에서는 노말Z를 통해 Z손가락흔들기를 썼을 시 손가락흔들기를 통해 나온 기술이 [[Z기술]]로 변한다! 예를 들어 노말 공격기는 [[울트라대시어택]], 페어리 공격기는 [[러블리스타임팩트]], 변화기는 변화기에 맞는 추가 효과로 적용된다. 다만, 변화기는 의미가 없는 게, 변화기의 Z변화기 추가 효과가 적용될 타이밍에는 '''이미 Z손가락흔들기의 {{{#red 아무 효과도 일어나지 않는다}}}가 적용된 후'''에 기술이 발동되므로, Z변화기라고 메시지가 떠도 실상은 그냥 변화기가 발동하게 된다. 8세대에서 자력기 시스템 개편으로 잠만보와 토게키스도 자력으로 배울 수 있게 개선되었고, 오랜만에 [[기술레코드]]를 통해 가르칠 수 있도록 풀렸다. 기존에 배울 수 있던 포켓몬들은 대부분 배울 수 있었으나 새로 얻게 된 포켓몬은 1, 3세대 당시만큼 파격적으로 넓은 편은 아니었다. 9세대에서도 기술머신으로 남았지만, 자력으로 배우는 포켓몬들이 [[뮤(포켓몬스터)|뮤]]를 제외하고 전부 잘렸다. 이번에도 손가락흔들기를 배우는 포켓몬들이 늘어났다. 특이하게 엘레이드는 킬리아 상태일 때 가르치지 않으면 손가락흔들기를 쓸 수 없었으나, DLC 출시 후에는 진화 후에도 가르칠 수 있게 되었다. 배울 수 있는 포켓몬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나, [[알로라도감]]으로 처음 등장한 포켓몬들은 전원 배울 수 없다. 의도한 현상이라기보다는 우연인 듯. == 손가락흔들기 사용시 나오지 않는 기술 == * 1세대부터 * '''[[마트료시카|손가락흔들기]]''' * [[발버둥#포켓몬스터의 기술]] * 2세대부터 * [[방어(포켓몬스터)|방어]], [[판별]], [[버티기]] * [[따라하기]], [[흉내내기]], [[잠꼬대(포켓몬스터)|잠꼬대]] * [[스케치(포켓몬스터)|스케치]] * [[길동무#포켓몬스터의 기술]] * [[카운터(포켓몬스터)|카운터]], [[미러코트]][* 4세대에 처음 등장한 [[메탈버스트]]는 나간다.] * 3세대부터 * [[힘껏펀치]] * [[도둑질(포켓몬스터)|도둑질]], [[탐내다]], [[트릭(포켓몬스터)|트릭]] * [[가로챔]] * [[날따름]], [[도우미(포켓몬스터)|도우미]] * 4세대부터 * [[페인트(포켓몬스터)|페인트]], [[수다(포켓몬스터)|수다]] * [[선취]], [[흉내쟁이#포켓몬스터의 기술]] * [[조수(포켓몬스터)|조수]] * 5세대부터 * [[바크아웃]], [[자연의힘]][* [[비밀의힘]], [[잠재파워]]는 나간다.], [[코골기]] * [[V제너레이트]], [[콜드플레어]] ,[[프리즈볼트]], [[신비의칼]], [[옛노래]], [[테크노버스터]] * [[패스트가드]], [[와이드가드]] * [[변신(포켓몬스터)|변신]] * [[기프트패스]], [[바꿔치기#포켓몬스터의 기술]][* [[금제#포켓몬스터의 기술]], [[내던지기]], [[탁쳐서떨구기]], [[리사이클(포켓몬스터)|리사이클]]은 나간다.] * [[분노가루]], [[당신먼저]], [[순서미루기]][* [[사이드체인지]], [[아로마미스트]]는 나간다.] * 6세대부터 * [[트림(포켓몬스터)|트림]] * [[근원의파동]], [[단애의칼]], [[화룡점정(포켓몬스터)|화룡점정]], [[파멸의빛]], [[사우전드애로]], [[사우전드웨이브]], [[다이아스톰]], [[이차원홀]], [[이차원러시]], [[스팀버스트]] * [[마룻바닥세워막기]], [[니들가드]], [[킹실드]], [[트릭가드]] * [[축하]], [[손에손잡기]][* 같은 배포 전용 기술인 [[적당히손봐주기]]와 [[해피타임]]은 나간다. 이유는 불명.] * 7세대부터 * 모든 [[Z기술]][* Z손가락흔들기 사용시 반대로 모든 Z기술만 발동.], [[섀도스틸]], [[플라스마피스트]] * 8세대부터 * [[메테오드라이브]], [[섀도레이]][* 이상하게도 [[네크로즈마]]의 전용기인 [[프리즘레이저]]와 [[포톤가이저]]는 나간다.], [[거수참]], [[거수탄]], [[다이맥스포]], [[무한다이빔]], [[플뢰르캐논]], [[정글힐]], [[아스트랄비트]], [[블리자드랜스]], 모든 다이맥스, 거다이맥스 기술 == 배울 수 있는 포켓몬(9세대) == 이전 세대에서의 사례는 각주로 별도 서술. * [[픽시(포켓몬스터)|픽시]] 계열[* 자력으로 습득 가능.][*교배 8세대까지는 알 기술로도 습득 가능.] * 푸린/[[푸크린]] * [[골덕]] 계열 * 슈륙챙이/[[강챙이]]/[[왕구리]] * [[후딘]] 계열 * [[괴력몬]] 계열 * [[딱구리]] 계열 * [[야도란]]/[[야도킹]] * [[질뻐기]] 계열 * 고우스트, [[팬텀(포켓몬스터)|팬텀]] * [[슬리퍼(포켓몬스터)|슬리퍼]] 계열 * [[시라소몬]]/[[홍수몬]] * [[루주라]] 계열 * [[잠만보]] 계열[*진화전 7세대까지는 진화 전에만 자력기라서 배운 후 진화해야 했다. 8세대부터는 진화 후에도 자력기가 되었다.][*교배] * [[망나뇽]] * [[뮤츠]] * [[뮤(포켓몬스터)|뮤]][* 자력으로 습득 가능.] * 마릴/[[마릴리]] * [[그랑블루(포켓몬스터)|그랑블루]] 계열[*교배] * [[밀탱크]] * [[해피너스]] 계열 * [[세레비]] * [[로파파]] * [[가디안]]/[[엘레이드]] 계열 * [[게을킹]] 계열 * [[하리뭉]] 계열 * [[깜까미]] * [[요가램]] 계열 * [[플러시(포켓몬스터)|플러시]][*홈 소드/실드, 스칼렛/바이올렛에서 전부 등장하지 못했지만, [[포켓몬 홈]] 유출 데이터에 의하면 습득 가능하다. 3세대까지의 포켓몬의 경우 당시 [[기술 가르침]]으로 배울 수 있었다.] * [[마이농(포켓몬스터)|마이농]][*홈] * [[볼비트]] * [[네오비트]] * [[꿀꺽몬]] * [[피그킹]] * [[얼루기]][*홈] * [[켈리몬]][*홈] * [[다크펫]] 계열 * [[지라치]] * [[초염몽]] 계열 * [[플로젤]] * [[겟핸보숭]] 계열[*홈] * [[루카리오]] * [[포푸니라]] * --[[에레키블]] 계열--[*1세대 1세대에서만 기술머신으로 배울 수 있었고, 3세대 이후로는 배울 수 없다. 8세대까지는 사용할 수 있으나, 9세대에서는 전송되는 순간 소프트 자력기에 맞춰 기술배치가 바뀌기 때문에 전송이 가능하더라도 사용할 수 없다.] * --[[마그마번]] 계열--[*1세대] * [[토게키스]] 계열[*진화전][*교배] * 미라몽/[[야느와르몽]] * [[유크시]] * [[엠라이트]] * [[아그놈]] * [[드레디어]](히스이의 모습) * 고디보미/[[고디모아젤]] * [[토네로스]] * [[메로엣타]] * [[마폭시]] * 플라엣테/[[플라제스]] * [[프레프티르]] * [[나루림]] * [[디안시]] * [[인텔리레온]] * [[스트린더]] * [[포트데스]] 계열 * [[브리무음]] 계열 * [[오롱털]] 계열 * [[나이킹]] 계열[* 가라르 나옹 계열만 배울 수 있다.] * [[마임맨]]/[[마임꽁꽁]] * [[마휘핑]] * [[에써르]] * [[버드렉스]] * [[다투곰]] 계열[* 붉은 달은 배울 수 없다.] * [[빠르모트]] * [[올리르바]] * [[태깅구르]] 계열 * [[두드리짱]] 계열 * [[저승갓숭]] 계열 * [[우렁찬꼬리]] * [[무쇠손]] * [[무쇠무인]] * [[이야후]] == 애니메이션에서 == 애니메이션에서는 이걸 썼을 때 유용한 기술이 나가서 승리하는 장면이 종종 나오기도 한다.[* 예를 들어 로켓단이 삐삐들을 다 잡아가려고 하자, 삐삐들이 단체로 손가락흔들기를 사용하자 나온 기술이 [[대폭발(포켓몬스터)|대폭발]]이었다. 그것도 단체로 다 같이 나왔다. 이때 같이 있던 지우 일행과 해당 에피의 단역인 나해박 박사까지 흔드는 손가락에 맞춰 고개를 까딱거리는 연출이 일품.] [[최이슬]]의 토게피가 가끔 가다 사용하는데, 주인공 보정인지 트레이너와의 친밀도 영향인지 몰라도 상황에 맞는 기술이 발동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봄이(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봄이]]의 먹고자가 사용했을 땐 엉뚱한 게 나와서 봄이를 당황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꼭두 1차전에서 꼭두의 삐삐가 이걸 사용했는데, 나온 기술이 다름아닌 [[튀어오르기]]였다. [[분류:포켓몬스터/노말타입 기술]][[분류:포켓몬스터/변화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