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근육]][[분류:하반신]] [include(틀:근육)] ||||
{{{#ffffff ''' ''Obturator internus'' '''}}}[br]{{{#ffffff ''' ''(속폐쇄근, 내폐쇄근)'' '''}}} || |||| [[파일:볼기근.jpg|width=100%]][* 볼기의 근육들 중에서 얕은층에 존재하는 [[큰볼기근]]과 [[중간볼기근]]을 제거하여 깊은층을 볼 수 있게 한 그림이다.] || || 이는 곳[br](origin) || 폐쇄구멍의 모서리, 폐쇄막 [br](margin of obturator foramen, obturator membrane) || || 닿는 곳[br](insertion) || 넙다리뼈 큰돌기[br](greater trochanter of femur) || || 동맥[br](artery) || 아래볼기동맥[br](inferior gluteal artery) || || 신경[br](nerve) || 속폐쇄근으로의 신경[br](nerve to obturator internus) || || 기능[br](action) || 넓적다리 가쪽돌림근[br](lateral rotator of thigh) || [목차] [clearfix] == 개요 == 속폐쇄근(내폐쇄근; obturator internus muscle)은 [[볼기]] 깊은층에 존재하는 근육들 중 하나이다. 위치상 이 근육이 폐쇄막(obturator membrane)의 안쪽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속폐쇄근이라고 명명되었다. == 구조 == 속폐쇄근의 위치는 위쌍동근과 아래쌍동근의 사이인데, 이때 힘줄이 되기 전의 일부 근육은 골반 안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골반 안에 위치하는 근육은 대부분의 폐쇄막 안쪽을 덮으면서 일어난다. 이후 이 근육은 힘줄로 변한 이후 작은궁둥구멍(lesser sciatic foramen)을 통과하여 골반을 빠져나오고, 이때 각도가 [[직각]]을 이루면서 근육이 꺾인다. 이 골반을 빠져나오는 지점의 속폐쇄근 힘줄과 궁둥뼈(ischium) 사이에는 속폐쇄근주머니(bursa of obturator internus muscle)이 존재한다. 이런 종류의 주머니들은 근육이 닿는 근처의 구조물들과의 마찰을 줄여 근육이 더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돕는다. 이 속폐쇄근주머니 역시 작은궁둥구멍에서 속폐쇄근의 움직임을 돕는 역할을 한다. 그 후 [[넙다리뼈]] 큰돌기의 안쪽면, 흔히들 돌기오목(trochanteric fossa)라고 부르는 곳에 닿게 된다. 닿는 곳은 위쌍동근과 아래쌍동근과 같기 때문에 세 근육의 힘줄은 서로 섞이게 된다. 혈액 공급은 근처에 있는 위쌍동근이나 아래쌍동근과 똑같이 아래볼기동맥에서 공급받으나, 신경의 지배는 위쌍동근하고만 똑같이 속폐쇄근신경의 지배를 받는데, 이는 아래쌍동근이 넙다리네모근으로 가는 신경의 지배를 받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 기능 == 위쌍동근은 볼기 깊은층에서 넓적다리를 가쪽으로 돌리는 여섯 개의 가쪽돌림근(lateral rotator of thigh) 중 하나이다. 나머지 가쪽돌림근들은 [[궁둥구멍근]], [[위쌍동근]], [[아래쌍동근]], [[넙다리네모근]], [[바깥폐쇄근]]이다. 다리가 굽혀진 상태에서는 다른 가쪽돌림근들과 함께 넓적다리를 벌리는 작용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