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47a0 {{{+1 '''속사 나들목'''}}}[br]{{{-2 '''束沙 나들목'''}}}[br]{{{-2 '''Soksa Interchang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008000 '''속사 요금소'''[br]{{{-2 Soksa Tollgate}}}}}}}}} || || [[서창JC|{{{#!html인천 방면}}}]][br][[평창IC]][br]← 9.2 km || [[영동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50.svg|height=23]]{{{#!html
영동선}}}]]'''{{{#fff {{{+1 33}}}}}}''' || [[강릉JC|{{{#!html강릉 방면}}}]][br][[진부IC]][br]7.1 km → || ||<-3> {{{-1 {{{#0047a0 ◀ [[평창휴게소]](양방향)}}}}}} || ||<-3> [include(틀:지도, 장소=속사IC,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주소'''}}} || ||<-3>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속사리 || ||<-3> {{{#fff '''관리기관'''}}} || || [[영동고속도로|{{{#fff 영동선}}}]] ||<-2> [[한국도로공사]] 강원본부 대관령지사 || ||<-3> {{{#fff '''개통'''}}} || ||<-3> [[1975년]] [[10월 14일]] || ||<-3> {{{#fff '''접속도로'''}}} || ||<-3>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6)]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31)]([[경강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동고속도로]] 33번.[* 변경전 27번.]''' [[강원특별자치도]]의 [[평창군]] 용평면 양지길 30-28 (속사리 500-7)에 위치한 [[영동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속사리에서 유래했다. 구 영동고속도로에 있던 구 속사IC는 현재 속사삼거리다. 영동고속도로가 속사삼거리로 들어올 때는 당연히 속사'''사거리'''였다. 속사IC는 33번이고 [[진부IC]]는 35번이다. 34번은 비워놨는데, [[영천양구고속도로]]가 건설되면 34번으로 속사분기점이 들어설 예정이다. 속사분기점의 위치는 [[https://map.naver.com/v5/entry/address/14305154.15597694,4528970.45271234,%EA%B0%95%EC%9B%90%EB%8F%84%20%ED%8F%89%EC%B0%BD%EA%B5%B0%20%EC%9A%A9%ED%8F%89%EB%A9%B4%20%EC%86%8D%EC%82%AC%EB%A6%AC%2054-6,jibun?c=14305045.4319397,4529031.4898251,15.35,0,0,0,dh|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속사리 54-6]] 일대로, [[진부1터널]] 서쪽 입구 앞이다. == 구조 == === [[강릉JC|강릉]] 방향 === * 진출 가능: 경강로 양방향 * 진입 가능: 경강로 양방향 === [[서창JC|인천]] 방향 === * 진출 가능: 경강로 양방향 * 진입 가능: 경강로 양방향 == 역사 == * [[1975년]] [[10월 14일]]: 영동고속도로 새말 나들목 - 강릉 구간 개통과 함께 나들목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32800329201011|嶺東·東海 高速도로 起工]], 1974-03-28, 경향신문][*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101400329203001|東·西가 한나절 生活圈에]], 1975-10-14, 경향신문] == 여담 == 주변에 큰 시설이라고는 아무것도 없으며, 그냥 속사리라는 일개 시골마을과 관광객을 위한 [[펜션]] 몇 채가 있을 뿐이다. 다만 [[홍천군]]의 [[내면(홍천)|내면]]에서 [[강릉시]] 방향으로 갈 때는 쓸만할지도 모르지만, [[운두령]]의 길이 매우 스펙타클하므로 어지간히 운전을 잘 하지 않는 이상은 그냥 [[424번 지방도]] 보래령터널 구간을 이용하여 [[평창IC]]로 가는 게 낫다. 하지만 [[평창 올림픽]]을 계기로 6번 국도에 속사터널이 새로 지어지면서, 정선읍 방면에서 원주, 서울방면으로 가기 위해 영동고속도로를 이용할 때 진부IC 대신 속사IC로 진입하는 것이 소요시간, 거리, 요금 모든 면에서 더 유리하게 되었다. 과거의 나들목은 평면교차로로, 지도 상에 지금의 [[6번 국도]] 옆에 위치한 도로가 구 영동고속도로이며, 현재의 속사 나들목 진출입로와 6번 국도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해 있었다. 인근에 이목정나들목이 이목정휴게소, 속사천6교 인근에 위치 했으며, 이 나들목은 '''사거리'''였다. 한동안 보존되어 있었으나 올림픽으로 인해 경강로 확장 공사를 하면서 밀어버렸다. 덤으로 매우 한적한 곳에 있는 이 IC의 특성상 [[http://www.instiz.net/pt/4234420|속사IC괴담]]이라는 이야기가 여기저기에 퍼져있다. [[귀신]]의 묘사 등 기괴하게 묘사되어 나오지만 여느 [[괴담]]이 그렇듯이 믿을만한 이야기는 못 되므로 공포에 떨 필요는 없다. [[자유로 귀신]]의 하위호환격으로 생각하자. 여담으로 '[[이승복]]기념관'이 속사IC 근처에 있다. [[31번 국도]] [[홍천군|홍천]]·[[인제군|인제]] 방면으로 5.5km 정도에 위치해 있다. 영화 [[부산행]]의 진양 톨게이트 장면이 이곳에서 촬영되었다. 사족으로 진양이라는 지역은 우리나라에 더이상[* [[진주시]]의 옛 명칭이 진양이다.] 존재하지 않는다. [[경강선]] [[철도]]와 매우 멀리 떨어져 있다. 당연히 역도 없다. 철도는 아예 속사리로 들어오지 않고 거문리를 지나간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영동고속도로의 구간)] [[분류:영동고속도로]][[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나들목]][[분류:평창군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