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소팔백}}}'''[br]'''蘇八伯'''}}}}}}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소팔백.jpg|width=100%]]}}} || || '''자''' ||사윤(士允) || || '''본관''' ||[[소(성씨)|진주 소씨]][* 생원공파 45세 영(永) 항렬. 족보명은 소기영(蘇麒永).] || ||<|2> '''출생''' ||[[1882년]] [[10월 28일]] || ||[[전라도]] [[남원시|남원도호부]] 적과방 만적동[br](현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만도리)[* [[소(성씨)|진주 소씨]] 집성촌이다.] || ||<|2> '''사망''' ||[[1968년]] [[4월 5일]] || ||[[전라북도]] [[남원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191호 || || '''상훈''' ||대통령표창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0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소팔백은 1882년 10월 28일 전라도 남원도호부 적과방 만적동(현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만도리)에서 아버지 소수택(蘇秀澤, 1828. 9. 26 ~ 1901. 3. 20)과 어머니 [[노(성씨)|풍천 노씨]](豊川 盧氏, 1854. 10. 9 ~ 1926. 12. 9)[* 노희수(盧熙壽)의 딸이다.] 사이의 3남 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 풍천 노씨는 아버지의 둘째 부인이며, 첫째 부인 [[동래 정씨]](? ~ 1869. 4. 17) 정기현(鄭基鉉)의 딸은 슬하에 아들을 두지 못했다.] 이후 [[벽진 이씨]](? ~ 1960. 11. 1)와 결혼하였으나 슬하에 자식이 없어 형 소한영(蘇翰永, 1875. 2. 10 ~ 1945. 2. 5)의 차남인 소병은(蘇秉殷, 1916. 1. 25 ~ 1993. 6. 1)을 양자로 들였다. 그는 1907년 음력 9월 [[이석용(독립운동가)|이석용]][* 이학사(李學士)라고도 함.] 의진인 호남의병창의동맹단에 참여하여 그해 11월 5일까지 전라북도 [[남원시|남원군]] 및 [[임실군]] 등지에서 이석용을 수행하며 항일 의병투쟁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었다. 1910년 3월 18일 광주지방재판소 전주지부에서 소위 폭동 혐의로 태(笞) 100도에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300&evntId=0034989860&evntdowngbn=Y&indpnId=0000020998&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처해졌다]]. 이후 은거하다가 [[8.15 광복]]을 맞았으며, 1968년 4월 5일 전라북도 남원군에서 별세하였다. 200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본래 전라북도 남원시 덕과면 용산리 분토동마을에 안장되었다가 2017년 7월 17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에 이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분류:진주 소씨]][[분류:남원시 출신 인물]][[분류:1882년 출생]][[분류:1968년 사망]][[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