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종특별자치시의 읍면동)] ||<-2> '''[[세종특별자치시|{{{#000000,#dddddd 세종특별자치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소정면}}}'''[br]小井面 | Sojeong-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세종특별자치시 || || '''행정표준코드''' || 5690075 || || '''관할 법정리''' || 4리 || || '''하위 행정구역''' || 11행정리 32반 || || '''면적''' || 16.47㎢ || || '''인구''' || 2,195명[*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33.27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세종특별자치시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강준현]] ,,(초선),, || ||<-2> '''세종특별자치시의원 | 제5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학서(1962)|김학서]]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소정구길 204 (소정리 48) || || [[https://www.sejong.go.kr/sojung/index.do|소정면사무소]] || [목차][clearfix] == 개요 == [[세종특별자치시]] 북부에 위치한 면이다. 북쪽으로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이고, 소정면에서 천안시내가 7km 정도이지만 [[조치원읍]]은 25km, 세종시내는 40km 정도로 천안 시내가 세종 시내보다 훨씬 가까워서 천안 생활권에 속한다.[* 직선거리로만 따져도 [[세종특별자치시청]]이 29.3km, [[천안시청]]이 11km 떨어져 있다.] 세종 편입지역이 기형적으로 북쪽으로 솟은 것도 있지만 심지어 아산과 비교해도 세종시내보다 아산시내가 더 가까울 정도이다. 천안시내버스가 세종시내버스보다 훨씬 자주 다니고[* 심지어 천안 특유의 악랄한 시계외요금도 없다.],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이전에는 공주, 연기 전화국 관할(041-8XX)이 아닌 천안 전화국 관할(041-5XX)이었을 정도. 다만 아산 버스는 안다닌다.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이후에는 지역번호만 044로 바뀌었다. 그래서 이 면의 일부 지역은 041을 쓰기도 한다. 이 같은 지리적 위치 때문인지 주민들 일부에서는 천안시 편입 요구까지 나오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천안시와 바로 인접해서 그런지 [[호두과자]]집도 꽤 보이는 편. 관할 리가 4개 정도로 지극히 적은데 이 역시 [[전의면]] 중에서도 [[충청남도]] [[천안시]]에 유독 가까운 지역적 특성이 고려됐을 수 있다. == 역사 == || 조선시대(1414년) || 청주군 덕평면 (운당리), 천안군 소동면(소정리, 대곡리) || || 고종32년(1895년) || 전의군에 편입 (덕평면, 소동면) || || 1914년 || 연기군 전의면에 편입 (면제 시행) || || 1986년 11월 1일 || 전의면 소정출장소 개설 (운당리, 소정리, 대곡리) || || 1995년 1월 1일 || 소정면 승격 (운당리, 소정리, 대곡리, 고등리) || || 2012년 7월 1일 || 세종특별자치시에 편입 || == 관할 리 == === 소정리 === 소정면의 중심지이다. [[경부선]] [[소정리역]]이 있고, 소정면사무소, 소정초등학교 등이 있다. === 운당리 === 대봉산의 북쪽 산자락에 위치하여 대부분의 지역이 100~300m의 낮고 평탄한 산지를 이룬다. 한때 청주의 월경지였던 역사가 있다. 무궁화아파트가 운당리의 존재감을 알려준다. === 대곡리 === 삼준산과 연암산이 마주한 곳에 자리한 산촌마을이다. 고개와 골짜기가 발달하였으며 마을 앞으로 대곡천이 흘러든다. [[경부고속철도]]가 지나간다. 세종 버스 991번의 종점[* 이 위로 올라가는 세종시내 버스는 1일 3회 병천으로 운행하는 [[세종 버스 910]]밖에 없다.]이며, [[박상돈]] 천안시장의 고향이기도 하다. === 고등리 === 높고 곧은 큰 골짜기가 있는 산성(山城)의 아래에 위치한 마을로, 소정면의 다른 지역들과 달리 1번 국도 선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 교육 == * '''초등학교''' * 소정초등학교 학교는 초등학교인 소정초등학교 1개교만 있으며, 중학교 학구가 천안에 속해있으므로 중학교 진학부터는 천안의 학교로 입학해야 한다. == 교통 == === 도로 === 소정리에서 [[논산천안고속도로]] [[남풍세IC]]가 3km정도 떨어져 있으며, [[1번 국도]]와 [[43번 국도]]가 관통한다. === 철도 === [[경부선]] [[소정리역]]이 있으나, 2017년 7월 1일부터 무궁화호가 정차하지 않는다. 버스를 타고 [[천안역]]이나 [[조치원역]], 또는 비교적 가까운 [[전의역]]으로 가야 한다. === 버스 === ||<-3> '''소정면을 경유하는 버스 목록''' || || '''[[세종 버스 991|{{{#ffffff 991}}}]]''' ||대곡리 - 국책연구단지북측||<|2>[[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 || '''[[세종 버스 85|{{{#ffffff 85}}}]]''' ||[[전의역]] - 고등1리마을회관|| || '''[[천안 버스 700, 701, 702, 710|{{{#ffffff 700}}}]]''' ||안서동 - 전의읍내리||<|5>[[천안시 시내버스]]|| || '''[[천안 버스 700, 701, 702, 710|{{{#ffffff 701}}}]]''' ||안서동 - 전의읍내리|| || '''[[천안 버스 700, 701, 702, 710|{{{#ffffff 702}}}]]''' ||안서동 - 행정리|| || '''[[천안 버스 700, 701, 702, 710|{{{#ffffff 710}}}]]''' ||안서동 - 광정|| || '''[[천안 버스 663|{{{#ffffff 663}}}]]''' ||풍세면행정복지센터 - 소정면사무소|| 세종시 버스와 천안시 버스가 모두 다니는 지역이나, 환승할인은 제한적으로 적용된다. 물론 세종시/천안시 버스간은 당연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고 다만 세종시 버스는 물론 세종시 버스끼리 상호 환승되지만 천안시 버스는 이 구간에서 예외적으로 전의로 나갈때만 같은 천안시 버스끼리 환승이 되고 반대로 천안으로 갈때는 환승이 되지 않는다. 천안으로 가는 방향으로 환승을 정하고 싶다면 버스를 타고 광덕면 행정리까지는 넘어와야 한다. == 출신 인물 == * [[박상돈]](대곡리) [[분류:세종특별자치시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