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이집트 파라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A0522D '''이집트 중왕국 제12왕조 8대 파라오[br]{{{+1 소베크네페루 | 𓇳𓄤𓄤𓄤𓆊𓅆}}}[br]Sobekneferu'''}}}}}}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atue_of_Sobekneferu_(Berlin_Egyptian_Museum_14475).jpg|width=100%]][br]{{{-2 소베크네페루의 흉상}}}}}} || ||<-2> '''휘''' ||소베크네페루(Sobekneferu)[* '네페루소베크(Neferusobek)'라고도 한다. '[[소베크]]의 아름다움'이라는 뜻이다.][br]그리스식 이름: Σκεμίοφρις || ||<-2> '''부왕''' ||[[아메넴헤트 3세]] || ||<-2> '''선대''' ||[[아메넴헤트 4세]] || ||<-2> '''후대''' ||[[소베크호테프 1세]] 또는 [[웨가프]] || ||<-2> '''묘지''' ||북부 마즈구나(Mazghuna) 피라미드[*추정] || ||<-2> '''배우자''' ||[[아메넴헤트 4세]][*추정] || ||<-2><|2> '''재위''' || '''{{{#000 이집트 파라오}}}''' || ||[[기원전]] 18세기 중반[br]재위기간 3년 10개월 24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베크네페루(Sobekneferu)는 [[이집트 중왕국]] 제12 왕조의 제8대 파라오로, 기원전 18세기에 약 4년 정도 군림했다. 최초의 여성 파라오로 확인되는 인물이며,[* 그녀보다 더 이전의 여성 파라오인 [[니토크리스]]는 실존 여부가 불확실하다.] [[세베크]](소베크)의 이름을 파라오의 칭호에 넣은 최초의 군주이기도 했다. == 통치 == [[아메넴헤트 3세]]의 딸이다. 관련 기록은 거의 없지만 여성의 즉위는 당시 후계자에 대한 어떠한 문제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아메넴헤트 4세]]를 이어 소베크네페루가 즉위할 무렵 이집트 중왕국은 이미 국력이 전대에 비해 확연히 약화된 시점이었다. 소베크네페루가 여성이라는 점은 왕권이 약해진 상황에서 그녀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못했다. 그녀는 약 4년 정도 밖에 재위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소베크네페루가 후계를 남기지 못하고 그대로 사망하자 [[소베크호테프 1세]]가 왕위에 올라 제12왕조가 종결되고 제13왕조가 들어선다. == 북부 마즈구나 피라미드 == [[파일:Lepsius-Projekt_tw_1-1-45.jpg]] 북부 마즈구나 피라미드는 소베크네페루의 것으로 추측되는 피라미드이다. 하지만 누구의 소유인지 확실하게 알려주는 문구가 없어 확실하지는 않다. 이 피라미드는 1910년 에르네스트 맥케이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1911년 플린더스 페트리에 의해 발굴되었다. 윌리엄 C. 하예스는 이 피라미드가 13왕조 시기 파라오의 피라미드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소베크네페루의 피라미드라고 생각하는 것이 주류 의견이다. 북부 마즈구나 피라미드는 미완성으로 남겨졌으며, 상부 구조는 아예 짓지도 않았다. 하지만 규모는 남부 마즈구나 피라미드보다 더 거대하게 지을려고 했으며, 지하실도 남부와 비슷하나 훨씬 복잡하다. 또한 피라미드 내부 구조를 짓다가 계획 변경으로 인해 돌로 대충 막은 구간도 발견되었다. [[분류:여성 파라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