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소방공무원)] [include(틀:소방계급)] ||'''소방공무원법 [시행 2020.4.1.] [법률 제16768호, 2019.12.10., 전부개정]''' '''제3조(계급 구분)''' 소방공무원의 계급은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 [[소방총감]](消防總監) * [[소방정감]](消防正監) * [[소방감]](消防監) * [[소방준감]](消防准監) * [[소방정]](消防正) * [[소방령]](消防領) * [[소방경]](消防警) * [[소방위]](消防尉) * [[소방장]](消防長) * [[소방교]](消防校) * [[소방사]](消防士)|| || 계급장 || 상당계급 || 소방계급 || [[중국]] || [[일본]] || [[미국]] [* NYFD 기준] || ||<|4> 태극 육각수 || 차관 || [[소방총감]] || 총감 || 소방청 장관 || Chief of Department || || 1급 || [[소방정감]] || 부총감 || 소방총감[br]소방사감 || Chief of Fire Operations / Chief of EMS Operations / Chief of Training || || 2급 || [[소방감]] || 조리총감 || 소방사감 || Assistant Chief / EMS Assistant Chief || || 3급 || [[소방준감]] || 고급~1급지휘장 || 소방정감 || Deputy Assistant Chief / EMS Deputy Assistant Chief || ||<|4> 육각수 || 4급 || [[소방정]] || 2급지휘장 || 소방감 || Division Chief (Division Commander) / Chief Inspector Fire Prevention / EMS Division Chief / Senior Chaplain || || 5급 || [[소방령]] || 3급지휘장 || 소방사령장 || Deputy Chief / EMS Deputy Chief / Department Chaplain || || 6급(갑) || [[소방경]] || 1~2급지휘원 || 소방사령 || Battalion Chief (Battalion Commander) || || 6급(을) || [[소방위]] || 3~4급지휘원 || 소방사령보 || Captain /EMS Captain || ||<|5> 관창 육각수 || 7급 || [[소방장]] || 1급소방장 || 소방사장 || Lieutenant || || 8급 || [[소방교]] || 2~3급소방장 || 소방부사장 || 1st~2nd Firefighter || || 9급 || [[소방사]] || 1~4급소방사 || 소방사 || 3rd~5th Firefighter / EMT / Paramedic || ||<|2> - || [[소방사|소방사시보]] || 예비소방사 || - || Probationary Firefighter || [목차] [[파일:KRfire-manpower2018.png]] == [[태극]] [[육각수]] == 육각수 5개가 모인 태극육각수이며 소방조직 내 0.1%(50~60명/5만명)인원인 최고위급이다. [[경찰공무원|경찰]]로 따지면 태극 무궁화급, [[군인]]으로 치면 [[장성급 장교]]이라고 보면 된다.56,000여명의 소방공무원 중 소방준감 이상의 간부는 100명이 안 된다. === [[소방총감]] (4개) === || [[파일:소방총감_계급장.svg|width=480]] || 1명만 존재한다. * [[소방청장]] === [[소방정감]] (3개) === || [[파일:소방정감_계급장.svg|width=360]] || 4명이 존재한다. * 대한민국 소방청 차장 * [[서울소방재난본부|서울소방재난본부장]] * [[경기도 소방재난본부|경기도소방재난본부장]] * [[부산소방재난본부|부산소방재난본부장]] === [[소방감]] (2개) === || [[파일:소방감_계급장.svg|width=240]] || 13명이 존재한다. * [[대한민국 소방청|소방청]] 기획조정관 * 소방청 119대응국장 * 소방청 화재예방국장 * 소방청 장비기술국장 * [[중앙소방학교|중앙소방학교장]] * [[중앙119구조본부|중앙119구조본부장]] * [[인천소방본부]]장 * [[충남소방본부]]장 * [[전남소방본부]]장 * [[경북소방본부]]장 * [[경남소방본부]]장 * [[강원소방본부]]장 * [[국방대학교]] 파견요원 1명 === [[소방준감]] (1개) === || [[파일:소방준감 계급장.svg|width=120]] || 약40여명이 현재 소방준감 보직 하에 있다. 소방청 과장 및 담당관은 소방준감 혹은 소방정 발령 가능 * 소방청 대변인 * 소방청 119종합상황실장 * 소방청 운영지원과장 * 소방청 기획재정담당관 * 소방청 대응총괄과장 * 소방청 화재예방총괄과장 * 소방청 장비총괄과장 * [[행정안전부]] 장관 소방정책관 *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1명 * [[충청북도 소방본부|충북소방본부]]장 * [[대전소방본부]]장 * [[전라북도 소방본부|전북소방본부]]장 * [[광주소방안전본부]]장 * [[대구소방안전본부]]장 * [[울산소방본부]]장 * [[경기북부소방재난본부]]장 * [[제주소방안전본부]]장 * [[세종소방본부]]장 * [[서울소방학교]]장 * [[경기도소방학교|경기소방학교]]장 * [[서울종합방재센터]]장 * [[서울소방재난본부]] 과장 4명 (방면본부장 겸임) * [[경기도 소방재난본부|경기소방재난본부]] 과장 5명 * [[경기도 재난종합지휘센터]]장 * [[수원소방서]]장 * [[용인소방서]]장 * [[고양소방서]]장 * [[부산소방재난본부]] 과장 3명 == [[육각수]] == === [[소방정]] (4개) === || [[파일:소방정_계급장.svg|width=400]] || 총원은 400명 내외이다. * [[중앙119구조본부]] 수도권119특수구조대장 * [[중앙119구조본부]] 영남119특수구조대장 * [[중앙119구조본부]] 호남119특수구조대장 * [[중앙119구조본부]] 충청강원119특수구조대장 * [[국무조정실]] 안전환경정책관실 실무담당자 (1명) * [[행정안전부]] 상황담당관실 상황담당관 * [[행정안전부]] 소방상황센터 소방상황센터장 * [[행정안전부]] 규제개혁법무담당관실 실무담당자 * [[대한민국 소방청]] 소방정책과 실무담당자 (2명) * [[대한민국 소방청]] 소방제도과 실무담당자 * [[대한민국 소방청]] 방호조사과 실무담당자 * [[대한민국 소방청]] 소방산업과 실무담당자 * [[대한민국 소방청]] 119구조과 실무담당자 * [[대한민국 소방청]] 119구급과장 * [[대한민국 소방청]] 119생활안전과장 * [[대한민국 소방청]] 운영지원과 서무계장 * [[대한민국 소방청]] 기획재정담당관실 실무담당자 * [[대한민국 소방청]] 119종합상황실 상황담당관 3명 * [[중앙소방학교]] 교육지원과장 * [[중앙소방학교]] 인재개발과장 * [[국립소방연구원]] 연구기획지원과장 * [[창원소방본부]]장 * 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소방본부 과장 * 시, 군 단위 소방서장[* 수원, 용인, 고양 제외] * 지방[[소방학교]]장 등 === [[소방령]] (3개) === || [[파일:소방령_계급장.svg|width=300]] || * 소방청 계장 * 중앙119구조본부 소속 화학구조센터장, 인명견센터장, *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상황실 담당요원 * [[소방서]] 과장 * 소방서 현장대응단장 * 소방서 직할 항공대장 * 세종소방본부 현장대응단장 등 === [[소방경]] (2개) === || [[파일:소방경_계급장.svg|width=200]] || * 행정안전부 재난안전본부장 소방정책비서 1명 * 소방본부 조정관 * 소방서 계장 * [[119안전센터]] 센터장 * 진압대장 * 구조대장 * 구급대장 * [[소방정]]장 * 현장지휘팀장 등 === [[소방위]] (1개) === || [[파일:소방위_계급장.svg|width=100]] || * 119안전센터 부센터장 * 119안전센터 팀장 * [[지역대]]장 * 안전관 * 소방서 주임 등 == [[관창]] [[육각수]] == 육각수를 관창과 호스가 받치고 있는 형태다. 구형 계급장은 횃불 모양이었다. === [[소방장]] (4개) === || [[파일:소방장_계급장.svg|width=210]] || * 소방서 부장 등 === [[소방교]] (3개) === || [[파일:소방교_계급장.svg|width=160]] || * 소방서 반장 * 소방대원 등 === [[소방사]] (2개) === || [[파일:소방사_계급장.svg|width=120]] || * 소방대원 * 센터서무 * 내근 1호차 * 내근부서 각 과의 막내서무[* [[https://cafe.naver.com/firepass119/732|하는일]]] === [[소방사|소방사시보]] (1개) === || [[파일:소방사시보_계급장.svg|width=80]] || 소방사에 임용되기 전 거치는 견습 계급에 해당된다. 기간은 6개월. 형식적으로는 존재하지만 실제로는 2개부터 시작한다. == 역사 == || ~ 1960[* 당시 신분은 일반직공무원이었다.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902&efYd=19651020#0000|#]]] ||<-2> 소방원 || 소방사보 || 소방사 || 소방감 || || 1960 ~1969 ||<-2> 소방원 || 소방사보 || 소방사 || 소방감 || 소방령 || || 1969 ~ 1977[* 당시 신분은 경찰공무원이었다.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6261&ancYd=19690107&ancNo=02077&efYd=19690107&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ancYnChk=0#0000|#]]] || 소방원 || 소방장 || 소방사 || 소방경위 || 소방경감 || 소방경정 || 소방총경 || || 1978 ~ 1996 || 소방사 || 소방교 || 소방장 || 소방위 || 소방경 || 소방령 || 소방정 ||<-2> 소방감 || 소방정감 || || 1996 ~ 2005 || 소방사 || 소방교 || 소방장 || 소방위 || 소방경 || 소방령 || 소방정 ||<-2> 소방감 || 소방정감 || 소방총감 || || 2005 ~ 현재 || 소방사 || 소방교 || 소방장 || 소방위 || 소방경 || 소방령 || 소방정 || 소방준감 || 소방감 || 소방정감 || 소방총감 || * 1949년 복제 개정: 소방감은 [[무궁화]] 2개, 소방사는 1개, 그리고 소방사보는 잎사귀 1개, 소방원은 계급장이 없었다. * 1958년 복제 개정: 소방원은 잎사귀 1개를 가로로, 소방사보는 잎사귀 1개를 세로로 붙히는 것으로 바뀌었다. * 1960년 복제 개정: 소방령, 소방감, 소방사는 무궁화 3~1개로 바뀌었다. * 1969년 복제 개정: 소방총경, 소방경정, 소방경감, 소방위는 무궁화 4~1개, 소방사, 소방장, 소방원은 잎사귀 3~1개로 바뀌었다. * 1978년 복제 개정: 소방정감, 소방감은 [[관창]] 3개가 교차하는 정육각형 2~1개, 소방정, 소방령, 소방경, 소방위는 관창 2개가 교차하는 정육각형 4~1개, 소방장, 소방교, 소방사는 관창 2개가 교차하는 [[삼각형]] 3~1개로 바뀌었다. * 1982년 복제 개정: 소방정감, 소방감은 [[태극]] 중심으로 [[월계수]]로 감싼 터빈무늬가 배치된 큰 정육각형 2~1개, 소방정, 소방령, 소방경, 소방위는 태극 중심으로 터빈무늬가 배치된 [[정육각형]] 4~1개, 소방장, 소방교, 소방사는 관창이 받치는 불꽃 모양 3~1개로 바뀌었다. * 1985년 복제 개정: 소방장, 소방교, 소방사, 소방사시보의 계급장이 관창이 받치는 불꽃 모양 4~1개로 바뀌었다. * 1996년 복제 개정: 소방총감이 신설되어 소방감 계급장을 3개 배열한 형태를 사용했다. * 2001년 복제 개정: 소방총감, 소방정감, 소방감은 태극육각수 3~1개, 소방정, 소방령, 소방경, 소방위는 육각수 4~1개, 소방장, 소방교, 소방사, 소방사시보는 [[관창]]이 받치는 [[횃불]] 모양 4~1개로 바뀌었다. * 2002년 복제 개정: [[의무소방]]이 발족되어 소방사시보 계급장 아래에 국군 병 계급장을 달도록 하였다. * 2005년 복제 개정: 소방준감 계급이 신설되어 소방총감, 소방정감, 소방감, 소방준감의 계급장이 태극육각수 4~1개로 조정되었다. * 2009년 복제 개정: 소방장, 소방교, 소방사, 소방사시보 계급장이 관창육각수 4~1개로 바뀌었고 이에 따라 의무소방 계급장도 횃불에서 관창육각수로 바뀌었다. * 2020년 법령 개정: 소방본부 소속 소방공무원의 신분이 지방직에서 국가직으로 일괄 전환되면서 '지방○○○' 형태의 계급이 폐지되었다. 계급장의 변동은 없다. == 중국의 소방 계급 == [[국가종합성 소방구원대오/계급|해당 항목]] 참조. == 일본의 소방 계급 == * 소방청장관 消防庁長官(しょうぼうちょうちょうかん) Commissioner of the Fire and Disaster Management Agency 소방총수: 한국의 [[소방총감]]에 대응한다. [[파일:JF soukan.gif]] * 소방총감 消防総監(しょうぼうそうかん) Fire Chief 도쿄도 소방총감: 한국의 [[소방정감]]([[서울소방재난본부|서울소방재난본부장]]) 및 [[소방총감]]에 대응한다. [[파일:JF sikan.gif]] * 소방사감 消防司監(しょうぼうしかん) Deputy Chief 본부청장: 한국의 [[소방감]] 및 [[소방정감]]에 대응한다. [[파일:JF seikan.gif]] * 소방정감 消防正監(しょうぼうせいかん) First Assistant Chief 본부청장: 한국의 [[소방준감]]에 대응한다. [[파일:JF kan.gif]] * 소방감 消防監(しょうぼうかん) Assistant Chief 본부청장, 방면본부장, 서장, 본청과장: 한국의 [[소방정]]에 대응한다. [[파일:JF sireicho.gif]] * 소방사령장 消防司令長(しょうぼうしれいちょう) Battalion Chief 방면본부장, 서장, 본청과장: 한국의 [[소방령]]에 대응한다. [[파일:JF sirei.gif]] * 소방사령 消防司令(しょうぼうしれい) Fire Captain. 과장: 한국의 [[소방경]]에 대응한다 [[파일:JF sireiho.gif]] * 소방사령보 消防司令補(しょうぼうしれいほ) Fire Lieutenant 계장, 출장소장: 한국의 [[소방위]]에 대응한다. [[파일:JF sityou.gif]] * 소방사장 消防士長(しょうぼうしちょう) Fire Sergeant: 한국의 [[소방장]]에 대응한다. [[파일:JF hukusi.gif]] * 소방부사장 消防副士長(しょうぼうふくしちょう) Assistant Fire Sergeant: 한국의 [[소방교]]에 대응한다. [[파일:JF shi.gif]] * 소방사 消防士(しょうぼうし) Fire Fighter: 한국의 [[소방사시보]] 및 [[소방사]]에 대응한다. == 관련 문서 == * [[경찰공무원/계급]] * [[공무원 시험/소방공무원]] * [[교정직 공무원/계급]] * [[소방공무원/주요 소방 간부]] * [[공무원/계급]] [[분류:대한민국 소방공무원/계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