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소련의 대외관계)] [include(틀:몽골의 대외관계)] || [[파일:소련 국기.svg|width=100%]] ||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svg|width=100%]] || || [[소련|{{{#ffffff '''소련'''}}}]] || [[몽골 인민 공화국|{{{#ffd900 '''몽골 인민 공화국'''}}}]] || [목차] [clearfix] == 개요 == [[몽골 인민 공화국]]과 [[소련]]의 관계에 대한 문서. == 역사 == 20세기에 [[청나라]]의 지배를 받던 [[몽골]]은 [[신해혁명]] 직후 [[복드 칸국]]이라는 이름으로 독립을 선언했으나 중국 군벌들은 [[외몽골 출병|이를 좌시하지 않았다.]] 1921년 [[러시아 내전]]에서 도망쳐 온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가 중국 군벌을 몰아내고 잠시간 [[복드 칸]]과 함께 몽골의 통치자로 군림했다. 나중에 몽골은 운게른을 몰아내고 소련의 영향으로 공산화되어 [[몽골 인민 공화국]]이란 이름으로 독립했다. 소련은 몽골을 [[위성국]]화했고 몽골에는 [[냉전]] 시절에 [[소련군]]이 주둔했으며 내정 간섭을 하면서 몽골이 일본과 전쟁하거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몽골인들을 강제로 징병시키고 [[몽강연합자치정부]]와 [[내몽골]]을 합쳐서 몽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병합하려고 했다. [[소련]] 시절의 [[공산주의]] 운동 때문에 몽골의 자랑 [[칭기즈 칸]]을 지옥에서 기어나온 대마왕으로 그려내고 모든 [[민족]] 관련 문화를 부정하게 했던 70년 가까운 역사가 있다. 심지어 1960년대에 몽골의 교육부 장관이 조상의 역사를 알자며 칭기즈 칸 유적지를 발굴하고 논문을 펴내자 관직을 박탈당하고 시골로 쫓겨났다가 죽임을 당하기도 했다. 소련은 유목을 금지하고 몽골의 전통을 파괴했는데, [[할힌골 전투]]를 계기로 몽골과 만주 지역의 유목민들에게 반제국주의, 몽골 [[민족주의]] 운동이 일어나자 몽골 전체 인구의 5%나 되는 몽골인들이 [[숙청]]당했다. 심지어 그 와중에 몽골 여인들은 러시아 남성들에게 겁탈당하여 [[유라시안]]들을 낳기도 하였으며 소련 치하에서 몽골의 문화가 많이 훼손되기까지 했을 정도였다. 몽골 인민 공화국 이외 소련 영내의 [[칼미크인]], [[부랴트인]], [[투바인]]들이 겪은 탄압도 만만치는 않았다. [[국가 무신론]]을 장려하던 소련에서는 [[칼미키야]]의 [[티베트 불교]]를 믿는 몽골계 [[칼미크인]]들은 티베트 불교는 [[무신론]]이지 종교가 아니라는 주장을 했으나 소련은 이를 무시하였고 오히려 기독교나 이슬람보다도 몽골계 민족들이 믿던 티베트 불교를 더 가혹하게 탄압했다. 이는 물론 소련에서 불교가 무신론인지 아닌지 세심하게 분석하고 내린 결정은 아니고 당시 몽골인들에게 막대했던 티베트 불교의 영향력[* 1918년 통계 기준 외몽골 할하 몽골인 성인 남성의 44.5%가 티베트 불교 승려였다.]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소련의 영향을 받으면서 [[몽골어]] 문자는 [[몽골 문자]]에서 [[키릴 문자]]로 바뀌었으며 [[러시아어]]가 몽골의 주요 외국어로 지정되었고 몽골어에도 러시아어의 차용어가 포함되어 있다. 80년대 말에 [[공산권]] 국가들이 민주화되면서 몽골도 민주화되었고 [[자본주의]]를 받아들였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러시아-몽골 관계, version=205, paragraph=2.4)] [[분류:과거의 외교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러시아-몽골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