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소련)] [include(틀:세계의 국장)] ---- [include(틀:소련 관련 문서)] ---- ||<-4> {{{#ffe400 '''역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국장'''}}} || || [[파일:소련 국장(1923~1936).jpg|width=60%]] || [[파일:소련국장 (1936-1946).svg.png|width=60%]] || [[파일:소련 국장 (1946-1956).svg.png|width=60%]] || [[파일:소련 국장.svg|width=60%]] || || {{{-4 {{{#ffe400 '''1923 ~ 1936'''}}}}}} || {{{-4 {{{#ffe400 '''1936 ~ 1946'''}}}}}} || {{{-4 {{{#ffe400 '''1946 ~ 1956'''}}}}}} || {{{-4 {{{#ffe400 '''1956 ~ 1991'''}}}}}} || [목차] [clearfix] == 개요 == 본 문서는 [[소련]]의 [[국장(문장)|국장]](國章)을 다룬 문서다. == 상세 ==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ерб Союза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состоит из серпа и молота на земном шаре, изображенном в лучах солнца и обрамленном колосьями, с надписью на языках союзных республик: «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Наверху герба имеется пятиконечная звезда.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국장은 태양빛의 형상과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라는 제명이 연방구성 공화국의 언어로[* 1924년 헌법에서는 6개라고 명시해 놨지만 1936년에 새로 헌법이 쓰여지면서 삭제되었다.] 포함된 이삭이 둘러진 지구 위에 올려진 낫과 망치로 구성된다. 국장의 상부에는 5각 별이 있다. >---- >1936년 헌법 12장 제143조[* 1977년 헌법에도 이 조항은 그대로 계승되었다.] 소련의 국장은 [[밀]] 이삭이 전체를 감싸고 있는데 이를 붉은 리본이 묶은 형태로 되어 있다. 이삭은 농민을 상징하는데 [[러시아 제국]]은 서유럽과 달리 농본국가였으며 초기 혁명 이론에서도 [[프롤레타리아]]는 [[농민]]을 말하는 단어였기 때문이다. 밑쪽 [[태양]]의 중심으로부터 지구와 붉은 별의 중심까지의 거리 비율은 1 : 1.5로 이는 [[태양]], [[지구]], [[화성]]의 실제 거리 비율([[AU]])에 맞춘 것이다. 보통 다른 국가의 국장이 [[동물]] 혹은 추상적인 것을 사용하는 것과 다르게 실제적이고 과학적인 시각의 국가이념을 상징한다. 붉은 리본에는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표어가 연방을 이루는 각 공화국의 언어로 적혀 있다. 이 연방을 구성하는 각 공화국의 언어로 된 표어는 [[미국]]의 [[성조기]]의 별 갯수처럼 소련에 공화국이 새로 가입하면 그 수에 맞춰졌다. 따라서 처음에는 6개로 시작했다가 가장 많았을 땐 16개까지 늘었다. [[16번째 공화국]]은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었는데, [[1956년]]에 이 공화국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에 합병되어 소멸하였으니 최종적으로 15개 표어가 남게 되었다. 위 국장은 1956년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에 합병된 시점부터 [[1991년]] [[소련 붕괴]] 시까지 사용한 마지막 형태다. 각 공화국의 언어로 된 표어의 위치는 아래 표와 같다. ||
'''{{{#ffe400 좌}}}''' ||<#fff> || '''{{{#ffe400 우}}}''' || ||<#fff> '''[[투르크멘어]][br]Әхли юртларың пролетарлары, бирлешиң!''' [br](애흘리 유르틀라릉 프롤레타를라르 비를레싱) ||<|7><#fff> ||<#fff> '''[[에스토니아어]][br]Kõigi maade proletaarlased, ühinege!''' [br] (커이기 마데 프롤레타를라세드 위히네게) || ||<#fff> '''[[타지크어]][br]Пролетарҳои ҳамаи мамлакатҳо, як шавед!''' [br] (프롤레타르호이 하마이 맘라캇호 야크 샤베드) ||<#fff> '''[[아르메니아어]][br]Պրոլետարներ բոլոր երկրների, միացե՛ք''' [br] (프롤레타르네르 볼로르 예르크르네리 미아체크) || ||<#fff> '''[[라트비아어]][br]Visu zemju proletārieši, savienojieties!''' [br] (비수 제뮤 프롤레타리에시 사비에누오이에티에스) ||<#fff> '''[[키르기스어]][br]Бардык өлкөлөрдүн пролетарлары, бириккиле!''' [br] (바르드크 욀쾰뢰르뒨 프롤레타를라르 비리킬레) || ||<#fff> '''[[리투아니아어]][br]Visų šalių proletarai, vienykitės!''' [br] (비수 샬류 프롤레타라이 비에니키테스) ||<#fff> '''[[몰도바어]]'''[br]'''Пролетарь дин тоате цэриле, уници-вэ!''' [br] (프롤레타리 딘 토아테 처릴레 우니치버) || ||<#fff> '''[[조지아어]][br]პროლეტარებო ყველა ქვეყნისა, შეერთდით!''' [br] (프롤레타레보 크벨라 크베크니사 셰르트디트) ||<#fff> '''[[아제르바이잔어]][br]Бүтүн өлкәләрин пролетарлары, бирләшин!''' [br] (뷔튄 욀캘래린 프롤레타를라르 비를래신) || ||<#fff> '''[[우즈베크어]][br]Бутун дунё пролетарлари, бирлашингиз!''' [br] (부툰 두니오 프롤레타를라리 비를라싱기즈) ||<#fff> '''[[카자흐어]][br]Барлық елдердің пролетарлары, бірігіңдер!''' [br] (바를르크 옐데르딩 프롤레타를라르 비리깅데르) || ||<#fff> '''[[우크라이나어]][br]Пролетарі всіх країн, єднайтеся!''' [br] (프롤레타리 우시흐 크라인 예드나이테샤) ||<#fff> '''[[벨라루스어]][br]Пралетарыі ўсіх краін, яднайцеся!''' [br] (프랄레타리이 우시흐 크라인 야드나이체샤) || ||<-3><#fff> '''[[러시아어]][br]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br] (프롤레타리이 프세흐 스트란 소예디냐이테시) || 흔히 [[군기]] 등의 깃발에서 자주 보이므로 [[소련군]] 문장으로 오해하는 사람이 많다. 그리고 미국과 영국을 지도에서 의도적으로 생략했는데 지구본의 중심에 [[모스크바]]를 배치해 이런 효과가 부가적으로 발생한 것이다. 사실 따지고 보면 미국 동부가 살짝 보이기는 한다. 다시 말해 소련과 영미는 이념적인 위치만 반대였던 것이 아니라 지리적인 위치마저 반대였던 셈이다. 서포터와 모토, 가운데에 필드를 둔 점, 그리고 별이 크레스트 역을 하고 있으므로 문장학적으로는 전통적인 모양을 따르고 있지만 서포터를 곡물로 두고 필드에 방패 대신 지구본을 그려 놓은 부분은 나름대로 기존의 문장 작도법의 [[클리셰]]를 깬 국장이다. 이후 여러 [[사회주의]] 국가들이 덩달아 소련 국장의 도안을 차용하면서 오늘날에는 정형화된 문장 형태로 자리잡았다. == 소련 구성국 국장 == ||<-5> {{{#ffe400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구성국 국장'''}}} || ||<#fff>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1978-1992).svg|width=50%]] ||<#fff> [[파일: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svg|width=50%]] ||<#fff> [[파일: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1981-1991).svg|width=50%]] ||<#fff> [[파일: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svg|width=50%]] ||<#fff> [[파일: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svg|width=50%]] || || [[러시아 SFSR|{{{#ffd700 '''러시아[br]SFSR'''}}}]] || [[우크라이나 SSR|{{{#ffd700 '''우크라이나[br]SSR'''}}}]] || [[벨로루시 SSR|{{{#ffd700 '''벨로루시[br]SSR'''}}}]] || [[우즈베크 SSR|{{{#ffd700 '''우즈베크[br]SSR'''}}}]] || [[카자흐 SSR|{{{#ffd700 '''카자흐[br]SSR'''}}}]] || ||<#fff> [[파일: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svg|width=50%]] ||<#fff> [[파일: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svg|width=50%]] ||<#fff> [[파일: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svg|width=50%]] ||<#fff> [[파일: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1981-1990).svg|width=50%]] ||<#fff> [[파일: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svg|width=50%]] || || [[그루지야 SSR|{{{#ffd700 '''그루지야[br]SSR'''}}}]] || [[아제르바이잔 SSR|{{{#ffd700 '''아제르바이잔[br]SSR'''}}}]] || [[리투아니아 SSR|{{{#ffd700 '''리투아니아[br]SSR'''}}}]] || [[몰도바 SSR|{{{#ffd700 '''몰도바[br]SSR'''}}}]] || [[라트비아 SSR|{{{#ffd700 '''라트비아[br]SSR'''}}}]] || ||<#fff> [[파일: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svg|width=50%]] ||<#fff> [[파일: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svg|width=50%]] ||<#fff> [[파일: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svg|width=50%]] ||<#fff> [[파일: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svg|width=50%]] ||<#fff> [[파일: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svg|width=50%]] || || [[키르기스 SSR|{{{#ffd700 '''키르기스[br]SSR'''}}}]] || [[타지크 SSR|{{{#ffd700 '''타지크[br]SSR'''}}}]] || [[아르메니아 SSR|{{{#ffd700 '''아르메니아[br]SSR'''}}}]] || [[투르크멘 SSR|{{{#ffd700 '''투르크멘[br]SSR'''}}}]] || [[에스토니아 SSR|{{{#ffd700 '''에스토니아[br]SSR'''}}}]]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소련/상징, version=145, paragraph=4)] [[분류:소련]][[분류: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