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소련군)] ||<-3> '''{{{+1 소련 공수군}}}[br]Воздушно-десантные войска СССР''' || ||<-2> [[파일:소련 공수군기.svg|width=100%]] || [[파일:소련 공수군 엠블럼.jpg|width=75%]] || ||<-2><#3399ff> {{{#gold '''깃발'''}}} ||<#3399ff> {{{#gold '''엠블럼'''}}} || || '''창설일''' ||<-2><(> [[1941년]] [[9월 4일]] || || '''소속''' ||<-2><(> [[소련군]] || ||<-1> '''병력''' ||<-2>77,036명(1991년) || || '''참전''' ||<-2><(>[[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br][[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 [목차] [clearfix] == 개요 == == 개요 == 소련의 공수군이다. == 역사 == 1932년에 [[상트페테르부르크|레닌그라드]]에서 공군 예하 공수여단을 창설을 시작으로 [[독소전쟁]] 발발 3년전인 1936년에는 3개 공수연대 증설, 1941년에는 5개 공수사단으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나치 독일]]의 바르바로사 작전을 시행하며 전쟁이 벌어지자 군비충원으로 인해 1941년 말 단숨에 10개의 공수사단으로 증설되었으나 1942년 여름에 정예병력인 이들은 근위사단으로 전환되었다. 그래서 이들은 전쟁내내 최전선 정예 보병으로써 싸우게 된다. 이렇게 기존 10개 공수사단이 최전방에서 보병으로 뛰는 동안 공수작전이 필요하다고 느낀 소련은 후방에서 점프타워를 동원해 공수기술을 익힌 새로운 20개 여단을 창설했고 이후 이들은 6개 사단으로 통합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군축은 커녕 [[미국]]과의 전쟁을 대비하기 위해서 오히려 증설되어서 공군에서 독립, 1946년에 무려 5개 공수군단, 10개 공수사단으로 구성되었고 2년 뒤에는 5개 공수사단을 추가 증설했다. 그러나 [[냉전]]에 돌입하면서 일부 군축의 필요성을 느낀 소련은 1955년 말에 대대적인 군축을 통해 공수군단이 전부 해체되고 11개 공수사단으로 재편한다. 이들은 점차 양보다 질을 중시하게 되었고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의 헬리본이라는 새로운 강습여단에 인상깊어서 또 규모를 축소시켰으나 그만큼 정예화가 되었고 이들은 소련 위성국가와 관련된 작전을 수행하였다. == 편제 == * [[제7근위산악공수사단]] * 제78근위공수사단 * [[제98근위공수사단]] * 제103근위공수사단 * 제104근위공수사단 * 제105근위공수사단 * [[제106근위공수사단]] * [[제242공수군훈련소]] == 역대 총사령관 == [include(틀:역대 소련 공수군 총사령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러시아 공수군, version=202)] [[분류:소련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