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ソーラン節 [[일본]] [[홋카이도]] 지역의 [[민요]]. 발상지는 샤코탄 반도(積丹半島)와 [[요이치]] 군(余市郡)에 이르는 지역이다. [[청어]]잡이[* 홋카이도 일대는 청어의 번식지로서, 번식기가 되면 청어의 정액으로 바닷물이 희뿌옇게 될 정도라고 한다.]를 하면서 부르던 [[노동요]]이다. --일본판 청어엮자-- 어부들은 이 노래를 정말 우렁차게 불렀는데, 청어잡이 철이 되면 잠자는 시간까지 단축해 가며 집중적으로 청어를 잡아야 했기에 이 노래를 크게 불러 졸음을 쫓았다고 한다. 꾸벅꾸벅 졸다가 차가운 홋카이도의 바다에 빠지면 저체온증으로 사망하는 건 시간문제였기 때문이다. [[태고의 달인 시리즈]]의 [[태고의 달인 시리즈/수록곡/동요|수록곡]]이기도 하며, 템포가 빠르지 않은 오리지널 버젼과, 템포가 빠른 아래의 난추 소란이 함께 수록되어있다. 가사 때문에 소란스러운 노래처럼 느껴진다. 실제로 저것과 발음이 같은 そうらん은 그 소란(騒乱)을 의미한다. == 난추 소란 == 민요가수인 이토 다키오(伊藤多喜雄)가 템포를 빠르게 편곡한 버전인 난추 소란(南中ソーラン)으로 유명하다. 80년대 중반, 왓카나이미나미 중학교에서 학교폭력이나 수업붕괴 등으로 어수선해진 학교 분위기를 되살리기 위해 소란부시 춤 공연을 향토예능부에서 공연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학생들은 촌스럽~~고 구리~~다는 반응을 보였다.[* 확실히 아래의 영상을 틀어서 들어보면 노래 자체가 사람에 따라 촌스럽고 구리기 이를데 없게 들릴 만도 하다(...).] 그러던 와중 1991년 소란부시를 이토 다키오가 편곡한 버전으로 고치고[* 이토는 소란부시로 1989년 제 40회 [[홍백가합전]]에 출전하기도 했다], 춤 동작도 가스가 주쇼(春日壽升)가 새로 만들었다. 이 공연은 제 9회 민요민무 대상 전국대회에서 장려상, 제 10외 대회에서 최고상인 내각총리대신상을 수상하면서 명성을 떨쳤고 일본 전국적으로 유명해지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이토 버전의 소란부시 및 왓카나이미나미 중학교의 안무는 학교의 이름을 따서 난추(南中) 소란이라 불리게 되었다. 현재는 학교의 [[운동회]]나 [[문화제]] 등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한국의 학교와 자매결연을 맺은 일본 학교 학생들이 한국에 와서 가끔 안무를 선보이기도 한다. == 가사 == 민요다 보니 당연히 여러 버전의 가사가 존재한다. 미하시 미치야(三橋美智也)가 부른 다카하시 기쿠타로(高橋菊太郎) 작사 버전(1951) ||일본어||한국어 번역|| ||ヤーレ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にしん来たかと 鴎が騒ぐ 銀のうろこで 瀬が光る チョイ ヤサ エーエンヤアンサーノ ドッコイショ (ハア ドッコイショ ドッコイショ) ||야렌 소란 소란 소란 소란 소란 청어가 왔는가 갈메기가 우는구나 은빛 비늘로 여울이 빛난다 초이! 야세 에에야안사노 돗코이쇼 하아 돗코이쇼 돗코이쇼|| ||ヤーレ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見たか 沖揚げ 聞いたか 音頭 浜に黄金の 花が咲く ヤサ エーエンヤアンサーノ ドッコイショ (ハア ドッコイショ ドッコイショ) ||야렌 소란 소란 소란 소란 소란 보았는가 잡이를 들었는가 타령[* 오키아게 온도(沖上げ音頭)는 [[홋카이도]]의 청어잡이 노래를 총칭하는 말이다.]을 해변에 황금의 꽃이 피는구나 초이! 야세 에에야안사노 돗코이쇼 하아 돗코이쇼 돗코이쇼|| ||ヤーレ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思い出すから 未練がつきぬ 啼くな夜更けの 磯千鳥 ヤサ エーエンヤアンサーノ ドッコイショ (ハア ドッコイショ ドッコイショ) ||야렌 소란 소란 소란 소란 소란 생각이 나니까 미련이 붙는구나 울지마라 깊은밤의 바닷가 물새들아 초이! 야세 에에야안사노 돗코이쇼 하아 돗코이쇼 돗코이쇼|| ||ヤーレ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吹いてくれるな 夜中の嵐 主は今夜も 沖泊り チョイ ヤサ エーエンヤアンサーノ ドッコイショ (ハア ドッコイショ ドッコイショ) ||야렌 소란 소란 소란 소란 소란 불어오지 말아라 밤중에 돌풍아 남편은 오늘밤도 바다서 머문다 초이! 야세 에에야안사노 돗코이쇼 하아 돗코이쇼 돗코이쇼|| 난추 소란(南中ソーラン)으로 알려진 이토 다키오 버전 ||일본어||한국어 번역|| ||※ドッコイショ ドッコイショ (ドッコイショ ドッコイショ)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ドッコイショ ドッコイショ (ドッコイショ ドッコイショ)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돗코이쇼 돗코이쇼 (돗코이쇼 돗코이쇼) 소란 소란 (소란 소란) 돗코이쇼 돗코이쇼 (돗코이쇼 돗코이쇼) 소란 소란 (소란 소란)|| ||ヤーレ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ハイハイ) 声を嗄れよと 唄声上げて 腕もちぎれよ 舞姿 チョイ ヤサエ エンヤ- サーノドッコイショ ※반복 ||야렌 소란 소란 소란 소란 소란 (하이하이) 목이 쉬도록 노랫소리를 높여라 팔이 떨어지는 춤사위로다 초이! 야사에 엔야 사-노 돗코이쇼 ※ 반복|| ||ヤーレ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ハイハイ) ねじりハチマキ 長袢天は 踊れ踊れと ソーラン節よ ヤサエ エンヤ- サーノドッコイショ ※반복 ||야렌 소란 소란 소란 소란 소란 (하이하이) 꽉 묶은 머리띠, 나가반텐[* 일본식 복장의 하나, 노동복으로 입는다]은 춤춰라 춤춰라 소란부시여 야사에 엔야 사-노 돗코이쇼 ※반복|| ||ヤーレ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ソーラン (ハイハイ) オラが多喜雄のソーラン節は 今じゃ北海道の 南中節よ ヤサエ エンヤ- サーノドッコイショ ※반복 ||야렌 소란 소란 소란 소란 소란 (하이하이) 나 다키오의 소란부시는 지금은 홋카이도의 난추부시여 야사에 엔야 사-노 돗코이쇼 ※반복|| == 들어보기 == [youtube(aMNr68hq1aw)] 엔카가수 미하시 미치야가 부른 버전. [youtube(XmYE8t6uKLs)] 게이샤 가수 미치얏코가 부른 버전. [youtube(5qIQ1UrO0cU)] 난추소란으로 불리는 이토 다키오의 업템포 버전 [youtube(qVmJFA0c5mU)] 왓카나이미나미 중학교의 소란부시 안무 공연 [youtube(1oxar4utAq0)] 유투버 유이뿅의 보조배터리에서 편집한 버전 == 각종 창작물에서 == [[오버워치]]에서 [[한조(오버워치)|한조]]가 이 춤을 모티브로 한 듯한 감정 표현을 구사한다. 인게임 내에서는 '어부춤' 이라는 명칭으로 표시된다.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의 남주인공 [[시로가네 미유키]]가 체육대회 2학년 단체공연 준비로 소란부시를 연습할 때 최악의 춤 실력을 보여주었고, 결국 연습을 도와주던 [[후지와라 치카]]가 지쳐 나가버렸다.[* [[후지와라 치카|치카]] 曰, 엑소시스트가 된 기분이었다고...결국, "어째서 제가 매번 회장님같은 얼간이를 담당해야 하는 거냐"는 말까지 했을 정도면... 정말 최악이었던 듯 싶다.][[https://youtu.be/TjZO5DLsXiA?t=43|직접 보자]] 이 에피소드를 위해 아예 오리지널 소란부시까지 작곡한 것은 덤. [[https://youtu.be/tXNwLA_BPUU?t=26|듣기]] || [[파일:이게어딜봐서소란부시야.gif|width=100%]] || 에피소드 후반부에선 소란부시를 마스터 하긴 했는데수준이 소란부시가 아니라 [[유수암쇄권]](...)을 연상케하는 괴상한 춤을 시전하며 끝난다.--[[오라오라]]--[* 치카마저 쓰러지는 그 몸치가 마스터 하게된 이유도 가관인게 [[시노미야 카구야|춤은 그저 보이기만 하면 된다]] VS [[후지와라 치카|춤에는 영혼이 담겨야 한다]] 라는 가치관의 대결과 [[시노미야 카구야|연심]] VS [[후지와라 치카|모성애]]의 싸움에 휘말려 그물의 심정을 이해해서다(...).] [[hololive]] 4기생 소속인 [[아마네 카나타]]가 첫 스트리밍인 [[https://youtu.be/XYLTUUrFeu0?t=2170|2019년 12월 17일자 스트리밍]]에서 이 곡을 직접 불러서 큰 화제가 되었고, 동시에 hololive 측에게 크게 혼이 났다고 한다(...).[* 덤으로 당시 쓰인 반주는 모두 카나타 본인의 목소리로 만들어진 아카펠라 버전이다.] 이후로는 카나타의 정체성으로 자리잡아 맴버십 아이콘에 소란부시 콜이 들어가기도 하고, [[https://youtu.be/nK4v-Xjx7mM|리믹스 버전]]으로도 편곡되어 방송 인트로에서 재생하고 있다. [[분류:민요]][[분류:일본 노래]][[분류:홋카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