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include(틀:소닉 제너레이션즈)]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FF, #800800)" '''{{{+1 {{{#!html 소닉}}}{{{#!html ×}}}{{{#!html 섀도우}}} {{{#!html 제너레이션즈}}}}}}'''[br]'''{{{#!html ソニック}}} {{{#!html ×}}} {{{#!html シャドウ}}} {{{#!html ジェネレーションズ}}}'''[br]'''{{{#!html SONIC}}} {{{#!html X}}} {{{#!html SHADOW}}} {{{#!html GENERATIONS}}}'''}}}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닉x섀도우제너레이션즈로고이미지.jpg|width=100%]]}}} || || '''개발''' ||[[소닉 팀]] || || '''유통''' ||[[SEGA]] || || '''플랫폼''' ||[[PlayStation 5|PS5]] | [[PlayStation 4|PS4]][* [[PlayStation 4 Pro]] 대응.] | [[Nintendo Switch|NS]][br][[Xbox Series X\|S|XBX\|S]] | [[Xbox One|XB1]] | [[Microsoft Windows|Windows]] || || '''ESD''' ||'''콘솔''': [[PlayStation Network|PSN]] | [[Microsoft Store|MS Store]] | [[닌텐도 e숍/Nintendo Switch|닌텐도 e숍]][br]'''PC''': [[Steam]] | [[에픽게임즈 스토어]] || || '''장르''' ||[[액션 게임|3D 하이 스피드 액션]] || || '''플레이 인원수''' ||1명 || || '''출시''' ||[[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2024년]] [[가을]] || ||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 || '''게임 엔진''' || || || '''심의 등급''' || || || '''공식 페이지'''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https://sonic.sega.jp/SonicXShadowGeneration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https://asia.sega.com/SonicXShadowGeneration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br][[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https://sonicxshadowgenerations.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상점 페이지''' ||[[https://store.playstation.com/ko-kr/concept/10008755|[[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height=25]]]] | [[https://www.microsoft.com/store/productid/9MVLZDH2FH05|[[파일:Microsoft Store 로고 다크.svg|height=25&theme=light]][[파일:Microsoft Store 로고.svg|height=25&theme=dark]]]] | [[https://store.nintendo.co.kr/|[[파일:닌텐도 e숍 아이콘.svg|height=25]]]]^^(예정)^^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513280/SONIC_X_SHADOW_GENERATIONS/|[[파일:스팀 아이콘.svg|height=25]]]]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1년작이자 20주년 기념작인 [[소닉 제너레이션즈]]의 리마스터로, 독점 신규 컨텐츠인 '''섀도우 제너레이션즈'''를 더한 확장판. ==# 발매 전 정보 #== [[2024년]] [[1월 29일]] XboxEra 공동 창립자인 Nick Baker는 트위터에 새로운 '[[State of Play]]' 이벤트에 대한 [[https://twitter.com/Shpeshal_Nick/status/1751701131833860185?t=ESn2IYe5utR_CQ_dJyrqfw&s=19|수수께끼 트윗]]를 게시했고, 일부 네티즌들이 이를 해독한 결과 게임 공개 라인업을 유출한 것이 확인되었다. [[https://famiboards.com/threads/sonys-upcoming-state-of-play-release-date-lineup-spoilers.8730/|#]] 트윗에는 '소닉'과 '섀도우', '제너레이션즈'라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었기에 당시 소닉 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다. 이 트윗은 행사 공개 이후 사실임이 확인되었다. 1월 31일, ''''SONIC X SHADOW GENERATIONS''''라는 제목을 단 도메인이 등록된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후 이 도메인은 공식 도메인임이 판명되었다.[[https://sonicxshadowgenerations.com/|#]] 2월 1일, [[PlayStation]]의 행사 [[State of Play]]를 통해 아나운스 트레일러를 정식 공개했다. [[https://youtu.be/CDmVayEU76w?feature=shared|#]] 3월 23일, 서울에서 개최된 소닉 공식 팬미팅【Sonic official fan meeting in Seoul 2024】현장에서 리마스터 &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소식을 추가로 밝혔다. 리마스터 동기 및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개발 이유를 상세하게 밝혔으며, 한국 전용 로고를 '''최초로 공개했다.'''[* 공식 한국 명칭은 '소닉×섀도우 제너레이션'으로 기본적으로 일본 명칭을 따라가나, '제너레이션즈'가 아닌 복수형 -s가 빠진 '제너레이션'으로 표기되었다. 전작 [[소닉 프론티어]]는 'frontiers'를 일어로 음독한 'フロンティア(Furontia)'를 기반으로 번역하였다면, '제너레이션' 표기 같은 경우는 'ジェネレーションズ(Jenerēshon'''zu''')'로 -s 발음이 존재하기 때문에, 굳이 일어 명칭에도 어긋난 형태로 표기할 이유가 있었는 지에 대해 의문을 표하는 시선도 존재한다. 과거 [[소닉 제너레이션즈]] 한국 정발판의 패키지에는 '소닉 제너레이션즈'로 올바르게 표기하였고, 본작 설명에서도 하위 게임들을 가리킬 때 '제너레이션즈'라는 번역명을 사용한 것을 보면 참 아쉬운 제목 선정으로 볼 수 있다.] == 시스템 요구 사양 == ==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LdOHPgIDWhk?)]}}} || || '''{{{#ffffff 아나운스 트레일러[* [[소닉 제너레이션즈]] 게임 플레이 화면을 보여주는 듯 하다가, CG 오프닝 파트에 뜬금없이 섀도우가 끼어들면서 본작의 신규 콘텐츠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쪽으로 전환되는 것이 백미. 이 때 보여준 시퀀스는 [[소닉 어드벤처 2 배틀]]의 오프닝 구도와 유사하다.][* 트레일러에 삽입된 음악은 [[Escape from the City#s-3.1|Escape from the City - Cash Cash RMX]]의 inst. 버전(소젠 파트), 아티스트 Tomáš Herudek의 '[[https://youtu.be/3BaVoo9_30Y?si=lXxdfP7zm9UvR6v6|Smash Your Ememies]]'(섀젠 파트).]}}}''' || == 시놉시스 == ||수수께끼의 괴물 '[[타임 이터(소닉 제너레이션즈)|타임 이터]]'에 의해 생긴 시공의 왜곡으로 인해, [[소닉 더 헤지혹|소닉]]과 [[섀도우 더 헤지혹|섀도우]]의 운명은 움직이기 시작한다. 신규 요소의 추가로, 그리우면서도 새로운 소닉이 가득한 '[[소닉 제너레이션즈]]' 과격하고 쿨한 액션으로 종횡무진 질주하는, 새로운 섀도우를 즐길 수 있는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2개의 타이틀이 세트가 된 『소닉 X 섀도우 제너레이션즈』를 마음껏 즐기자! [[타임 이터(소닉 제너레이션즈)|타임 이터]]에게 빼앗긴 세계의 질서를 바로잡고자 일어서는 두 명의 고슴도치. 결코 만날 일이 없었을 [[클래식 소닉]]과 [[모던 소닉]]이 만나는 순간, 시공을 뛰어넘은 음속의 힘이 내달린다! 한편 그때, [[GUN|군]]의 극비 연구로 태어난 궁극생명체 섀도우는, 분명 [[섀도우 더 헤지혹(게임)|과거에 쓰러뜨렸던]] 숙적 '[[블랙 둠]]'과 재회하였다. 부활을 마치고 세계 정복을 노리는 블랙 둠의 유혹으로 인해, 정의와 악의 사이에서 흔들리는 섀도우. 자신의 과거, 새로운 힘, 지켜야 하는 이들… 각성한 섀도우의 선택이 세계 존망의 열쇠를 쥐고 있다. 시공의 왜곡으로 인해 생겨난 두 세계의 운명은, 소닉과 섀도우의 손에 달렸다. || == 원작과의 차이점 == * '''게임플레이''' * '''그래픽 및 연출''' * 일부 컷신의 카메라 각도가 원판과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트레일러에 삽입된 오프닝 무비는 새롭게 리마스터되었고, 섀도우 파트가 추가되었다. * '''기타''' ===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 ||<-2> '''{{{+1 섀도우 제너레이션즈}}}[br]シャドウジェネレーションズ[br]SHADOW GENERATIONS'''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pg|width=100%]]}}}|| || '''시나리오 구성''' || || [clearfix] 이번 작품에서 추가된 새로운 콘텐츠. * [[호밍 어택]]이 [[카오스 컨트롤]]로 적에게 접근해서 타격하는 기술로 대체되었다. [[섀도우 더 헤지혹(게임)]]의 오프닝 무비에서 유사한 공격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소닉 더 헤지혹(2006)]]에서도 카오스 부스트 및 카오스 스냅을 통해 플레이어가 사용 가능한 기술로 구현된 바 있다. 부스트 시에는 [[소닉 제너레이션즈]]와 [[소닉 포시즈]]처럼 호버 슈즈로 지면 위에 뜬 채로 비행한다. * 아나운스 트레일러에서 공개된 스테이지로는 [[소닉 제너레이션즈(닌텐도 3DS)|원작의 3DS판]]에 수록됐던 [[소닉 어드벤처 2]]의 [[래디컬 하이웨이]]와 [[바이오 리저드]] 전이 확인되었다. 그 밖에도 [[ARK]] 실외로 보이는 스테이지가 하나 찍혔는데, 그라인드 레일의 디자인에 근거하면 [[파이널 러시]] · [[파이널 체이스]] · [[스페이스 가젯]] 중 한 곳이다. ==== 스토리 ==== ==== 스테이지 일람 ==== ==== 등장인물 ==== * '''플레이어 캐릭터''' * [[섀도우 더 헤지혹]] * '''적''' * [[블랙 둠]] * [[바이오 리저드]] == 조작 == == 평가 == == 흥행 == == 기타 == * 정식으로 공개된 제목이 일본 동인 팬덤의 [[커플링(동인)|커플링]] 표기와 유사한 것에 착안해 소나도우(소닉×섀도우)를 첨가한 팬아트가 많이 생겼다. * 발표 기념으로 [[2월 16일]]에 [[소닉 슈퍼스타즈]]의 DLC '섀도우 인형옷 소닉 스킨'이 무료 배포되었다. * 섀도우는 이미 제너레이션즈 본편에서 라이벌 배틀 상대로 등장했었는데, 신규 컨텐츠인 섀도우 제너레이션즈는 시점이 언제인지는 좀 더 기다려봐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한국 팬덤에서는 [[소젠]]을 본따 '''소섀젠''' 혹은 '''소나도우젠''', 영어권 팬덤에서는 이니셜을 딴 '''SxSG'''라고 부르기도 한다. 참고로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식 해시태그는 [[https://twitter.com/SonicOfficialJP/status/1752831169174127073|'''#소닉섀도우G(#ソニックシャドウG)''']]이다. * 전작들과 비교해보면 로고에 쓰인 SONIC의 생김새가 약간 달라졌다. * 본래 스팀으로 출시된 [[소닉 제너레이션즈]]는 모드 개발의 높은 접근성과 규모를 보유한 게임으로 현재까지도 꾸준한 인기를 받고있으나, 본 리마스터작의 출시로 인해 [[소닉 오리진스]] 사례처럼 기존 이식판의 상점 페이지가 내려가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표하는 의견이 많은 편이다. === 추측 === * [[소닉 제너레이션즈]] * 본편 콘텐츠인 소닉 제너레이션즈 쪽에 어떤 신규 요소가 추가되거나, 변경점이 무엇일지도 관건이다. 아직 아나운스 트레일러 이외는 정보가 공개되지 않아 추측들만 무성하나, 기존 이식판의 자잘한 버그 수정 및 편의성 향상[* 예를 들면 이전 리마스터작 [[소닉 컬러즈 얼티밋]], [[소닉 오리진스]]처럼 잔기 시스템 삭제 및 신규 시스템으로 교체, 의상 및 스킬 커스터마이즈, 조작감 개선, 초심자를 위한 난이도 개편 정도가 있다.] 외에도 신규 스테이지[* 대표적으로 3DS판 파란 모험 한정 스테이지의 HD 이식 정도가 거론된다. 여담으로 원작을 그대로 리마스터하였다면, 콘솔판 전용 엑스트라 스테이지인 [[소닉 1]] 이식판도 수록될 수 있다.]및 플레이어블 캐릭터 추가[* [[소닉 포시즈]]의 선례처럼 섀도우 정도는 본편에서도 플레이어블로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와 스킬[* 후보로는 과거 기술 중 유일하게 미등장한 [[소닉 CD]]의 [[슈퍼 필 아웃]]이나, 소닉 제너레이션즈 이후 작품에서 클래식 소닉의 기본 기술로 나왔던 [[드롭 대시]]가 꼽힌다.]의 추가, 스킬 포인트와 같은 일부 시스템의 수정 정도가 거론된다. *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 등장 빌런으로 [[블랙 둠]]과 [[바이오 리저드]]가 공개된 상태인데, 이외에도 [[소닉 제너레이션즈]] 시간대 이전에 섀도우와 대치했던 과거의 적들이 추가적으로 등장할 지에 대해서도 주목받고 있다. 예로 [[디아블론]]을 비롯한 [[GUN]] 계열 메카, [[소닉 더 헤지혹(2006)]] 섀도우 에피소드의 최종보스였던 [[메필레스 더 다크]] 정도가 있다. 이들이 재등장한다면 소젠의 라이벌 배틀처럼 원작보다 더욱 향상된 연출로 돌아올 가능성이 있다. * 시놉시스에서 [[블랙 둠]]이 섀도우의 멘탈을 흔들 것이라는 정보가 공개된 이후, [[섀도우 더 헤지혹(게임)|이미 과거와 결별한데다]] [[소닉 더 헤지혹(2006)|세상이 적으로 돌려도 맞서 싸울 작정인]] 섀도우가 흔들릴 만한 요소는 아킬레스 건 그 자체인 [[마리아 로보트닉]] 밖에 떠오르지 않는지라 19년만에 마리아의 본가 시리즈 재등장을 점치는 의견이 많다.[* 이 경우 등장하는 마리아는 이미 고인이 된 본인이 아니라 섀도우의 과거에 기반하여 구현된 존재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으며, 섀도우 본인에게 있어선 죽은 마리아를 잠시나마 볼 수 있어 그의 입체성도 부각하는 좋은 전개로 이어질 수도 있다.][* 세가 측에서 공식적으로 2024년은 섀도우의 해임을 암시하며 마케팅에 힘을 쏟고 있는데, [[소닉 프론티어]]를 통해 소닉, 테일즈, 너클즈, 에이미의 캐릭터성을 초심자에게도 다시 어필한 만큼 다음 타겟으로 인기 캐릭터인 섀도우를 재확립 시키려는 의도로 해석되고 있다. 이 때문에 신규 유저들에게 섀도우의 캐릭터성을 다시 어필하려면 알파이자 오메가인 마리아가 빠질 수 없으니 재등장을 기대하게 되는 것이다.] * 시놉시스에서는 섀도우의 '새로운 힘'이 특히 강조되며, 인게임 상에서도 [[카오스 컨트롤]], [[카오스 스피어]] 등 섀도우의 시그니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기에 [[섀도우 더 헤지혹(게임)]]의 전투 시스템을 계승할 지에 대해서도 주목되는 사항이다. == 둘러보기 == ||<-5>
'''{{{#white 소닉 시리즈 리마스터·리메이크 작품}}}''' || || [[소닉 컬러즈 얼티밋]] || → || [[소닉 오리진스]] || → || '''소닉 X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소닉 제너레이션즈, version=809)] [[분류:소닉 제너레이션즈]][[분류:2024년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