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include(틀: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애니메이션)] ||<-2>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 화이트.svg|height=13]]]] [[넷플릭스 애니메이션|{{{#fff 시리즈}}}]]'''[br] '''{{{+1 '''{{{#!html 소닉}}}'''}}}''' {{{#c3d3fc {{{+1 '''프라임'''}}}}}} {{{#fff (2022, 2023)}}}[br]'''{{{#!html SONIC}}}''' '''{{{#c3d3fc PRIM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프라임멀티버스.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ffffff 장르}}}''' ||[[액션]], [[어드벤처]], [[이세계 전이물]] || || '''{{{#ffffff,#ffffff 원작}}}'''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 '''{{{#ffffff,#ffffff 총감독}}}''' ||○○ || || '''{{{#ffffff,#ffffff 편집}}}''' ||○○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 || || '''{{{#ffffff,#ffffff 음악}}}''' ||○○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WildBrain Studios|[[파일:WildBrain.png|width=80]]]] | [[https://manofaction.tv/|[[파일:man of action.png|width=80]]]] || || '''{{{#ffffff,#ffffff 제작}}}''' ||○○ || || '''{{{#ffffff,#ffffff 송신 기간}}}''' ||[[애니메이션/2022년 10월|2022. 12. 15.]](시즌 1)[* 8화까지 공개][br][[애니메이션/2023년 7월|2023. 7. 13]](시즌 2)[* 9화부터 16화까지 공개][br](시즌 3)[* 17화부터 마지막화까지 공개] || || '''{{{#ffffff,#ffffff 독점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height=16]]]] [[https://www.netflix.com/kr/title/81294811|▶]]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약 26분 || || '''{{{#ffffff,#ffffff 화수}}}''' ||24화 ([[분할 시즌제]]) || || '''{{{#ffffff,#ffffff 국내 심의 등급}}}''' ||[[전체 관람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25]] {{{#373a3c,#dddddd 전체 관람가}}}]] || }}}}}}}}} || [목차] [clearfix] == 개요 == >'''THE WORLD HE KNOWS IS ABOUT TO SHATTER''' >'''[[소닉 더 헤지혹|그]]가 아는 세상이 조각 나려 한다''' 넷플릭스에서 스트리밍되는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미국, 캐나다 합작 3D/CGI 애니메이션. 2022년 12월 15일 8화까지 1쿨로 공개되었고 2023년 7월 13일 시즌2가 공개되었다. ==# PV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DimpNLizn-A, start=109)]}}} || || '''{{{#fff 최초 티저}}}'''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fJPSNYVSehU)]}}} || || '''{{{#fff 메인 티저}}}'''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9speNR0DGi0)]}}} || || '''{{{#fff 메인 티저 2}}}'''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IvuTYbxoX-w)]}}} || || '''{{{#fff 메인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52Gqk9T3mfA)]}}} || || '''{{{#fff 시즌2 트레일러}}}''' || ===# 방영 전 정보 #=== * 2020년 12월 11일, 팬들이 [[소닉 프론티어]] 소식을 기다리던 중 [[넷플릭스]] 공식 트위터에 소닉 사진이 업로드 되었다가, 몇 시간 만에 삭제되었다. ||[[파일:소닉넷플릭스2022.jpg|width=100%]]|| * 2021년 2월 01일 11:00 경으로, 공식적으로 제목이 공개되었다. 공개된 애니메이션의 정식 명칭은 '소닉 프라임'. 스핀오프작이었던 [[소닉 붐 시리즈]]의 뒤를 잇는 애니메이션 신작이라고 할 수 있다. * 제작에는 캐나다 벤쿠버의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레고 닌자고]], [[카르멘 산디에고]]를 제작한 [[WildBrain Studios|와일드 브레인 스튜디오]], 그리고 맨 오브 액션[* [[벤10]], [[제너레이터 렉스]], [[빅 히어로 6#s-1]] 등 여러 미국 애니, 미국 만화를 만든 것으로 유명하다. 2010년대에는 디즈니(마블 포함) 애니메이션을 많이 제작했다.]이 시리즈의 쇼러너와 책임 프로듀서로 참여한다. 화수는 총 24화. 두 제작사 모두 걸출한 실력을 가졌으나, 정작 둘이 협동한 전작이 팬덤 사이에서 좋은 평을 못 받는 [[메가맨: 풀리 차지드]]라는 것이 소닉 팬들의 걱정거리. * 넷플릭스에 따르면 소닉 프라임에는 소닉 시리즈의 핵심이 담겼으며, [[닥터 스트레인지(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멀티버스의 운명이 소닉의 손에 달렸다고 한다.]] 단순히 달리는 것 이상의 소닉의 자아 발견과 구제를 보여줄 것이라고 장담했다.[[https://comicbook.com/gaming/news/netflix-sonic-prime-announcement-release/|#]] * [[소닉 프론티어]]와 연관성이 있다는 루머가 있다.[[https://www.reddit.com/r/GamingLeaksAndRumours/comments/la3z1b/sonic_prime_netflix_series_announced_heavily/|#]][* 이 말이 사실이면 이전에 출시된 [[소닉 매니아]] → [[소닉 포시즈]] → 소닉 매니아 플러스 앙코르 모드의 내용과 이어지는 이야기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앙코르 모드에서 [[하드 보일드 헤비즈]]의 리더인 헤비 킹이 [[에그 레버리]]에서 [[팬텀 루비]]를 두고 [[에그맨]]에게 하극상을 일으켜 서로 쟁탈전을 벌이다가 [[슈퍼 소닉]]에게 패배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파괴되지 않았으며, 앙코르 모드에서 재기한 이후에는 엔딩에 관계없이 생존했으나 팬텀 루비의 행방은 최종적으로 알 수가 없게 되어서 이 팬텀 루비가 소닉 프라임에 등장하는 것이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유출된 컨셉아트에서는 등장하지 않았으며, 차원 이동 방식도 [[소닉 매니아]]나 [[소닉 포시즈]]와는 다소 다르다. 그러나 예고편에선 패러독스 프리즘이라는 돌만 나오고 팬텀 루비는 나오지 않아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 거의 동시기에 [[소닉 프리 라이더즈]] 이후로 북미 소닉 성우였던 [[로저 크레이그 스미스]]의 하차 소식이 들려왔고, 현 북미 테일즈 성우인 [[콜린 오쇼너시]]마저 프라임에는 출연하지 않는다고 밝히며 소닉 X처럼 북미판 성우진이 떼거지로 바뀌는 게 아니냐는 말이 팬들 사이에 돌았다. 다행히도 로저가 소닉 연기 하차를 철회[[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onic&no=30620&exception_mode=recommend&page=1|#]]하여 다음 작품부터는 담당하게 된다. * 2021년 3월 9일, 소닉 프라임의 두 명의 캐릭터 디자이너가 발표되었다. 한 명은 [[레고]]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시니어 디자이너 및 CG 디자이너를 담당한 베티 퀑(Betty Kwong), 다른 한 명은 게임인 [[크래쉬 밴디쿳 4: 이츠 어바웃 타임]]과 [[스파이로 시리즈|스파이로 리그나이티드 트릴로지]]의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한 니컬러스 콜(Nicholas Kole)이다. [[https://twitter.com/betty_kwong/status/1369042408151810048?s=21|#]] [[https://twitter.com/fromhappyrock/status/1369093637137600517?s=21|#2]] * 소닉 생일 당일인, 2021년 6월 23일에 소닉 프라임 컨셉아트로 보이는 컨셉아트 총 6장이 유출되었다. [[https://twitter.com/TailsChannel/status/1407583400702091266?s=19|#]] * 컨셉아트에서는 기존의 파워 스니커즈와 새로운 디자인의 신발의 등장이 확인되었으며, 각각의 신발의 특성에 맞게 장갑 또한 교체됨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 12월 27일, [[패미통]]에서 이이즈카 타카시와의 인터뷰에서 이이즈카는 2022년 발매 예정인 게임에 대한 코멘트와 동시에 소닉 프라임의 방영 일자를 공개하였다. * 5월 4일, 넷플릭스 공식 계정에서 소닉 프라임의 최초 티저를 공개하였다. [[https://youtu.be/DimpNLizn-A|#]] * 6월 8일 소닉 센트럴에서 공개된 짧은 영상에서 섀도우와 빅의 등장이 공개되었다. * 9월 21일 새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https://youtu.be/fJPSNYVSehU|#]] * 10월 28일 와일드브레인 스튜디오에서 캐릭터 포스터가 공개되었다.[[https://twitter.com/WildBrainStudio/status/1585665047627722752|#]] ---- * [[2023년]] [[1월 19일]], 소닉 공식 트위터는 2기 스크린샷과 대략적인 공개일을 밝혔다. == [[/용어|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소닉 프라임/용어, 앵커=등장인물)] ||<-2>
[[파일:SonicPrimeLogoEN.png|height=75]][br]'''{{{#ffffff,#ffffff 주요 등장인물 & 성우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nic-in-Sonic-Prime.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nic_Prime_Tails.png|width=100%]]}}} || || [[소닉 더 헤지혹|{{{#ffffff,#ffffff 소닉 더 헤지혹}}}]][br]CV 데븐 맥 / [[엄상현|{{{#ffffff,#ffffff 엄상현}}}]] / [[카네마루 준이치|{{{#ffffff,#ffffff 카네마루 준이치}}}]] ||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ffffff,#ffffff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br]CV [[애슐리 볼|{{{#ffffff,#ffffff 애슐리 볼}}}]] / [[조현정(성우)|{{{#ffffff,#ffffff 조현정}}}]] / [[히로하시 료|{{{#ffffff,#ffffff 히로하시 료}}}]]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너클프.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ason_1_Trailer_.jpg|width=100%]]}}} || || [[너클즈 디 에키드나|{{{#ffffff,#ffffff 너클즈 디 에키드나}}}]][br]CV 애덤 누라다 / [[홍범기|{{{#ffffff,#ffffff 홍범기}}}]] / [[칸나 노부토시|{{{#ffffff,#ffffff 칸나 노부토시}}}]] || [[에이미 로즈|{{{#ffffff,#ffffff 에이미 로즈}}}]][br]CV [[섀넌 챈 켄트|{{{#ffffff,#ffffff 섀넌 챈 켄트}}}]] / [[강새봄|{{{#ffffff,#ffffff 강새봄}}}]] / [[카와타 타에코|{{{#ffffff,#ffffff 카와타 타에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nic_Prime_Rouge.jpg |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nic_Prime_Dr.Eggman.png |width=100%]]}}} || || [[루즈 더 뱃|{{{#ffffff,#ffffff 루즈 더 뱃}}}]][br]CV 카즈미 에반스 / [[이새벽|{{{#ffffff,#ffffff 이새벽}}}]] / 오치아이 루미 || [[닥터 에그맨|{{{#ffffff,#ffffff 닥터 에그맨}}}]][br]CV [[브라이언 드러먼드|{{{#ffffff,#ffffff 브라이언 드러먼드}}}]]/ [[황창영|{{{#ffffff,#ffffff 황창영}}}]] / [[나카무라 코타로|{{{#ffffff,#ffffff 나카무라 코타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빅더캐트.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umblr_8f45.jpg|width=100%]]}}} || || [[빅 더 캣|{{{#ffffff,#ffffff 빅 더 캣}}}]][br]CV 이안 한린 / [[황창영|{{{#ffffff,#ffffff 황창영}}}]][* 북미는 섀도우, 한국은 닥터 에그맨과 중복이 맡음.] / [[나가사코 타카시|{{{#ffffff,#ffffff 나가사코 타카시}}}]] || [[섀도우 더 헤지혹|{{{#ffffff,#ffffff 섀도우 더 헤지혹}}}]][br]CV 이안 한린 / [[정재헌|{{{#ffffff,#ffffff 정재헌}}}]] / [[유사 코지|{{{#ffffff,#ffffff 유사 코지}}}]] || == [[소닉 프라임/용어|설정 및 용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소닉 프라임/용어)] == 음악 ==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 ||<-2> '''시즌 1''' || || 1 || 산산조각 난 세상 || || 2 || 이상한 뉴요크 시 || || 3 || 뉴요크를 탈출하라 || || 4 || 험난한 정글 속으로 || || 5 || 이 나무가 아니야 || || 6 || 현재상황 암울 || || 7 || 이곳은 노 플레이스 || || 8 || 팀을 위해서! || ||<-2> '''시즌 2''' || || 9 || 이상하고 위험한 곳 || || 10 || 치열한 전투 || || 11 || 다시 찾은 힘 || || 12 || 출구는 없다 || || 13 || 모든 이유에는 미친 짓이 있다 || || 14 || 두 배의 결투 || || 15 || 깨질 듯한 탄압 || || 16 || 희박한 가능성 || ||<-2> '''시즌 3''' || || 17 || || || 18 || || || 19 || || || 20 || || || 21 || || || 22 || || || 23 || || || 24 || || 22년 12월 15일에 1화부터 8화가 시즌 1로 공개 23년 7월 13일에 9화부터 16화가 시즌 2로 공개되었다. == [[소닉 프라임/평가|평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소닉 프라임/평가)] == 흥행 == ||<-4> '''{{{#fff 넷플릭스 시청 시간}}}''' || || '''날짜''' || '''전체 순위''' || '''영어 순위''' || '''주간 시청 시간''' || || 2022-12-12(월) ~ 2022-12-18(일) || 5위 || 5위 || 27,720,000시간 || || 2022-12-19(월) ~ 2022-12-25(일) || 6위 || 5위 || 26,410,000시간 || || 2022-12-26(월) ~ 2023-01-01(일) || 17위 || 9위 || 13,400,000시간 || || '''{{{#fff 누적 시청 시간}}}''' ||<-3> '''67,530,000시간+α''' || ||<-4> [[https://top10.netflix.com/tv|{{{#fff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 || 발매 하루만에 [[플릭스패트롤]] 기준 TV 순위 4위 진입, 미국 순위는 TV 3위 어린이용 컨텐츠 '''1위'''를 기록했다.[[https://flixpatrol.com/top10/netflix/world/2022-12-16/full/#netflix-2|#]] == 오마주 및 이스터에그 == 공통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전체 소닉이 링을 획득하는 연출이나 맞으면 잃는 연출도 중간중간 원작처럼 나온다. 점프 패드, 가시, 스핀 어택 등 원작의 효과음을 그대로 사용한다. [[호밍 어택]]처럼 공중에서 적을 연속 공격하는 모습도 나오고, 또한 [[부스트(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부스트]]처럼 달릴 때 에너지가 방출된다. 1화 후반부의 모던 시리즈의 게임 플레이처럼 시야가 오마주 된 부분도 있다. 전체적으로 게임 시리즈의 연출을 그대로 사용하려고 한 부분이 많이 보인다. * [[소닉 더 헤지혹 CD]] 소닉이 달릴 때 소닉 CD의 [[대시(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대시]]처럼 다리가 아예 생략되고 소닉의 신발이 8자를 만든다 ---- 1화 * [[소닉 더 헤지혹 2]] 테일즈의 연구소 비밀번호는 1992인데, 이는 테일즈가 처음으로 나온 소닉 2의 발매년도인 1992년을 의미한다. * [[소닉 더 헤지혹 3]] 뉴요크 시티에서 소닉이 건물끝에서 간신히 멈추며 취한 자세는 소닉 3 벼랑 모션과 동일하다. * [[소닉 어드벤처]] 뉴요크 시티 세계관의 빅 더 캣의 노동자 번호가 "1998"인데 이는 데뷔작인 소닉 어드벤처의 발행년도인 1998년을 의미한다. * [[소닉 제너레이션즈]] 그린 힐 존 언덕 위에서 에그맨과 만담을 나눌 때, 소닉이 소닉 제너레이션즈 S 랭크 모션처럼 브레이크 댄스를 춘다. * [[소닉 오리진스]] '나인'과 대화를 나누며 서로의 과거사를 다루는 장면의 시퀀스는 오리진스에 추가된 오프닝 애니메이션과 동일하다. ---- 2화 * [[수퍼 소닉]] 섀도우와 조우하였을 때 화면을 잠시 멈추며 소닉이 그에 대해 설명을 하는 시퀀스는 수퍼 소닉의 오프닝 장면과 유사하다. ---- 3화 * [[소닉 어드벤처 2]] 해당 에피소드 제목이 [[Escape from the City|Escape from New Yoke]]이다. ---- 7화 * [[소닉 더 헤지혹 CD]] 소닉이 최고 속도로 계속 달리자 [[차원이동]]을 하는 점이 소닉 CD의 타임 워프 시스템과 유사하다. * [[소닉 더 헤지혹 3]] 소닉이 해적 세계선에서 너클즈 더 드레드를 만났을 때 너클즈와의 첫 조우 당시를 회상하며 그를 경계를 할 때의 장면에서는 [[소닉 더 헤지혹 3]]의 스테이지 [[히든 팰리스]] 존의 스프라이트를 따왔다. * [[소닉 어드벤처]] 배튼 루즈가 '좌현에 고래 같은 무언가가 보인다'라고 보고하자 소닉은 설마 범고래냐면서 기겁하는데, 범고래는 소닉 어드벤처의 [[에메랄드 코스트]]에서 첫등장하고 이후로도 종종 소닉을 추격한 전적이 있는 기념비적인 요소다. * [[소닉 러시 어드벤처]] 노 플레이스에서 해적들과 뉴 요크 시 세계관에서 넘어온 배드닉들과 대립하며 싸우는 모습과, 에피소드 후반부 악마의 등대로 향할 때 발판을 밟고 높이 날아오르는 기믹은 소닉 러시 어드벤처의 시스템과 상당히 유사하다. == 기타 == * 전작 [[소닉 붐 시리즈]] 3D/CGI 애니메이션의 뒤를 잇는 소닉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나 본편에서는 소닉 붐 시리즈 관련해 일언반구의 언급도 없다. * 캐나다는 자국에서 제작한 애니에 무조건 자국 성우를 채용해야 하는 법령이 존재하기 때문에, [[소닉 X]]처럼 북미 성우진이 대부분 교체되었다. 반면, 일본 쪽은 기존 전담 성우가 다 유지됐지만 한국이나 브라질,프랑스 등 몇몇 나라들은 일부 성우진이 변경된 경우도 있다. * [[https://comicbook.com/gaming/news/netflix-sonic-prime-deven-mack-logan-mcpherson-interview/|프로듀서의 인터뷰에]] 따르면 실버나 카오틱스의 출연도 바라고 있으나 아직 세가랑 와일드브레인으로부터 허가를 받지 못했다는 게 드러났다.[* 여담으로 [[섀도우 더 헤지혹|섀도우]]의 출현 허가도 간신히 받아냈다고 한다.] * 크레딧 이후에 사용된 세가 로고는 [[수퍼 소닉]]에도 사용된 인트로 로고를 사용했다. === 설정붕괴 논란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가 IGN과의 인터뷰에서 본 작품이 세가의 검수를 받은 [[공식설정]]의 일부라고 밝혔다. 게임의 설정을 가진 채로 새로운 공간에서 캐릭터들이 새롭게 반응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이후 [[IDW판 소닉 코믹스 시리즈|IDW 소닉 코믹스]]랑 [[소닉 마니아]]처럼 설정과 등장인물만 공유하는 평행세계인지 게임의 세계관과 완전히 같은 세계라는 말인지는 팬들 사이에서 논쟁이 오갔으나 해외 웹진 코믹북닷컴과의 인터뷰에서 게임과 같은 타임라인인 것으로 확실하게 확인되자 설정 붕괴 논란이 일고 있다.([[https://comicbook.com/gaming/news/netflix-sonic-prime-deven-mack-logan-mcpherson-interview/|#]])[* 답변 내용은 거의 유사하나 이번에는 질문에서 게임과 같은 세계관을 배경으로 하는 게 맞냐고 확실하게 물었고 맞다고 대답했다. 또한 넷플릭스 비하인드 생방송에선 게임과 같은 타임라인이라고 답했다.] 아래는 게임과 같은 타임라인으로 보기에는 어려운 설정오류들이다. * 소닉이 도시를 낯설어한다. 이미 원작 1편부터 [[스프링 야드 존]] 등 도시 관련 스테이 지는 끊임없이 등장했고, 섀도우가 등장하기 시작한 2세대 드림캐스트는 도시와 같은 현대적인 맵 디자인 비중이 큰 시절이다. 다만 파편을 통해 다른 세계로 넘어온 직후 소닉이 처음엔 기억을 제대로 되살리지 못하는 모습과 일부 구조물을 보고 그린 힐이 통째로 기계화 됐다는 점을 깨달은 것을 보면 초반의 패러독스 프리즘의 차원 이동으로 인한 후유증이라고 해석할 여지는 있다. 트럭 휴게소를 언급하거나 만화책, 인터폰을 다루는 것을 보면 소닉이 현대에 대한 지식이 없는 것은 아닌 듯하며, 단순히 에그맨이 만드는 도시는 소닉 세계관이라도 원래부터 일반적인 도시와는 궤를 달리하는 수준이라 낯설어 했다고 볼 수도 있다. * [[플리키]]가 동력이 아닌 로봇을 보고 [[https://m.dcinside.com/board/sonic/48495|신기해한다]]. 심지어 [[오봇]]과 [[큐봇]]은 1화에서 직접보기까지 했다.[* 단 본작의 스토리가 [[소닉 프론티어]] 이전일 가능성이 높다. 이후였다면 에그맨이 등장할때 세이지가 옆에 있어야 하기 때문] * 소닉 외 다른 친구들도 그린 힐에 거주한다. 원작에선 [[너클즈 디 에키드나|너클즈]]는 항상 [[엔젤 아일랜드]]에서 [[마스터 에메랄드]]를 지키면서 지내고,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테일즈]]는 여러 공방에 돌아다니면서 거주하다시피 하며, [[루즈 더 뱃|루즈]]랑 [[에이미 로즈|에이미]]는 [[센트럴 시티(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센트럴시티]]에 거주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프로젝트 소닉'22)]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소닉 프라임(NETFLIX), version=22)] [[분류:소닉 프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