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소닉 더 헤지혹)]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본래 소닉의 소유물이었지만 테일즈가 주로 운용하는 비행기 시리즈, rd1=토네이도(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include(틀:소닉 더 헤지혹 관련 하위 문서)] [목차] == 개요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주인공, [[소닉 더 헤지혹]]이 각종 게임에서 사용하는 개인용 탑승물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대부분이 레이싱 경기를 위한 경주용 머신이다. == 목록 == === 사이클론 === ||<#0064ff> [[소닉 드리프트|{{{#white '''소닉 드리프트'''}}}]] ||<#0064ff> [[소닉 드리프트 2|{{{#white '''소닉 드리프트 2'''}}}]] || ||<#ffffff>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onic_pose_16.jpg|width=400]] ||<#ffffff>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onic-Drift-2-Cyclone-Art.png|width=320]] || 소닉 시리즈 최초의 레이싱 게임 타이틀인 [[소닉 드리프트]]와 그 후속작인 [[소닉 드리프트 2]]에서 탑승한 머신. 레이싱 경기에서 소닉이 사용한 최초의 탈것으로, 이후 소닉이 사용하는 머신들과 달리 전체적으로 새빨갛다. 머신의 성능을 한 줄로 요약하자면 '''최고 속도 중시형 머신'''.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를 낼 수 있지만 코너링 능력이 떨어진다. 스페셜 파워인 '대시'는 급가속하여 일정 시간 동안 최대 속도를 유지하는 기술로, 대시 박스 아이템과 효과가 같다. === 블루 스타 === ||<#0064ff> [[소닉 라이더즈|{{{#white '''소닉 라이더즈'''}}}]]{{{#white '''의 블루 스타 II'''}}} || ||<#ffffff>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Sonic005.png|width=400]][br][* 공식 홈페이지에서 배포 중인 월페이퍼에 쓰인 아트워크. 어째서인지 처음 만들어진 블루 스타 대신 후계기인 '''블루 스타 II'''를 들고 있다.] || 소닉 라이더즈 시리즈에서는 매번 '블루 스타'라는 이름의 전용 익스트림 기어가 하나씩 등장한다. 어느 것이든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테일즈]]가 직접 커스터마이즈한 물건이며, 익스트림 기어 전문가인 [[웨이브 더 스왈로]]가 만든 기어에도 크게 뒤지지 않는다. 실제로 블루 스타는 [[젯 더 호크]] 전용 기어인 '타입-J'와 게임상 성능이 동일하다. 각 게임에서 조건을 충족하면 [[카오스 에메랄드]]를 소닉 전용 익스트림 기어로써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슈퍼 소닉]]이 블루 스타에 탑승하며, 소닉이 [[슈퍼화|변신]]하기 전과 비교하면 성능과 운용법이 크게 달라진다. ==== [[소닉 라이더즈]] ==== ||<-4><#0064ff> {{{#white '''소닉 라이더즈 - 익스트림 기어 성능 테이블'''}}} || ||<|2><#c1d6ff> '''기어''' ||<#ffffff> '''블루 스타''' ||<#ffffff> '''블루 스타 II''' ||<#ffffff> '''[[카오스 에메랄드]]'''[br]([[슈퍼 소닉]] + 블루 스타) ||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lue_Star_-_Artwork_-_%281%29.png]]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lue_Star_II_SR.png]]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haos_Emerald_SR.png]] || ||<#c1d6ff><:> '''가속력''' ||<#ffffff> ★★★{{{#cccccc ☆☆☆☆}}} ||<#ffffff> ★★★★{{{#cccccc ☆☆☆}}} {{{#0000ff (+1)}}} ||<#ffffff> ★★★★★{{{#cccccc ☆☆}}} {{{#0000ff (+2)}}} || ||<#c1d6ff><:> '''최고 속도''' ||<#ffffff> ★★★★{{{#cccccc ☆☆☆}}} ||<#ffffff> ★★★★★{{{#cccccc ☆☆}}} {{{#0000ff (+1)}}} ||<#ffffff> ★★★★★★{{{#cccccc ☆}}} {{{#0000ff (+2)}}} || ||<#c1d6ff><:> '''파워''' ||<#ffffff> ★★★{{{#cccccc ☆☆☆☆}}} ||<#ffffff> ★★{{{#cccccc ☆☆☆☆☆}}} {{{#ff0000 (-1)}}} ||<#ffffff> ★★★★★{{{#cccccc ☆☆}}} {{{#0000ff (+2)}}} || ||<#c1d6ff><:> '''코너링''' ||<#ffffff> ★★{{{#cccccc ☆☆☆☆☆}}} ||<#ffffff> ★{{{#cccccc ☆☆☆☆☆☆}}} {{{#ff0000 (-1)}}} ||<#ffffff> ★★{{{#cccccc ☆☆☆☆☆}}} {{{#008800 (±0)}}} || ||<#c1d6ff><:> '''사용 가능 스킬''' ||<#ffffff> 그라인드 ||<#ffffff> 그라인드 ||<#ffffff> 그라인드[br]에어 라이드[br]익스클루전 || ||<#c1d6ff><:> '''비고''' ||<#ffffff> - ||<#ffffff> - ||<#ffffff> 레벨 업을 하지 않는다. || [[로보트닉]] 社의 스피드 타입 에어보드를 테일즈가 커스터마이즈한 결과물들. 스토리 중에 [[웨이브 더 스왈로|웨이브]]가 블루 스타를 폭파시키기 때문에 후속작들과 달리 '블루 스타 II'라는 별도의 기어가 등장한다. 초기 블루 스타와 비교해보면 속도를 내는 것에 좀더 특화된 대신 안정성이 떨어졌는데, 소닉 드리프트 시리즈의 사이클론과 성질이 비슷해졌다고 볼 수 있다. 참고로 [[슈퍼 소닉]]이 블루 스타 II에 타는 일은 없다. ==== [[소닉 라이더즈 슈팅 스타 스토리]] ==== ||<-5><#0064ff> {{{#white '''소닉 라이더즈 SSS - 익스트림 기어 성능 테이블'''}}} || ||<|2><#c1d6ff> '''기어''' ||<-2><#ffffff> '''블루 스타''' ||<-2><#ffffff> '''[[카오스 에메랄드]]'''[br]([[슈퍼 소닉]] + 블루 스타) || ||<-2>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Exgear_bluestar.png|width=200]] ||<-2>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ChaosEmeraldZeroGravity.png]] || ||<#c1d6ff><:> '''가속력''' ||<-2><#ffffff> ★★★{{{#cccccc ☆☆☆}}} ||<-2><#ffffff> ★★★{{{#cccccc ☆☆☆}}} {{{#008800 (±0)}}} || ||<#c1d6ff><:> '''최고 속도''' ||<-2><#ffffff> ★★★★{{{#cccccc ☆☆}}} ||<-2><#ffffff> ★★★{{{#cccccc ☆☆☆}}} {{{#ff0000 (-1)}}} || ||<#c1d6ff><:> '''파워''' ||<-2><#ffffff> ★★★{{{#cccccc ☆☆☆}}} ||<-2><#ffffff> ★★★{{{#cccccc ☆☆☆}}} {{{#008800 (±0)}}} || ||<#c1d6ff><:> '''코너링''' ||<-2><#ffffff> ★★★{{{#cccccc ☆☆☆}}} ||<-2><#ffffff> ★★★{{{#cccccc ☆☆☆}}} {{{#008800 (±0)}}} || ||<|3><#c1d6ff><:> '''장착 기어 파츠 / 활성화 비용''' ||<#ffffff> 최고 속도 UP ||<#ffffff> 링 20개 ||<#ffffff> 링 캐퍼시티 UP (+25) ||<#ffffff> 링 30개 || ||<#ffffff> 그라인드 ||<#ffffff> 링 50개 ||<#ffffff> 링 캐퍼시티 UP (+25) ||<#ffffff> 링 40개[* 링 30개가 들어가는 링 캐퍼시티 UP 기어 파츠를 먼저 활성화하지 않으면 이 파츠를 활성화할 수 없다.] || ||<#ffffff> GP 게이지 업 (+25) ||<#ffffff> 링 70개 ||<#ffffff> 자력 배리어 ||<#ffffff> 링 50개 || 테일즈가 레드 록, 옐로 테일과 함께 새로 만들어낸 블루 스타. 전작이나 후속작과 달리 [[카오스 에메랄드]]를 사용할 때 블루 스타의 기본 성능이 오히려 떨어진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아예 써먹지 못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기어에 없는 시스템을 통해 부족한 기본 성능을 보완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슈퍼 소닉]] 문서 참조. ==== [[소닉 프리 라이더즈]] ==== ||<-3><#0064ff> {{{#white '''소닉 프리 라이더즈 - 익스트림 기어 성능 테이블'''}}} || ||<|2><#c1d6ff> '''기어''' ||<#ffffff> '''블루 스타''' ||<#ffffff> '''[[카오스 에메랄드]]'''[br]([[슈퍼 소닉]] + 블루 스타) ||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lue_Star_Free_Riders.png]]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haos_Emeralds_%28Sonic_Free_Riders%29.png]] || ||<#c1d6ff><:> '''가속력''' ||<#ffffff> ★★★{{{#cccccc ☆☆☆}}} ||<#ffffff> ★★★★★{{{#cccccc ☆}}} {{{#0000ff (+2)}}} || ||<#c1d6ff><:> '''최고 속도''' ||<#ffffff> ★★★{{{#cccccc ☆☆☆}}} ||<#ffffff> ★★★★★{{{#cccccc ☆}}} {{{#0000ff (+2)}}} || ||<#c1d6ff><:> '''파워''' ||<#ffffff> ★★★{{{#cccccc ☆☆☆}}} ||<#ffffff> ★★★★★{{{#cccccc ☆}}} {{{#0000ff (+2)}}} || ||<#c1d6ff><:> '''코너링''' ||<#ffffff> ★★★{{{#cccccc ☆☆☆}}} ||<#ffffff> ★★★{{{#cccccc ☆☆☆}}} {{{#008800 (±0)}}} || ||<#c1d6ff><:> '''장착 가능한 기어 파츠의 개수''' ||<#ffffff> 2개 ||<#ffffff> 0개 (장착 불가) || === 스피드 스타 === 올스타 레이싱 시리즈와 [[팀 소닉 레이싱]]에서 소닉이 탑승하는 자동차. 게임에 스턴트 액션이 포함되어있다 보니 소닉 드리프트 시리즈의 사이클론보다 훨씬 험하게 구른다. 심지어 [[소닉 더 헤지혹|운전자 본인]]이 핸들에서 손 떼고 차체 위에 서서 쇼를 하거나, 운전석 위에서 방방 뛰는 것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슈퍼 소닉|올스타 아이템을 사용할 때면 기어이 차에서 내리고 만다]](...). [[소닉 & 세가 올스타 레이싱]]에 수록된 소닉의 프로필에 의하면 이것도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테일즈]]가 만들어준 머신이다. 또한 소닉이 같은 게임에 등장하는 다른 선수들과 공평한 경기를 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기도 하다. 설정상 '''[[초고속능력|소닉이 발로 뛰면 다른 선수들이 소닉을 이길 수 없기 때문.]]''' 예외로 [[팀 소닉 레이싱]]의 머신은 테일즈의 작품이 아니며, 그랑프리 레이스의 주최자인 도돈 파가 제공한 것이다. ==== [[소닉 & 세가 올스타 레이싱]] ==== ||<#ffffff>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onic2.png|width=400]] ||<#ffffff>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Sonic-big.png|width=400]] || ||<-2><#0064ff> {{{#white '''성능'''}}} || ||<#c1d6ff><:> '''스피드''' ||<#ffffff> ★★★★★★{{{#cccccc ☆☆☆☆}}} || ||<#c1d6ff><:> '''액셀''' ||<#ffffff> ★★★★★★★★{{{#cccccc ☆☆}}} || ||<#c1d6ff><:> '''핸들링''' ||<#ffffff> ★★★★★★{{{#cccccc ☆☆☆☆}}} || ||<#c1d6ff><:> '''터보 부스트''' ||<#ffffff> ★★★★★★★★★★ || 소닉 라이더즈 시리즈 때도 그랬지만, 레이서 선택 화면에 표시되는 스테이터스를 보면 '''기본 스피드는 의외로 어중간하다.''' 이는 핸들링 능력도 마찬가지. 대신 가속력은 높은 편이고 '''터보 부스트 능력치가 최댓값으로 표시된다.''' ([[Steam|스팀판]] 기준) 그런데 [[닥터 에그맨]]과 [[빅 더 캣]]의 머신은 스피드와 터보 부스트 능력치가 '''둘 다 높아서''', 컨트롤 잘 하는 AI가 이 두 캐릭터를 잡을 경우 소닉이 속도 대결에서 밀리는 일도 이따금 발생한다. 여담으로 이 게임에서 스피드 스타의 디자인을 살펴보면 몇 가지 자잘한 장식을 찾아볼 수 있다. [[소닉 팀]]의 로고에 포함된 소닉 그림이 머신 정면에 조그맣게 찍혀있고, 각각의 타이어에도 'SONIC THE HEDGEHOG'이라는 문구가 두 번씩 적혀있다. ==== [[소닉 & 올스타 레이싱 트랜스폼드]] ==== ||<-2><#0064ff> {{{#white '''자동차 형태'''}}} || ||<-2><#ffffff>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onic_asrt_unstreched.png|width=400]] || ||<#0064ff> {{{#white '''비행기 형태'''}}} ||<#0064ff> {{{#white '''보트 형태'''}}} || ||<#ffffff>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SA6.png|width=400]] ||<#ffffff>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SA7.png|width=400]] || 머신이 게임 특유의 시스템에 맞게 '''보트와 비행기로 변형할 수 있는''' 차량으로 바뀌었다. 또한 일러스트상으로는 전체적인 색상이 전작에 비해 살짝 옅어졌으며 장식적인 요소도 줄었다. ||<-8><#0064ff> {{{#white '''기본 성능'''}}} || ||<#c1d6ff><:> '''스피드''' ||<#ffffff> ★★★★★{{{#cccccc ☆}}} || ||<#c1d6ff><:> '''액셀''' ||<#ffffff> ★★{{{#cccccc ☆☆☆☆}}} || ||<#c1d6ff><:> '''핸들링''' ||<#ffffff> ★★★{{{#cccccc ☆☆☆}}} || ||<#c1d6ff><:> '''부스트''' ||<#ffffff> ★★{{{#cccccc ☆☆☆☆}}} || ||<#c1d6ff><:> '''올스타''' ||<#ffffff> ★★{{{#cccccc ☆☆☆☆}}} || 전작과는 정반대로 기본 스피드가 매우 높은 대신 액셀과 부스트가 낮다. 문제는 이 게임에서 부스트가 스피드보다 휠씬 중요하다는 것(...). 경험치를 모아 각종 모드를 적용하면 아래와 같이 성능이 달라진다. 올스타의 경우 모드에 관계없이 스테이터스에 변화가 없다. ||<-4><#0064ff> {{{#white '''모드별 성능 테이블 (1)'''}}} || ||<#c1d6ff> '''모드''' ||<#ffffff> '''밸런스드''' ||<#ffffff> '''핸들링''' ||<#ffffff> '''부스트''' || ||<#c1d6ff><:> '''스피드''' ||<#ffffff> ★★★★{{{#cccccc ☆☆}}} {{{#ff0000 (-1)}}} ||<#ffffff> ★★★{{{#cccccc ☆☆☆}}} {{{#ff0000 (-2)}}} ||<#ffffff> ★★★★{{{#cccccc ☆☆}}} {{{#ff0000 (-1)}}} || ||<#c1d6ff><:> '''액셀''' ||<#ffffff> ★★{{{#cccccc ☆☆☆☆}}} {{{#008800 (±0)}}} ||<#ffffff> ★★{{{#cccccc ☆☆☆☆}}} {{{#008800 (±0)}}} ||<#ffffff> ★{{{#cccccc ☆☆☆☆☆}}} {{{#ff0000 (-1)}}} || ||<#c1d6ff><:> '''핸들링''' ||<#ffffff> ★★★★{{{#cccccc ☆☆}}} {{{#0000ff (+1)}}} ||<#ffffff> ★★★★★{{{#cccccc ☆}}} {{{#0000ff (+2)}}} ||<#ffffff> ★★★★{{{#cccccc ☆☆}}} {{{#0000ff (+1)}}} || ||<#c1d6ff><:> '''부스트''' ||<#ffffff> ★★{{{#cccccc ☆☆☆☆}}} {{{#008800 (±0)}}} ||<#ffffff> ★★{{{#cccccc ☆☆☆☆}}} {{{#008800 (±0)}}} ||<#ffffff> ★★★{{{#cccccc ☆☆☆}}} {{{#0000ff (+1)}}} || ||<-4><#0064ff> {{{#white '''모드별 성능 테이블 (2)'''}}} || ||<#c1d6ff> '''모드''' ||<#ffffff> '''액셀러레이션''' ||<#ffffff> '''스피드''' ||<#ffffff> '''콘솔 모드 (MD)''' || ||<#c1d6ff><:> '''스피드''' ||<#ffffff> ★★★★{{{#cccccc ☆☆}}} {{{#ff0000 (-1)}}} ||<#ffffff> ★★★★★★ {{{#0000ff (+1)}}} ||<#ffffff> ★★★★★{{{#cccccc ☆}}} {{{#008800 (±0)}}} || ||<#c1d6ff><:> '''액셀''' ||<#ffffff> ★★★{{{#cccccc ☆☆☆}}} {{{#0000ff (+1)}}} ||<#ffffff> ★{{{#cccccc ☆☆☆☆☆}}} {{{#ff0000 (-1)}}} ||<#ffffff> ★{{{#cccccc ☆☆☆☆☆}}} {{{#ff0000 (-1)}}} || ||<#c1d6ff><:> '''핸들링''' ||<#ffffff> ★★★★{{{#cccccc ☆☆}}} {{{#0000ff (+1)}}} ||<#ffffff> ★★★{{{#cccccc ☆☆☆}}} {{{#008800 (±0)}}} ||<#ffffff> ★★{{{#cccccc ☆☆☆☆}}} {{{#ff0000 (-1)}}} || ||<#c1d6ff><:> '''부스트''' ||<#ffffff> ★{{{#cccccc ☆☆☆☆☆}}} {{{#ff0000 (-1)}}} ||<#ffffff> ★★{{{#cccccc ☆☆☆☆}}} {{{#008800 (±0)}}} ||<#ffffff> ★★★★{{{#cccccc ☆☆}}} {{{#0000ff (+2)}}} || ==== [[팀 소닉 레이싱]] ==== ||<#ffffff> [[파일:TSR_스피드스타.png]] || 소닉 시리즈에서 세 번째로 등장한 스피드 스타. 기존의 스피드 스타와 달리 테일즈가 아닌 도돈 파가 제공한 머신으로, 도돈 파가 갖춘 최첨단 테크놀러지가 쓰였다고 한다. 스토리의 결말부에서는 [[파이널 포트리스]]의 동력원이 일으킨 폭발에 휘말려서 소실된다. 공식 홈페이지에 올라온 기본 파라미터를 확인해보면 [[섀도우 더 헤지혹|섀도우]]의 다크 리퍼, [[블레이즈 더 캣|블레이즈]]의 로열 채리엇과 함께 가장 높은 톱 스피드를 자랑한다. 차량 부품을 교체하면 외형과 성능에 변화를 줄 수 있으며, 다른 파라미터를 포기하는 대신 톱 스피드를 더 높이는 것도 가능. === 블루 포스 원 === ||<#0064ff> {{{#white '''Blue Force One'''}}} ||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lueForceOne.png]] || [[소닉 붐(애니메이션)|소닉 붐 TVA]]에서 [[붐 소닉]]이 조종하는 바이크. 설정상 소닉이 발로 뛰어서 갈 수 없는 곳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이다. 처음 등장한 에피소드는 2기 1화로, 쓰이지 않을 때는 소닉의 집 앞에 그냥 방치된다. 바퀴가 앞에 두 개, 뒤에 한 개로 총 3개가 달려있다. 이 바퀴를 변형하면 비행도 가능하고 [[스노모빌]] 모드로 전환하면 눈길도 달릴 수 있다. 계기판에 의하면 최대 100까지 속력을 낼 수 있는 듯하나, 단위가 km/h인지 mph인지는 불명. 참고로 이름은 [[에어 포스 원]]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소닉 본인은 2기 10화에서 '''1인승이라서 블루 포스 ONE'''이라는 [[드립]]을 쳤다. >[[에이미 로즈(소닉 붐 시리즈)|에이미]] : 소닉, [[오봇&큐봇|얘들]] 좀 블루 포스 원에 태워줄 수 있을까? >[[소닉 더 헤지혹(소닉 붐 시리즈)|소닉]] : 어... 미안한데, 이게 '''블루 포스 쓰리'''가 아니라 '''블루 포스 원'''이라 불리는 데는 이유가 있어. === 소닉 스피드스터 === ||<#0064ff> {{{#white '''Sonic Speedster'''}}} || || [[파일:SonicSpeedster.webp|width=500]] || [[소닉 붐(애니메이션)|소닉 붐 TVA]]에서 [[붐 소닉]]이 운전하는 차량. 외형은 [[포뮬러 1]] 레이싱카를 닮았다. === 기타 === ||<#ffffff> [[파일:소닉 패트롤 카004.jpg|width=480]] || * 소닉이 탈것을 운전하는 모습이 등장한 최초의 게임은 [[와쿠와쿠 소닉 패트롤 카]]이며, 여기서 소닉이 운전한 차량은 게임 이름이 암시하듯 '''[[경찰차]]'''이다. * [[소닉 더 헤지혹 3]]에서는 본인의 소유가 아니지만 [[런치 베이스]]에 놓여있는 '''[[에그 모빌]]'''에 잠시 올라탔다. * [[소닉 X 2기]]에서 [[크리스토퍼 존다이크]]가 익스트림 기어와 유사한 형태의 보드를 만들어준 적이 있다. 다만 여기서는 순수하게 이동과 전투를 보조하는 데에만 쓰였다. [각주] [[분류:소닉 더 헤지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