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메가 드라이브로 발매된 동명의 게임, rd1=소닉 더 헤지혹(1991))] ||<-3>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white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br],,{{{#white (}}}[[게임 기어|{{{#white 게임 기어}}}]] {{{#white /}}} [[세가 마스터 시스템|{{{#white 세가 마스터 시스템}}}]]{{{#white )}}},, || || '''소닉 더 헤지혹''' || → || [[소닉 더 헤지혹 2(8비트)|소닉 더 헤지혹 2]] || ||<-2> '''{{{#white 소닉 더 헤지혹[br]ソニック・ザ・ヘッジホッグ[br]SONIC THE HEDGEHOG}}}''' || ||<-2> [[파일:external/www.consolepassion.co.uk/sega-game-gear-sonic-the-hedgehog-jap.jpg|width=240]] || || '''개발''' ||에인션트|| || '''유통''' ||[[세가|[[파일:세가 로고.svg |width=50]]]]|| || '''플랫폼''' ||[[게임기어|[[파일:Game_gear_Logo.png|width=30]]]] ---- [[세가 마스터 시스템|[[파일:Master_System_Logo.png|width=75]]]] ---- [[닌텐도 게임큐브|[[파일:닌텐도 게임큐브 로고_상하.svg|width=30]]]]{{{-2 ([[소닉 어드벤처]] DX)}}} ---- [[Wii|[[파일:Wii 로고.svg|width=25]]]] ([[버추얼 콘솔|[[파일:버추얼 콘솔 로고.svg|width=100]]]]) ---- [[닌텐도 3DS|[[파일:닌텐도 3DS 로고.svg|width=75]]]] ([[버추얼 콘솔|[[파일:버추얼 콘솔 로고.svg|width=100]]]]) ---- 게임 기어 미크로 ---- [[Nintendo Switch|[[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 |width=75]]]]{{{-2 (소닉 오리진 플러스)}}} || || '''ESD''' ||[[닌텐도 e숍/닌텐도 3DS · Wii U |[[파일:닌텐도 e숍 로고.svg|height=16]]]] || || '''출시일''' ||[[세가 마스터 시스템|[[파일:Master_System_Logo.png|width=75]]]][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크기=20)] [include(틀:국기, 국명=유럽, 출력= , 크기=20)] [[1991년]] [[10월 25일]] ---- [[게임기어|[[파일:Game_gear_Logo.png|width=30]]]][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크기=20)] [include(틀:국기, 국명=유럽, 출력= , 크기=20)] [[1991년]] 12월[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크기=20)] [[1991년]] [[12월 28일]] ---- [[닌텐도 게임큐브|[[파일:닌텐도 게임큐브 로고_상하.svg|width=30]]]][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크기=20)] 2003년 6월 18일[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크기=20)] 2003년 6월 19일[br][include(틀:국기, 국명=유럽, 출력= , 크기=20)] 2003년 6월 27일 ---- [[Wii|[[파일:Wii 로고.svg|width=25]]]][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크기=20)] 2008년 8월 4일[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크기=20)] 2008년 8월 5일[br][include(틀:국기, 국명=유럽, 출력= , 크기=20)] 2008년 9월 29일 ---- [[닌텐도 3DS|[[파일:닌텐도 3DS 로고.svg|width=75]]]][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크기=20)] [include(틀:국기, 국명=유럽, 출력= , 크기=20)] 2013년 6월 13일[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크기=20)] 2013년 12월 4일 ---- '''게임 기어 미크로'''[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크기=20)] 2020년 10월 6일 ---- [[Nintendo Switch|[[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 |width=75]]]][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크기=20)] 2023년 6월 23일 || || '''{{{#F6FC7A 다운로드 판매 종료}}}''' ||2023년 3월 28일 [[버추얼 콘솔|[[파일:버추얼 콘솔 로고.svg|width=100]]]] || || '''장르''' ||[[액션 게임]]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D00HFMfmro)] || || '''게임 플레이 영상''' || [[세가]]의 [[메가 드라이브]] 게임 [[소닉 더 헤지혹(1991)|소닉 더 헤지혹]]을 기반으로, [[게임 기어]] 와 [[세가 마스터 시스템]]으로 마이너 체인지한 작품. 그래픽이나 다양한 트랩 삭제 등 여러 요소가 성능상 많이 다운되었지만 __속도감도 [[메가 드라이브|MD]]판에 비해서 많이 떨어져 버린 것이__ 게임 최대의 약점이다. 기종 한계상 당연한 부분이지만, 한편으로는 단순히 마이너 이식에 그치지 않고 [[메가 드라이브]]판과 달리 전혀 다른 요소가 도입된 부분도 여러가지 있어, 이중 일부 요소는 게임 기어판 번외 시리즈의 고정적인 특징으로 자리잡았다. 정식 후속작으로는 역시 [[메가 드라이브]]판 [[소닉 더 헤지혹 2]]를 기반으로 한 마이너 체인지 작품 [[소닉 더 헤지혹 2(8비트)|소닉 더 헤지혹 2]]가 있다. == [[메가 드라이브|MD]]판 [[소닉 더 헤지혹(1991)|소닉 더 헤지혹]]과 구분되는 특징 == * [[카오스 에메랄드]]를 스페셜 스테이지가 아닌 '''게임 진행 중'''에 얻어야 한다. 대부분 존의 구석진 곳이나 잘 가기 힘든 것들에 위치하고 있다. 모두 모으면 엔딩이 바뀌는 건 [[메가 드라이브]]판과 같다. * 링은 100개 모으면 [[1UP]]로 가산 후 [[메가 드라이브]]판과 다르게 링 개수가 바로 0개로 리셋된다. * 액트 마지막의 패널을 건드리면 4가지 결과가 나오는데, 결과와 출현 조건은 다음과 같다. 이 조건 때문에 스페셜 스테이지로 가려면 링 50개 이상 100개 미만으로 꼭 유지해야만 한다. * 에그맨: 꽝 * 느낌표: 스페셜 스테이지. 링 카운트가 50~99개일 때 나타난다. 스크랩 브레인 존부터는 나타나지 않는다. * 링: 링 카운트가 10개 가산된다. 링 카운트가 0, 10, 20, 30, 40개일 때 나타난다. 기본적으로 스크랩 브레인 존부터는 나타나지 않지만, 스카이 베이스 존 액트 2는 반드시 이게 걸린다. * 소닉: 1UP. 액트 클리어 시 링 카운트가 특정 범위 내에 있을 때 걸린다. 범위는 액트마다 다르다. || 액트 || 소닉 패널이 나오기 위한 링 카운트 || || 그린 힐 존 액트 1 || 11~19 || || 그린 힐 존 액트 2 || 21~29 || || 브리지 존 액트 1 || 41~49 || || 브리지 존 액트 2 || 11~19 || || 정글 존 액트 1 || 31~39 || || 정글 존 액트 2 || 41~49 || || 래버린스 존 액트 1 || 21~29 || || 래버린스 존 액트 2 || 31~39 || || 스크랩 브레인 존 액트 1 || 11~19 || || 스크랩 브레인 존 액트 2 || 21~29 || || 스카이 베이스 존 액트 1 || 41~49 || * [[링]]을 잃으면 [[메가 드라이브]]판과 다르게 성능상 문제가 있었는지, 절대로 다시 링을 주을 수가 없다. * 배리어가 사라질 때, 무적 판정이 '''없다.''' 재수없게 트랩이나 적을 등진 상태에서 배리어를 잃었다간 링까지 모두 잃어버리게 된다. * 사망시 효과음만 재생되고 BGM의 변화가 없던 [[메가 드라이브]]판과 달리, 사망시 고유한 BGM이 재생된다. * 사망시 해당 지점에서 재시작하게 해줬던 MD판의 스타트 마커가 화살표 아이템으로 대체되었다. * 스페셜 스테이지는 [[메가 드라이브]]판과 다르게 회전 패턴 대신 [[스프링]] 및 [[핀볼]] 등의 장치로 점철된 곳인데, 어찌보면 [[메가 드라이브]]판 스프링 야드 존의 분위기와 비슷하다. [* 통과 제한시간이 있는데, 타임 오버 전까지 들어와야 입수한 아이템이 인정된다. 그리고 컨티뉴는 여기에서만 아이템 형식으로 획득할 수 있다.] * 스크랩 브레인 존을 제외한 각 존의 액트 3은 [[메가 드라이브]]판 처럼 스테이지 였다가 끝 부분에서 보스전이 진행되는 것과 달리 오로지 보스전 스테이지이다. 그리고 파이널 존을 제외한 보스전 전에 링을 주는 [[메가 드라이브]]판과 다르게, [[게임 기어]]판은 링이 전혀 주어지지 않는다. 이는 이후 게임 기어용 소닉 시리즈의 특징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으며 [[게임 기어]]의 성능상 스테이지가 [[메가 드라이브]]판 보다 쉽게 만들어질 수 밖에 없으나, 이 방법으로 [[게임 기어]]판 소닉 게임들의 난이도를 높이게 만드는 것에 일조했다. == [[세가 마스터 시스템]] 버전 == 북미, 유럽 한정[* 국내에도 삼성에서 수입했었다.]으로 세가 마스터 시스템에도 이식되었는데, 스테이지 구성은 똑같으나 전체적으로 지형지물과 트랩, 보스 패턴 등이 게임 기어판보다 더욱 어렵게 조정되어 있었다. [*심지어 스페셜 스테이지 제한시간도 마스터 시스템판이 훨씬 짧았다.] 사실 마스터 시스템판이 게임 기어판보다 2개월 먼저 발매되었으며, 서양권에서는 특정 플랫폼을 언급하기보다는 '8비트 버전'으로 언급하는 경우가 많다. [youtube(GXg7Nsfhb6k)] 마스터 시스템판과 게임 기어판의 차이를 정리한 영상이다. == 스테이지 일람 == * '''[[그린 힐(소닉 더 헤지혹)#s-3.1|그린 힐 존]]''' * '''[[브리지 존]]''' * '''[[정글 존]]''' * '''[[래버린스 존#s-3]]''' * '''[[스크랩 브레인#s-3.1|스크랩 브레인 존]]''' * '''[[스카이 베이스 존]]''' == 이식 == === [[코모도어 64]] === [youtube(jGp4a00OeRs)] 이 작품의 마스터 시스템판이 [[코모도어 64]]로 [[https://www.lemon64.com/forum/viewtopic.php?t=78945|이식되었다고 한다.]] 코모도어 64의 열약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BGM·스테이지·아이템·보스 등등을 '''아주 완벽히''' 구현했다고 한다.[* 물론 코모도어의 플로피 디스크 용량이 그런지라 코모도어 64용 디스크가 2개로 나뉘어져 있다.] 무료 다운로드가 [[https://csdb.dk/release/?id=212190|배포되었다고 하니]] 플레이하고 싶은 유저들은 참고하도록. 다만, 여기서 파일 명을 '''*'''이 아니라 '''SONIC ON C64+REU'''로 쳐줘야 한다. 그리고 추가로 REU를 설정해 줘야 하는데, 설정에서 둘러보면 카트리지 I/O 설정이란[* VICE 2.3 기준] 메뉴가 있을 건데, 그 곳에서 Enable REU를 체크하고, 265KB로 설정을 해야 게임이 실행돤다. === [[ZX 스펙트럼]] === [youtube(HQ9Fx6JqvaM)] 이 버전은 무려 성능이 조악하기로 유명한 [[ZX 스펙트럼]]으로 이식된 건데, 우리가 아는 ZX 스펙트럼의 화면과는 달리, 무려 인트로부터 소닉의 얼굴이 그냥 픽셀 필터를 적용한 것 같이 아주 잘 표현된다. 하지만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화면도 거의 SMS 버전과 같고, SMS 버전의 버그도 그대로 구현해 놓았다. 사운드는 SMS 버전보다는 톤이 정말 낮지만, 이 정도면 신의 이식이라고 해도 믿을 정도이다. == 기타 == * [[마블 존]]의 [[https://www.youtube.com/watch?v=ksKnVZYgiVg|BGM]]이 [[더미 데이터]]로 남아있다. 여담으로 이 음악은 몇몇 [[개조 롬|해킹 롬]]의 엔딩곡으로 쓰이기도 한다. * 본작의 개발은 게임 음악 작곡가 [[코시로 유조]](본작의 편곡 & 신규 BGM의 작곡도 맡았다)의 회사인 '에인션트'인데, 사실 이 회사는 이 게임의 개발 의뢰로 인해 세워진 회사이다. 코시로 유조가 [[더 슈퍼 시노비]]의 BGM을 만든 계기로 [[세가]] 쪽에서 "이번에는 게임을 만들어 볼 수 없나"라고 본작의 개발을 의뢰했고 여동생 & 고등학생 시절 친구 & 동인쪽에서 알고 지내던 [[프로그래머]] 이렇게 4명이서 회사를 설립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게임은 꽤 팔렸고 그 돈으로 회사 사옥까지 만들었다고.([[https://www.famitsu.com/news/201507/10082667.html|출처]]) * 안드로이드와 PC에서 비공식 리메이크가 되고 있다. 플레이 하고 싶으면 [[https://sonic-sms-remake.blogspot.com/2018|이 링크]]로 들어가 다운받은 뒤 플레이 해보자. * 마스터 시스템판은 [[FM 음원]]을 지원하지 않지만[* 애초에 마스터 시스템의 FM 음원 지원은 일본판에서만 있는데, 일본에서는 마스터 시스템판은 나오지 않고 게임 기어로만 발매되었기 때문에 만들 이유가 없었다.], 2014년 어떤 유저가 [[https://www.youtube.com/watch?v=6WRwpcV9_30|FM 음원 지원하는 개조 버전]]을 제작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분류: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분류:1991년 게임]][[분류:게임 기어 게임]][[분류:삼성 겜보이 게임]][[분류:Wii 버추얼 콘솔/마스터 시스템]][[분류:닌텐도 3DS 버추얼 콘솔/게임 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