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000,#e40057 '''{{{+1 소녀춘}}}'''[br]Midor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少女椿 (Midori 1983~1984).jpg|width=100%]]}}} || || '''장르''' ||[[호러물|호러]] || || '''작가''' ||[[마루오 스에히로]] || ||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청림당 ^^(1984년)^^[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청림공예사 ^^(2003년)^^ || || '''연재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만화 에로스 → 메론 COMIC || || '''연재 기간''' ||1983년 8월호 ~ 1984년 7월호|| ||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권 ,,(1984. 09. 25. 完),,[* 이후 1999년에는 청림당 개정판, 2003년에는 청림공예사 개정판이 나왔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index_logo01.png|width=150]] [[마루오 스에히로]]가 1983년부터 1984년까지 연재한 [[만화]]. == 줄거리 == > '''人生相談'''[br]私は12才の女の子です三年前に父が家出をして母と二人でくらしておりましたが母が死に残された私は行くあてもなく見世物小屋のおじさんの甘い言葉についだまされて小屋の芸人にされてしまいました。[br][br]'''인생 상담'''[br]저는 12살의 여자애입니다.[br]3년 전에 아버지가 가출하고 어머니와 둘이서 살았습니다만, 어머니가 죽고 남겨진 저는 갈 곳이 없어 그만 서커스 단장 아저씨의 달콤한 말에 속아넘어가 서커스 오두막의 광대가 되고 말았습니다. 본래 마루오 스에히로의 《소녀춘》의 모태가 된 원본은 나니와 키요쿠모(浪花清雲)의 그림 연극 《소녀춘(少女椿)》으로, [[태평양 전쟁|전쟁 직후]]에 유행했던 부모와 생이별한 아이의 눈물겨운 이야기이다. 원래의 이야기에서는 주인공이 전쟁통에 헤어졌던 부모와 극적으로 상봉하는 해피 엔딩이었지만, 마루오 스에히로는 이를 비틀어 암울한 내용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원작자와 애니판의 감독은 작품의 영감을 얻기 위해 일본전역을 돌아다니며 암암리에 진행되는 [[프릭쇼]]를 관람한 것으로 유명하다. === [[지하환등극화소녀춘 미도리|결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지하환등극화소녀춘 미도리)] == 발매 현황 == ||
'''{{{#fff000,#e40057 청림당판}}}''' || '''{{{#fff000,#e40057 청림당 개정판}}}''' || '''{{{#fff000,#e40057 청림공예사 개정판}}}'''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3688efdd58d56ae789324fd3627cc928.jpg|width=100%]]}}}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504018232.jpg|width=100%]]}}}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1XBXGDKAL.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984년 09월 2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999년 08월 2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3년 10월 24일''' || 개정판의 경우 추가 및 수정된 부분이 다수 있다. [[http://leodraco.blog120.fc2.com/blog-entry-571.html|초판과 개정판의 비교]] == [[/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소녀춘/등장인물)] == 미디어 믹스 == === [[지하환등극화소녀춘 미도리|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지하환등극화소녀춘 미도리)] 위 만화를 원작으로 하라다 히로시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 무대 === ||<-2>
{{{#fff000,#e40057 '''{{{+1 회천백안십발목극장공연 「소녀춘」}}}'''[br]廻天百眼十発目劇場公演「少女椿」}}}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mg_shoujo_title.jpg|width=100%]]}}} || || '''원작자''' ||[[마루오 스에히로]] || || '''제작''' ||극장판 소녀춘 제작위원회 || || '''기획''' ||허식집단회천백안 || || '''공연일''' ||[[2011년 ]] [[10월 13일]]~[[10월 17일|17일]] || || '''캐스트''' ||아카히 마리코[br]츠네카와 히로유키[br]카나하라 사야[br]쿠라가키요시히로[br]코모다 마리[br]TETRA。 || || '''외부 링크''' ||[[http://www.kaitenhyakume.com/stage.php?id=PF00000016|[[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2011년에 공연된 무대판. 캐스트가 고평가받고 있다. === [[소녀춘(영화)|실사 영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소녀춘(영화))] == 2차 창작 == 놀랍게도 이 작품을 모티브로 쓴 시가 있다. 그것도 대한민국 시인이 쓴 시. [[http://blog.daum.net/enkkoch/15966168|주하림 - 지하소녀 미도리]]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지하환등극화소녀춘 미도리, version=168)] [[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1983년 만화]][[분류:호러 만화]][[분류:고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