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소녀시대/활동 역사)] [include(틀:소녀시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소녀시대|[[파일:소녀시대 Holiday Night 로고.svg|height=50]]]]}}}[br]{{{#ff84c3 '''[[소녀시대|{{{#ff84c3 소녀시대}}}]] 2009년 활동 역사 관련 둘러보기 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4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FF84C3 45%, #FF84C3 55%, transparent 55%); width: 90%" }}}[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color: #000000; min-width: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소녀시대/활동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소녀시대|[[파일:소녀시대 Holiday Night 로고.svg|height=50]]]]}}}[br]{{{#ff84c3 '''[[소녀시대|{{{#ff84c3 소녀시대}}}]]의 2009년 주요 시상식 수상 이력'''}}}[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4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FF84C3 45%, #FF84C3 55%, transparent 55%); width: 90%" }}}[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color: #000000; min-width: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 || '''{{{#ffffff 신인연기상 TV 부문}}}''' || || '''[[윤아]][br]‘[[너는 내 운명(드라마)|너는 내 운명]]’[br](2009)''' || ---- ||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 || '''{{{#ffffff 여자 인기상 TV 부문}}}''' || || '''[[윤아]][br](2009)''' || ---- || [[골든디스크어워즈|[[파일:골든디스크 시상식_로고.png|width=50]]]][br]'''{{{#000000 디지털 음원 대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Gee]]>[br](2009)''' || ---- || [[골든디스크어워즈|[[파일:골든디스크 시상식_로고.png|width=50]]]][br]'''{{{#000000 디지털 음원 본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2009)''' || ---- || [[멜론 뮤직 어워드|[[파일:멜론뮤직어워드2019.png|width=150]]]][br]'''{{{#ffffff,#000000 올해의 베스트송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Gee]]>[br](2009)''' || ---- || [[멜론 뮤직 어워드|[[파일:멜론뮤직어워드2019.png|width=150]]]][br]'''{{{#ffffff,#000000 올해의 아티스트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2009)''' || ---- || [[멜론 뮤직 어워드|[[파일:멜론뮤직어워드2019.png|width=150]]]][br]'''{{{#ffffff,#000000 올해의 아티스트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2009)''' || ---- || [[멜론 뮤직 어워드|[[파일:멜론뮤직어워드2019.png|width=150]]]][br]'''{{{#ffffff,#000000 올해의 TOP 10}}}'''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2009)''' || ---- || [[멜론 뮤직 어워드|[[파일:멜론뮤직어워드2019.png|width=150]]]][br]'''{{{#ffffff,#000000 Smart Radio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2009)''' || ---- || [[멜론 뮤직 어워드|[[파일:멜론뮤직어워드2019.png|width=150]]]][br]'''{{{#ffffff,#000000 Odyseey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2009)''' || ---- || [[멜론 뮤직 어워드|[[파일:멜론뮤직어워드2019.png|width=150]]]][br]'''{{{#ffffff,#000000 생각대로 T Mobile Music상}}}''' || || '''{{{#ffffff '''[[소녀시대|{{{#!html 소녀시대}}}]]'''}}}[br](2009)''' || ---- ||
{{{+1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width=50]]]]''' [[MBC 방송연예대상|{{{#ffffff 방송연예대상}}}]]''' }}}[br]'''{{{#ffffff 신인상 라디오 부문}}}''' || || '''[[태연]][br]‘[[친한친구|태연의 친한친구]]’[br](2009)''' || }}}}}}}}} || }}}}}} || [목차] == 개요 == [[소녀시대/활동 역사]] 중 2009년을 다룬 문서.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565E468-2103-4F3A-B24C-F227B81BE521.gif|width=100%]]}}} || [[https://youtu.be/U7mPqycQ0tQ| 뮤직비디오(2009. 1. 5.)]][* [[유튜브]]에서는 SM TOWN 채널에서 2009년 6월 8일에 재업로드되었다.] [[https://youtu.be/WhgsJ3fjX9Y|<힘 내! (Way To Go)> & - ‘SBS 인기가요’(2009. 1. 11.)]] 2008년 때의 많은 걱정과 우려 속에 1월, 미니 앨범 1집 '''<[[Gee]]>'''가 발매되었다. 그리고... '''전설이 되었다.''' 즉, '''오롯이 '소녀시대의 해'였던 2009년.''' 는 그동안의 긴 공백기로 인한 걱정과 우려가 무색하게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주간 차트 8주 연속 1위[* 1, 2월 월간 1위 및 57일 일간 1위, 2009년 연간 & 2000년대 종합 1위를 연달아 기록했다.], '[[뮤직뱅크]]' 9주 연속 1위라는 기록'''[* 상반기와 연말 결산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총합 11주 1위인 셈이다.''' ~~ㄷㄷ~~]을 세워 당시 최고의 대세임을 입증했고, 더불어 한층 더 크고 강력한 팬덤을 얻었다. 또한 아이돌 팬덤계에서 외부인으로 인식되던 중장년층 남성들을 아이돌 팬덤판으로 이끌어내면서, 일명 ‘삼촌팬’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당시 는 그야말로 국민적인 신드롬을 불러일으켰고, 수많은 패러디 창출, [[소녀시대]]에게 예능 출연과 광고 섭외가 쏟아지는 등 이 시기는 소녀시대의 '''최전성기'''라고 할 수 있다. 많은 히트곡들이 있고 연차가 쌓였어도, '소녀시대' 하면 많은 사람들이 가장 먼저 이 노래를 떠올린다는 점에서 그야말로 소녀시대의 대표곡. ‘텔레비전를 틀기만 하면 소녀시대 전체 또는 멤버 누군가가 나온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였던, 일명 '''수도꼭지 시절'''이었다.[* 당시 [[SBS]]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09년 상반기 동안 <[[Gee]]>가 방송에 등장한 횟수만 총 '''6,958회'''에 달한다고 한다.] 5월 3일부터 6월 14일까지 ‘[[소녀시대의 공포영화 제작소]]’가 방영되었다. 초반에는 소녀시대의 화제성과 더불어 높은 주목을 받았으나, 프로그램 포맷의 자체적인 한계와 치밀하지 못한 구성 등으로 몰래카메라로 히트를 쳤던 1화를 제외하곤 흥행하지 못했다. 6월 23일부터 11월 17일까지 소녀시대의 예능 리얼리티 프로그램 ‘[[소녀시대의 헬로 베이비]]’가 방영되었다. 당시 큰 화제를 모으며 10회였던 프로그램이 계속 연장되는 등 대성공을 거두었다. 소녀시대 단독 리얼리티 중 가장 일상스러운 느낌이 잘 나타났던데다가[* 특히 멤버들 간의 케미가 큰 재미를 불러일으켰다.], 비중도 고루 분배되었고, 일일 미션, 일일 아빠 등 예능적인 부분도 놓치지 않아서 팬덤에서도 대중적으로도 사랑받았던 프로그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7A3D01B4-4F90-49EE-B123-013D88E150DC.gif|width=100%]]}}} || [[https://youtu.be/6SwiSpudKWI|<소원을 말해봐 (Genie)> 뮤직비디오(2009. 6. 25.)]][* [[유튜브]]에서는 SM TOWN 채널에서 2010년 2월 25일에 재업로드되었다.] [[https://youtu.be/C9ydTeXLKLM| & <소원을 말해봐 (Genie)> - ‘SBS 인기가요’(2009. 6. 28.)]] 6월 25일, 미니 앨범 2집 <[[소원을 말해봐]]>가 발매되었다. 그 전까지의 앳된 콘셉트에서 섹시 콘셉트로의 야심찬 변화를 시도했다.[* 요즘 가요계의 시각에서 보면 섹시 콘셉트라고 정의하기에도 애매한 느낌이지만, 당시에는 정말 파격적인 섹시 콘셉트였다. 허벅지가 훤히 보이는 짧은 바지를 입고 각선미를 뽐내는 안무는 그야말로 센세이션. 특히 귀엽고 사랑스러운 콘셉트였던 <[[Gee]]> 직후에 시도한 콘셉트라서 더 파격적으로 보인 것도 있다.] 발매 초반에는 앨범 표지의 전투기 논란과 표절 논란으로 인해 평이 좋지 못했으나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이후로는 그러한 논란이 거의 사그라들었고, 지금까지 '''역대급 콘셉트'''라고 회자되는 제복 의상이 큰 화제를 모으며 성공적인 활동을 해냈다. ''''''가 소녀시대를 ‘탑으로 끌어올린 노래’라면, '''<소원을 말해봐 (Genie)>'''는 ‘확고히 쐐기를 박은 노래’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대중들의 큰 관심을 받은 곡. 다만 그 당시 괴물 신인이었던 [[2NE1]]의 로 인해 곡의 인지도에 비하여 [[음악 방송]] 1위를 많이 하지는 못한 점이 아쉬운 점으로 평가된다. [[엠넷]]과 SM의 갈등으로 인해 '[[엠 카운트다운]]'에 출연하지 못한 것도 한 몫 했다. 그러나 체감 인기는 전혀 뒤쳐지지 않았고, 이때의 제복 콘셉트로 사실상 ''''군통령''''의 개념을 처음 만들어내기도 했으며, 인기 안무인 제기차기 춤은 예능부터 시작해서 많은 프로그램에서 패러디할 정도로 큰 사랑을 받았다. 수록곡들도 평이 매우 좋은 편. 2009년 당시에도 음악 방송의 시청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고, 정말 잘 나와도 5%대, 결산 무대에서나 10%를 겨우 찍는 상황이었다.[[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081227603002|#]] 그러나... 2009년 7월 18일, 당시 소녀시대를 말 그대로 전폭적으로 지원해주던 [[MBC]] '[[쇼! 음악중심]]'에서는 무려 헬기까지 동원해서 옥상 무대를 선보였고[[https://youtu.be/z3RTc-8J3CU|#]], 이 날 소녀시대는 '''평소 시청률의 3배 이상인, 순간 시청률 17.2%를 기록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bbun.com/bbun_hot_20130501162136.gif|width=100%]]}}} || [[https://youtu.be/7CbeLh9GXGc| <냉면> - ‘무한도전 가요제’(2009. 7. 11.)]] 7월 11일, [[제시카(가수)|제시카]]가 '[[무한도전]]' 듀엣 가요제에 출연해 [[박명수]], [[E-TRIBE]]와 함께 '''명카드라이브'''를 결성, 곡 <[[냉면(노래)|냉면]]>을 선보이면서 우승팀인 [[올림픽대로 듀엣가요제|퓨처라이거]]보다 훨씬 큰 인기를 얻었다.[* 그 인기로 '[[쇼! 음악중심]]'에서 [[박명수]]와 함께 특별출연해 무대를 선보이기도 했다.] 당시 <냉면>은 음원차트에서 원 그룹의 <소원을 말해봐 (Genie)>를 제치고 장기 1위 집권을 하기도 해, 항간에서는 ''''팀킬시카''''라는 별명으로도 불리기도 했다.[* 2008년에도 [[태연]]이 <만약에>로 <[[소녀시대(음반)|Kissing You]]>의 방송 점수를 흡수해 결국 1위는 [[쥬얼리]]의 이었던 적이 있었다.--팀킬이 특기인 그룹--] 이로 인해 제시카는 인지도와 인기를 대폭 끌어올릴 수 있었고, 이는 고스란히 소녀시대의 전력에도 보탬이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888517E-42D7-4395-B508-60BDE3FE711D.gif|width=100%]]}}} || [[https://youtu.be/A2NkGHkqDZk| 뮤직비디오(2009. 10. 7.)]][* [[뮤직비디오]]는 10월 21일에 공개되었다.] 10월 7일, [[LG]] 초콜릿폰 CM송 가 발매되었다.[* 이에 앞서 [[f(x)]]가 부른 가 발매되었다.] CM송임에도 소녀시대의 파급력과 더불어 곡 퀄리티까지 호평을 받아 음원차트 최상위권에 안착하는 등 큰 인기를 누렸고, 현재까지도 역대급 CM송 중 한 곡으로 회자되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능욕당하는 유리.jpg|width=100%]]}}} || 연말에는 [[유리(소녀시대)|유리]]와 [[써니(소녀시대)|써니]]가 '[[청춘불패 시즌1]]'에 출연, 출중한 예능감을 선보이며 인지도를 높였다. 특히 당시 유리는 <소원을 말해봐 (Genie)>의 콘셉트 및 안무가 정말 잘 어울렸던 멤버로서 인기가 최절정이었다. --그리고 유리는 한 군인에게 “언제까지 <소원을 말해봐>만 우려먹으실 거냐”고 질타를 당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소녀시대/활동 역사, version=287, paragraph=1.4)] [[분류:소녀시대/활동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