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웨덴 요리]][[분류:노르웨이 요리]][[분류:덴마크 요리]][[분류:핀란드 요리]][[분류:빵]] [include(틀:유로피안 디저트)] ||<#FF99CC> {{{#663300 {{{+2 '''셈라'''}}}[br]\textit{Semla}}}} || ||<#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mlor.jpg|width=100%]]}}} || [목차] == 개요 == [[스웨덴]]식 [[크림빵]]. 빵 안에 달콤한 [[생크림]]을 가득 채운 빵이다. [[덴마크]], [[노르웨이]] 등 [[북유럽]] 국가에서 전통적으로 먹어 왔다. 이름의 기원은 [[라틴어]]로 [[밀가루]]를 뜻하는 Simila가 변형된 것으로 추측된다. == 역사 == 1250년대부터 [[사순 시기|사순절]] 직전 카니발 기간에 스웨덴의 왕과 귀족들만 먹을 수 있는 고급 디저트였다. 다만 크림은 나중에 추가된 것이다. 꿀과 설탕, 시나몬, 커런트, 건포도, 아몬드를 섞은 속재료를 부드러운 흰 빵 속에 넣고 만든 뒤 꿀을 듬뿍 넣은 우유를 데워서 셈라에 넣어서 먹는 식이었다. 재료들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굉장히 사치스러운 음식인데 꿀과 설탕, 향신료는 당시 왕과 귀족들만 접할 수 있는 고급 사치품이었다. 기본 베이스인 부드러운 흰 빵도 귀한 음식이었는데 스웨덴은 토양이 거칠어 보리, 귀리, 호밀, 감자, [[루타바가]] 말고는 곡물을 키우기 어려운 만큼 해상무역이나 [[러시아 제국]]에서 수입에 의존해야 해서 밀가루도 상류층을 제외하고는 접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게다가 러시아 제국의 영토확장 정책으로 인해 툭하면 점령지 핀란드에 주둔하고 있는 러시아군들이 스웨덴 왕국의 국경선을 넘어와 전시 상황이라도 된다면 밀은 그야말로 부르는 게 값이 되어 버렸다. 이처럼 과거 스웨덴의 셈라는 미식과 사치를 맘껏 부린 귀족의 산물이었다고 볼 수 있다. 원래는 평범한 밀빵을 버터와 함께 먹다가 16세기 경부터 크림을 속에 채운 셈라를 먹기 시작했으며 18세기부터 뜨거운 우유에 셈라를 담가서 부드럽게 만들어 먹었다. 특징 중 하나인 아몬드 페이스트는 19세기 중에 추가되었다. 대중적으로 먹기 시작한 것은 1930년부터다. 오늘날에는 빠르고 간단한 레시피로 변형되어 아몬드 페이스트를 빵 속에 넣고 생크림을 얹어 먹는다. 덴마크와 노르웨이에서는 아몬드 페이스트 대신 과일잼이나 바닐라 크림을 넣곤 한다. 덴마크에서는 빵에 건포도나 오렌지 필링을 넣은 셈라가 흔하다. [[핀란드]]에서도 잼을 넣은 셈라를 종종 만들어 먹는다. [[페로 제도]]에서는 바닐라 크림, 휘핑 크림, 잼을 빵에 채우고 초콜릿을 뿌려먹는다. == 재료 == 중력분, 계란, 우유, 이스트, 무염 버터, 소금, 설탕, [[카르다몸]], 아몬드 페이스트, 슈가 파우더, 휘핑 크림 == 제작 == 1. 우유와 밀가루, 이스트를 거품이 날 때까지 섞는다. 1. 무염 버터, 슈가 파우더, 계란, 카르다몸, 소금을 추가하고 탄력이 생길 때까지 반죽한다. 1. 반죽 표면에 밀가루를 뿌린 뒤 일정한 크기로 떼어 공 모양으로 만든다. 1. 베이킹 시트에 반죽을 나열하고 깨끗한 키친 타월로 덮는다. 따뜻한 곳에서 2배 정도로 부풀 때까지 2시간 정도 발효시킨다. 1. 오븐을 220도로 예열하고 반죽에 계란물을 바른다. 반죽은 약 12분간 오븐에서 굽는다. 황금색으로 구워지면 오븐에서 꺼내 식힌다. 1. 아몬드 페이스트, 슈가 파우더, 우유, 카르다몸을 섞어 아몬드 필링을 만든다. 1. 빵의 윗부분을 잘라 아몬든 필링을 넣고 휘핑 크림을 얹는다. 빵 윗부분을 덮은 뒤 슈가 파우더를 뿌리면 완성. [[https://www.allrecipes.com/recipe/8540775/semla-swedish-fat-tuesday-buns/|출처]] == 대중매체에서 == * [[아이러브커피]] - [[아이러브커피/시스템/메뉴|셈라]] * [[원피스(만화)|원피스]] - [[샬롯 링링]]은 유년기에 셈라를 먹고 푹 빠져서 식탐앓이로 인해 셈라에 미쳐서 [[요를&야를|요를]]을 포함한 막대한 사상자를 내고 엘바프를 쑥대밭으로 만드는 사태를 벌이고 말았고 이후 생일날 셈라로 만든 [[크로캉부슈]]를 정신없이 먹다가 [[식인|주위의 아이들도 같이 집어삼키고 만다]]. 신 거병 해적단의 선장 [[하이루딘]]은 전술한 대로 과거에 [[샬롯 링링]]이 셈라에 미쳐서 [[요를&야를|요를]]을 포함한 막대한 사상자를 내고 고향을 쑥대밭으로 만드는 모습을 직접 목격했던 것의 트라우마 때문에 셈라를 싫어하게 되었다. == 여담 == [youtube(QG82lVEjI-I)] * 스웨덴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 초대 국왕 [[아돌프 프레드리크]]는 사순절 전날 사순절 기간 동안 먹지 못하는 각종 기름진 음식들이 잔뜩 차려진 거한 만찬을 즐긴 후 디저트로 나온 셈라를 자그마치 '''14그릇'''이나 먹었고 그날 밤 과식으로 인해 사망했다. * 크림빵이 대게 그렇듯 칼로리가 매우 높다. 사순절 직전 화요일은 금식 이전에 실컷 먹는 날이라 해서 살찌는 날(Fettisdagen)이라고 불렀는데 이때 셈라를 먹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셈라를 Swedish Fat Tuesday Buns라고도 부른다. * [[스웨덴]]에서는 해마다 약 4천만 개의 셈라가 소비된다. * [[이케아]]에서 시즌 한정 메뉴로 출시했다.[[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20315534379931|#]]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아돌프 프레드리크, version=39, paragraph=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