仙石秀久 1552년 ~ 1614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Sengoku_Hidehisa.jpg]] [[파일:300px-Japanese_crest_Eirakusenn.svg.png]] [목차] == 개요 == [[전국시대(일본)|전국시대]]의 무장. [[시나노]] 코모로 번(小諸藩)의 초대 번주이기도 하다. == 생애 == 1552년에 [[미노]]의 호족인 센고쿠 히사모리의 4남으로 출생으로 처음에는 [[에치젠]] 호족 하기와라 쿠니미츠의 양자가 되지만, 연이은 형들의 죽음으로 인해 본가로 돌아와서, 센고쿠 씨의 가독을 이어받았다. 이후 미노 [[사이토]] 씨의 가신이 되지만 사이토 씨가 [[오다 노부나가]]에게 멸망당하자 노부나가의 밑에서 두각을 드러내던 [[하시바 히데요시]]의 가신이 된다. 그 뒤 꾸준히 공을 세우고 출세하여 히데요시가 [[시바타 카츠이에]]를 물리치고 패권을 잡은 뒤인 1585년에 오랫동안 그를 섬긴 점 등이 고려되어 히데요시에게서 [[사누키]] 10만석의 영지를 수여받아 사누키 최대의 [[다이묘]]가 되었다. 시즈가타케 전투 무렵에는 [[쵸소카베 모토치카]]가 하시바 히데요시와 연결되어 있는 [[소고 마사야스]]를 공격했기 때문에 [[아와지]]에 배치되어 쵸소카베 모토치카와 싸웠으나 구원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이듬해 [[규슈]] 정벌에서 [[시코쿠]] 군단의 총대장으로 출진해서 [[시마즈 이에히사]]를 상대로 무리한 작전을 펼치다 헤츠키가와 전투에서 참패[* 히데히사의 오판으로 소고 가문의 당주 [[소고 마사야스]]와 쵸소카베 가문의 후계자 [[쵸소카베 노부치카]]가 전사하는 등 [[시코쿠]] 세력은 이 전투에서 크나큰 타격을 입었다.]하고 단신으로 도주하는 추태를 보여 그 벌로 [[가이에키|영지를 몰수당하고]] [[고야산]]에 추방당했다. 그랬던 것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중재해주어 1590년에 [[오다와라]] 정벌 때에 임시 무장으로 참전, 필사적으로 공을 세워 그 전공으로 다시 5만석의 영지를 받고 신분을 회복한다. 아마도 이 때의 인연으로 인해 일찍부터 이에야스에게 심정적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보인다. 결국 히데요시의 사후에 도쿠가와 측에 가담하여 훗날 쇼군이 되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군세에 합류했다. [[사나다 마사유키]]의 계략으로 [[세키가하라 전투]]에는 참가하지 못하였으나, 이 때의 인연으로 총애를 받아 1609년에는 [[천황]]의 히데타다 [[쇼군]] 임명 축하식을 수행하고, 1611년 정월의 신년 축하식 때에도 참석했다. 그리하여 시나노 코모로 번[* 小諸藩, 현재의 나가노현 고모로시]의 번주로 임명되어 그의 삽질로 [[마을]] 하나가 망하거나 반대로 전마 제도나 숙박 업소 거리 정비 등에 힘쓰는 등 영지를 다스리다가 1614년에 63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정사의 기록은 보잘것 없지만 민간 설화가 많은 인물로 막 [[오다 노부나가]]의 진영에 투신했을 적에 노부나가가 그의 무용을 마음에 들어하여 황금 한 정을 하사받았다고 하며, 오다와라 정벌 당시 진바오리([[갑옷]] 위에 걸치는 덧옷같은 것)에 [[방울]]을 붙이고 분전하여 '방울 소리 무사'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한다. 또한 후시미 성에서 전설적인 대도 [[이시카와 고에몽]]을 체포했다는 전설(공식 체포자는 당시 교토의 치안 유지 책임자이며 [[오봉행]] 중 한 사람인 [[마에다 겐이]]라고 되어있지만 '잇시키군기'에서는 센고쿠 히데히사가 체포했다고 되어있다)이 있다. 이 때문에 센고쿠 히데히사는 강담(재미나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공연의 일종)에서 흔히 괴력 무쌍의 호걸로 등장하며, 죠잔기담에서는 [[시노비]]로서 등장한다. == 대중매체 == || [[파일:仙石秀久.jpg]] || || 100만인의 신장의 야망 || || [[파일:1166_1.jpg|width=85%]] || || [[노부나가의 야망 신생]] || 신장의 야망 시리즈에서는 만화 [[센고쿠]]의 영향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친애 무장으로 등장. 능력은 무용 능력치만 조금 괜찮을뿐인 B급도 못되는 잡장이었다. 하지만 시리즈가 갈 수록 능력치가 점점 올라 무용 능력치는 최상급 무장 바로 아래 수준까지 치고올라와 괜찮게 굴릴 수 있는 무장이 되었고, 수많은 전쟁과 전투에 참여하고 살아남은 덕분인지 귀족들과 안면이 트여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포함한 많은 귀족 무사들이 길을 가다가도 일반 병사인 센고쿠를 알아볼 정도였다. 한국에 정발된 만화 '[[센고쿠(만화)|센고쿠]]'를 통해 알려지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게 대단한 무장은 아니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각각 섬긴 전적이 있는 등 전형적인 일본 전국 시대 무인의 삶을 산 인물이다. 아마도 [[전국시대(일본)|전국시대]] 3대 위인을 함께 섬긴(노부나가, 히데요시 → 히데요시 → 이에야스) 점이나 그와 관계된 민간 설화 때문에 당시 시대를 보는 '관찰자'로서의 주인공 역으로 채택된 게 아닐까 싶다. [각주] [[분류:센고쿠 시대/인물]][[분류:카모군(기후) 출신 인물]][[분류:다이묘]][[분류:1552년 출생]][[분류:1614년 사망]][[분류:가이에키된 인물]][[분류:세키가하라 전투/동군]][[분류:사이토 가문 가신]][[분류:도요토미 가문 가신]][[분류:도쿠가와 가문 가신]][[분류:종5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