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센가의 2023 시즌, rd1=센가 코다이/선수 경력/2023년)] [include(틀:뉴욕 메츠/로스터)] ---- ||
'''{{{#ffffff 센가 코다이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ffffff 2023}}}]]''' || ----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width=auto&height=70]][br] '''2020 도쿄올림픽[br]{{{#c7bc69 금메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BC002D)" {{{#FFFFFF '''2021'''}}}}}}|| ---- ||<-5>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7.svg|width=7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8.svg|width=7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9.svg|width=7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10.svg|width=7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11.svg|width=70]][br]'''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15년 일본시리즈|{{{#000 2015}}}]]''' || '''[[2017년 일본시리즈|{{{#000 2017}}}]]''' || '''[[2017년 일본시리즈|{{{#000 2018}}}]]''' || '''[[2019 일본시리즈|{{{#000 2019}}}]]''' || '''[[2020년 일본시리즈|{{{#000 2020}}}]]'''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f8f2d, #3fb1e5)" [[일본프로야구|[[파일:NPB 로고.svg|width=auto&height=20]]]] '''{{{#ffffff 일본프로야구 투수 트리플 크라운}}}'''}}} || || [[스가노 도모유키]][br]([[요미우리 자이언츠]], 2018년) || → || [[센가 코다이]][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0년) || → || [[야마모토 요시노부]][br]([[오릭스 버팔로즈]], 2021~2023년) || ---- ||<-5>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ffffff 2017 퍼시픽 리그 최고 승률}}}''' || || [[와다 츠요시]][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 || [[센가 코다이]][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 || [[마이클 볼싱어]][br]([[치바 롯데 마린즈]]) || ---- ||<-5>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ffffff 2019 퍼시픽 리그 최다 탈삼진}}}''' || || 2018[br][[노리모토 타카히로]][br]([[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 || 2019[br][[센가 코다이]][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 || 2020[br][[센가 코다이]][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br][[야마모토 요시노부]][br]([[오릭스 버팔로즈]]) || ---- ||<-5>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ffffff 2020 퍼시픽 리그 최다 승리}}}''' || || [[아리하라 코헤이]][br]([[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 || [[센가 코다이]][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br][[이시카와 슈타]][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br][[와쿠이 히데아키]][br][[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 || [[야마모토 요시노부]][br]([[오릭스 버팔로즈]]) || ---- ||<-5>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ffffff 2020 퍼시픽 리그 최우수 방어율}}}''' || || [[야마모토 요시노부]][br]([[오릭스 버팔로즈]]) || → || [[센가 코다이]][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 || [[야마모토 요시노부]][br]([[오릭스 버팔로즈]]) || ---- ||<-5>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ffffff 2020 퍼시픽 리그 최다 탈삼진}}}''' || || 2019[br][[센가 코다이]][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 || [[센가 코다이]][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br][[야마모토 요시노부]][br]([[오릭스 버팔로즈]]) || → || 2021[br][[야마모토 요시노부]][br]([[오릭스 버팔로즈]]) || ---- ||<-5>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베스트나인#s-2.2.2.1|{{{#ffffff 2019, 2020 퍼시픽리그 투수 부문 베스트나인}}}]]''' || || 2017-2018[br][[키쿠치 유세이]][br]([[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 || 2019-2020[br][[센가 코다이]][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 || 2021[br][[야마모토 요시노부]][br]([[오릭스 버팔로즈]]) || ---- ||<-5>
[[퍼시픽 리그|[[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width=30]]]] '''[[베스트나인#s-2.2.2.1|{{{#ffffff 2019, 2020 퍼시픽리그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 || || 2018[br][[키시 타카유키]][br]([[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 || 2019-2020[br][[센가 코다이]][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 || 2021[br][[야마모토 요시노부]][br]([[오릭스 버팔로즈]]) || ---- ||<-5> '''{{{#0000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0000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21번}}}''' || || [[와다 츠요시]][br](2003~2011) || {{{+1 →}}} || '''센가 코다이[br](2012)''' || {{{+1 →}}} || 이와사키 쇼[br](2013~2015) || ||<-5> '''{{{#0000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0000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41번}}}''' || || 이와사키 쇼[br](2008~2012) || {{{+1 →}}} || '''센가 코다이[br](2013~2022)''' || {{{+1 →}}} || [[마에다 유고]][br](2024~) || ||<-5> '''{{{#FFFFFF [[뉴욕 메츠|{{{#FFFFFF 뉴욕 메츠}}}]] 등번호 34번}}}''' || || [[토미 헌터]][br](2022) || {{{+1 →}}} || '''센가 코다이[br](2023~)'''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센가메이저데뷔.jpg|width=100%]]}}} || ||<-2> '''뉴욕 메츠 No.34''' || ||<-2> '''{{{+2 센가 코다이}}} [br] 千賀滉大 / Kodai Senga''' || ||<|2> '''출생''' ||[[1993년]] [[1월 30일]] ([age(1993-01-30)]세) || ||[[아이치현]] [[가마고리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학력''' ||아이치현립 가마고리 고등학교(愛知県立蒲郡高等学校) || || '''신체''' ||187cm / 90kg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일본프로야구/2010년/신인선수 선택회의|2010년 육성선수 드래프트]] 4순위[br][[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지명 || || '''소속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1~2022)''' [br]'''[[뉴욕 메츠]] (2023~)''' || || '''계약''' ||2023 - 2027 / $75,000,000 || || '''연봉''' ||2023 / $15,000,000 || || '''등장곡''' ||[[OneRepublic]] - [[Counting Stars]] || ||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daisenga, 크기=20)] | [[https://instagram.com/kodai_senga_?igshid=YmMyMTA2M2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야구]] 선수. [[뉴욕 메츠]] 소속 우완 [[선발 투수]]이다. ==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선수 경력]] == ||<-4> '''통합 선수 경력''':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 || ||<-4> [[파일:NPB 로고.svg|width=60]] || ||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s-3.1|'''{{{#000 2011년}}}''']] ||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s-3.2|'''{{{#000 2012년}}}''']] ||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s-3.3|'''{{{#000 2013년}}}''']] ||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s-3.4|'''{{{#000 2014년}}}''']] || ||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s-3.5|'''{{{#000 2015년}}}''']] ||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s-3.6|'''{{{#000 2016년}}}''']] ||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s-3.7|'''{{{#000 2017년}}}''']] ||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s-3.8|'''{{{#000 2018년}}}''']] || ||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s-3.9|'''{{{#000 2019년}}}''']] ||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s-3.10|'''{{{#000 2020년}}}''']] ||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s-3.11|'''{{{#000 2021년}}}''']] ||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s-3.12|'''{{{#000 2022년}}}''']] || ||<-4> [[파일:MLB 로고.svg|width=45]] || ||<-2>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2023년|'''{{{#FFFFFF 2023년}}}''']] ||<-2>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2024년|'''{{{#FFFFFF 2024년}}}''']] || ||<-4>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60]]]] || ||<-2>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s-5.1|'''{{{#ffffff 2017년}}}''']] ||<-2> [[센가 코다이/선수 경력#s-5.2|'''{{{#ffffff 2021년}}}''']] ||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센가161.gif|width=100%]]}}} || || 161km/h 포심 패스트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센가포크.gif|width=100%]]}}} || || 137km/h 포크볼[* 상대 타자는 현재 [[보스턴 레드삭스]] 소속인 [[요시다 마사타카]]] || 2023 시즌 기준 평균 구속 154.0km/h, 시즌 최고 구속 161km/h, 커리어 최고 구속 164km/h의[* 2022년 5월 13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전에서 기록했다.] [[포심 패스트볼]]을 중심으로 포크볼, 컷 패스트볼 등을 주로 구사하며 많은 삼진을 잡아내는 우완 정통파 강속구 투수이다. 센가의 결정구는 '''유령 포크(お化けフォーク)'''라는 별명을 가진 [[포크볼]]이다.[* 센가 본인은 [[스플리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https://www.mlb.com/news/kodai-senga-ghost-fork-pitch|#]] 일본에서는 스플리터도 포크볼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유령 포크'라는 별명이 붙은 것인데, 본인 스스로 그렇게 부르진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메츠에서는 사용하는 글러브에 '[[포크]]를 든 [[유령]]' 그림을 그려놓았다.[[https://nypost.com/2023/04/02/mets-kodai-senga-uses-custom-ghost-fork-glove-in-debut/|#]]] 2023 시즌 기준 평균 구속이 133.9km/h로 패스트볼과의 구속 차이가 20km/h가 넘으며 평균 낙차도 95.8cm로 거의 1m에 육박할 정도로 크다. 패스트볼처럼 날아가다가 홈 플레이트 앞에서 떨어져 구속 차이로 타자의 타이밍을 흔들고 낙차로 컨택을 피해 삼진을 잡아내며 빠른 구속의 패스트볼과 낙차 큰 포크볼을 바탕으로 일본 리그 통산 9이닝당 탈삼진(K/9)는 10.35에 달한다. || 순위 || 이름 || 시즌 || 구종 || 피타수 || 탈삼진 || 탈삼진율 || || 1 || 센가 코다이 || 2022 || 포크볼 || 142 || 89 || 62.7% || || 2 || 센가 코다이 || 2019 || 포크볼 || 163 || 100 || 61.4% || || 3 || [[다나카 마사히로]] || 2012 || 스플리터 || 124 || 75 || 60.5% || || 4 || 다나카 마사히로 || 2011 || 스플리터 || 196 || 115 || 58.7% || || 5 || 센가 코다이 || 2016 || 포크볼 || 183 || 105 || 57.4% || || 6 || 센가 코다이 || 2018 || 포크볼 || 147 || 83 || 56.5% || || 7 || [[사사키 로키]] || 2022 || 포크볼 || 189 || 106 || 56.1% || || 8 || 센가 코다이 || 2017 || 포크볼 || 158 || 88 || 55.7% || || 9 || [[노리모토 다카히로]] || 2017 || 스플리터 || 146 || 81 || 55.5% || || 10 || [[오타니 쇼헤이]] || 2015 || 스플리터 || 150 || 83 || 55.3% || || 11 || 오타니 쇼헤이 || 2014 || 스플리터 || 106 || 58 || 54.7% || || 12 || 센가 코다이 || 2020 || 포크볼 || 110 || 59 || 53.6% || || 순위 || 이름 || 시즌 || 구종 || 피타수 || 피안타 || 피안타율 || || 1 || 센가 코다이 || 2017 || 포크볼 || 158 || 13 || .082 || || 2 || [[다르빗슈 유]] || 2011 || 슬라이더 || 270 || 28 || .104 || || 3 || [[사사키 로키]] || 2022 || 포크볼 || 189 || 21 || .111 || || 4 || [[야마모토 요시노부]] || 2021 || 스플리터 || 229 || 27 || .118 || || 5 || 센가 코다이 || 2020 || 포크볼 || 110 || 13 || .118 || || 6 || 센가 코다이 || 2016 || 포크볼 || 183 || 22 || .120 || || 7 || [[다나카 마사히로]] || 2012 || 스플리터 || 124 || 15 || .121 || || 8 || 센가 코다이 || 2019 || 포크볼 || 163 || 20 || .123 || || 9 || [[셋쓰 다다시]] || 2012 || 싱커 || 195 || 24 || .123 || || 10 || 센가 코다이 || 2022 || 포크볼 || 142 || 18 || .127 || || 11 || 야마모토 요시노부 || 2020 || 스플리터 || 118 || 15 || .127 || || 12 || [[아오야기 코요]] || 2022 || 슬라이더 || 106 || 14 || .132 || 일본 리그에서 2011년부터 집계된 100타수 이상 구사된 구종들 중[* 출처 [[https://baseballdata.jp/|#]]] 센가의 포크볼은 탈삼진율, 피안타율 모두 압도적이었는데 특정 시즌 센가의 포크볼을 앞서는 구종들은 있지만 매 시즌 안정적으로 탈삼진율과 피안타율을 상위권으로 유지하는 구종은 센가의 포크볼 외에는 찾기 힘들며 그야말로 일본 리그 최고의 마구라고 할 수 있다. 포심 패스트볼, 포크볼 이외의 서드피치로는 [[컷 패스트볼]]을 던지는데 카운트를 잡거나 범타를 유도하는데 사용되며 포크볼 만큼은 아니지만 좋은 구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만 패스트볼 그 자체의 구위는 생각보다 좋지 않은 편인데[* 아마추어 시절에는 큰 체격에 비해 구속과 구위가 좋지 않았었고 이에 구속 상승을 기대하고 육성 라운드에서 뽑은 것인데 구속만 좋아지고 구위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NPB 시절부터 패스트볼로 무리하게 정면 승부를 하다가 장타를 맞는 경우도 꽤 있었다. 그나마 빠른 구속과 포크볼과의 피칭 터널 효과로 인해 패스트볼도 헛스윙 자체는 매우 잘 이끌어 내는 구종이긴 하지만 무시무시한 구속에 비하면 일단 맞으면 정타로 뻗어나가는 경우도 꽤 잦은 편이다. 제구력은 영 좋지 않아서 일본 리그에서도 통산 9이닝당 볼넷(BB/9)이 3.42였고 메이저리그 진출 직전 4시즌[* 규정 이닝 미달인 2021 시즌 제외.] 모두 BB/9가 3을 넘었다. 메이저 리그에서도 제구 불안은 계속되어 제구력은 리그 하위권에 속하는 중이다. 또한 7년의 선발 투수 기간 중 시즌 160이닝을 넘어본 적이 2번 밖에 없다는 점이 가장 큰 불안 요소였고 메이저 리그의 일정이 워낙 빡빡하기에 이에 관한 우려가 많았었으나 일단 메이저 리그 데뷔 첫 시즌에는 빡빡한 일정에 적응하는 데 성공하며 규정 이닝을 돌파하였고 우려를 불식시켰다. == 수상 내역 == * 올스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2023]]) == 센가에 대한 언사 == > '''포크는 치지 않고 거르려고 해도 직구가 워낙 빨라 고르기 어렵다.''' >---- > '''[[야마카와 호타카]]([[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빠른데다 많이 떨어진다. 치려고 생각해도 못 친다.''' >---- > '''[[카네코 유지]]''' > '''이쯤이다 하고 쳤더니 헛스윙이었다. 생각보다 더 떨어져서 놀랐다.''' >---- > '''[[카와바타 신고]]''' > '''고향 히로시마에 관광 명소인 절벽이 있다. 그 낭떠러지만큼 떨어진다.''' >---- > '''[[이노우에 세이야]]''' > '''센가의 포크볼은 오다가 없어진다.''' >---- > '''[[이구치 타다히토]]([[치바 롯데 마린즈]] 감독)''' > '''유령 포크볼은 그 공에 딱 맞는 멋진 별명이다. 정말 많은 헛스윙을 이끌어 낼 것이다.''' >---- > '''[[피트 알론소]]''' > '''공이 정말 날카로웠다. 이전까지 보지 못했던 공이다.''' >---- > '''[[제프 맥닐]]''' == 여담 == * 2015 시즌이 끝난 이후 [[결혼]]했으며 현재 딸과 아들을 하나씩 두고 있다. * 어린 시절에는 [[주니치 드래곤즈]]의 경기를 아버지와 함께 보러 다녔다고 한다. * [[이시카와 슈타]], [[야나기타 유키]]와 마찬가지로 [[모모이로 클로버 Z]]의 팬이다. * [[2020 도쿄 올림픽]]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금메달 획득으로 고향인 [[아이치현]] 가마고리시에 소재한 [[가마고리역]] 남쪽 출입구 앞에 골드포스트[*사진 [[파일:센가 골드포스트.jpg|width=300]]]가 설치되었다. * 2017년에 가마고리시의 관광 대사로 [[https://www.city.gamagori.lg.jp/unit/kanko/gamagorishikankotaishi.html|위촉되었다.]] * 센가가 사용하는 글러브의 웹에 그려진 지역은 그의 고향인 가마고리시라고 한다. [[파일:소미_센가.jpg]] * 2023년 9월 13일에는 [[시티 필드]]에서 시구자로 초청된 [[전소미]]에게 간단히 시구를 코칭하고 기념 사진도 찍었다.[[https://twitter.com/SNY_Mets/status/1702093212238680195?t=hxhCnlQbhunx7oZhNbav6Q&s=19|#]][[https://twitter.com/MLBLife/status/1702117975275307425?t=hxhCnlQbhunx7oZhNbav6Q&s=19|#]]--해맑은 미소는 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현역 일본인 메이저리거)] [각주] [[분류:센가 코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