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로마 제국의 근위대장]][[분류:62년 사망]] || '''이름''' || 섹스투스 아프라니우스 부루스[br](Sextus Afranius Burrus) || || '''출생''' || 미상 || || '''사망''' || [[62년]] || || '''직위''' || 근위대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제국]]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근위대장. [[클라우디우스]] 황제 사망 후 [[네로]]가 황위에 오를 수 있도록 도왔다. 이후 친구 [[세네카]]와 손을 잡고 정국을 주도하고 네로를 좌지우지했다. 한 팔이 없었다고 전해진다. == 생애 ==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속주]] 바시오[* 오늘날 [[프랑스]] [[프로방스]] 베이종]에서 출생했다. 베이종 유적지에서 그의 신상명세가 적힌 비문이 발견되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Vasiens(es) Voc(ontii) >patrono, >Sex(to) Afranio Sex(ti) f(ilio) >Volt(inia tribu) Burro, >trib(uno) mil(itum), proc(uratori) Augus >tae, poc(uratori) Ti(berii) Caesar(is), >Proc(uratori) divi Claudi, >praef(ecto) pra(e)tori, orna >m(ent)is consular(ibus). >---- >바시오의 보콤티 가문의 후원자이며 섹스투스의 아들이고 아우구스타의 프라이토리아니인 섹스투스 아프라니우스 부루스는 신격화된 티베리우스 카이사르와 전 집정관인 클라우디우스를 기리기 위해 이 비석을 세운다. 부루스는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속주 출신의 [[로마인#s-2]]으로, 그의 아버지 또는 조부가 [[폼페이우스]]의 부하인 [[루키우스 아프라니우스]] 휘하 보조병으로 복무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 덕분에 로마 시민권을 획득하고 아프라니우스라는 성을 부여받았을 것이다. 그는 일찍이 군대에 입대하여 [[트리부누스 밀리툼]]을 지낸 뒤 검찰관으로 발탁하였고, [[리비아 드루실라]] 황후의 유산 중 하나를 관리했다. 41년 [[클라우디우스 1세]]에 의해 소아시아의 부유한 속주인 갈라티아 팜필리아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터키의 아수(Aksu) 지역에서 발견된 비석은 그가 이 지역에서 총독으로 재임했음을 증언한다. 그는 여기서 많은 재산을 모았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토대로 고향을 후원하고 저명한 인사들과 사귀었을 것이다. 이때 [[세네카]]를 친구로 두었는데, 이를 토대로 정계에 진출할 수 있었다. 서기 51년, 클라우디우스는 두 근위대장들이 [[브리타니쿠스]]에게 지나치게 헌신적이라고 여긴 [[소 아그리피나]]의 입김으로 두 근위대장을 해임하고 부루스를 단독 근위대장에 임명했다. 54년 클라우디우스가 사망한 뒤 근위대를 이끌어 황궁을 장악한 뒤 네로가 황위에 오를 수 있도록 도왔다. 부루스는 로마의 치안을 확고히 장악하고 물자 공급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힘썼으며, 원로원 인사 탄압은 가급적 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전 황제 클라우디우스에게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나르키수스 등 해방노예들을 숙청했다. 또한 세네카와 함께 황제가 예술과 음악, 시, 전차 경주에 대한 취미에 몰입하게끔 권장하면서, 모든 공식행사에서 네로가 돋보이는 것은 당연하다고 조언했다. 네로는 이로 인해 취미를 마음껏 즐겼고, 그 과정에서 두 사람도 예상 못할 정도로 방종하게 변해갔다. 한편, 그들은 네로가 어머니 소 아그리피나의 지나친 간섭에 부담스러워하는 걸 이용해, 소 아그리피나의 영향력을 축소하고 네로를 자기들 입맛대로 조종하고자 노력했고, 네로가 소 아그리피나를 끝내 살해했을 때도 적극적으로 협력했다. 그러나 네로는 어머니를 살해한 뒤 이전보다 더욱 방종해졌고, 주변인들을 의심했다. 이런 상황에서 부루스도 네로를 축출하려 한다는 의심을 2번이나 받았다. [[아우구스투스]]의 외가 후손인 [[루벨리우스 플라우투스]]를 옹립하려 했다는 고발을 받았고, 클라우디우스 1세의 충신 해방노예 팔라스와 공모하여 [[파우스투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펠릭스]]를 즉위시키려 한다는 고발도 받았다. 네로는 고발자를 추방하는 것으로 부루스에 대한 여전한 신임을 보였지만, 그의 입지는 점점 위태로워졌다. 또한 [[클라우디아 옥타비아]]와 이혼하고 [[포파이아 사비나]]와 결혼하려는 네로의 계획에 반대했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네로의 불만을 샀다. 그러던 62년, 그는 돌연 사망했다. 목구멍에 난 종양 때문에 죽었다고 전해지나, 일각에서는 네로에게 독살당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세네카]]는 부루스의 비호 덕분에 네로의 위협으로부터 무사할 수 있었지만, 부루스 사망 후 새 근위대장에 발탁된 [[티겔리누스]]가 자신을 조사하려는 기미를 보이자 즉시 사임한다. 세네카와 부루스가 사라지자 네로는 더욱 거침없어졌고, 로마 제국은 수년간 네로의 폭정에 신음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