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세종대학교/학부)] [include(틀:세종대학교)] [include(틀:세종대학교 단과대학)] [목차] == 개요 == [include(틀:세종대학교 학부/인문과학대학)] == 학과 == === 국어국문학과 === ||<(>[[세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width=25¢er]]]] {{{#ffffff {{{+1 '''국어국문학과'''}}} ^^Dep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문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교직이수)][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민족국문)]|| ||<:>[[파일:세종대학교국어국문학과로고1.jpg|width=150&align=center]]||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2><:>{{{#000,#1c1d1f '''연혁'''}}}|| ||<:>{{{#000,#1c1d1f 연도}}}||<:>{{{#000,#1c1d1f 학과}}}||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2년제|{{{#000,#1c1d1f {{{-2 수도여자사범대학 (2년제: 1954~1961)}}}}}}]]}}}|| ||<:>1954||<(>국문과^^{{{-2 신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22년도 세종요람 - 학사학위수여자현황 (986p), 1956년 3월 17일 최초의 수도여자사범대학 국문과 학사학위 수여]]]||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4년제|{{{#000,#1c1d1f {{{-2 수도여자사범대학 (4년제: 1961~1978)}}}}}}]]}}}|| ||<:>1961||<(>국어국문학과|| ||<:>1964||<(>국어국문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401240032920703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1-24&officeId=00032&pageNo=7&printNo=5617&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수도여자사범대학 1964학년도 학생모집]]]||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000,#1c1d1f {{{-2 세종대학 (4년제: 1978~1987)}}}}}}]]}}}|| ||<:>1978||<(>국어국문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view.naver?editNo=2&printCount=&publishDate=1978-10-27&officeId=00020&pageNo=7&printNo=17557&publishType=00020&articleId=&serviceStartYear=1920&serviceEndYear=1999|동아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개편— 세종대학 교수초빙]]]|| ||<:>1982||<(>어문계열 (국어국문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201010023910802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2-01-01&officeId=00023&pageNo=8&printNo=1869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2학년도 신입생모집]]]|| ||<:>1987||<(>국어국문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612300032920401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12-30&officeId=00032&pageNo=4&printNo=12697&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1987학년도 신입생모집]]]||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교|{{{#000,#1c1d1f {{{-2 세종대학교 (4년제: 1987~현재)}}}}}}]]}}}|| ||<:>1987||<(>국어국문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112200239108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7-11-22&officeId=00023&pageNo=8&printNo=2050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 ||<:>1995||<(>인문학부 (국어전공)[*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5122900239139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5-12-29&officeId=00023&pageNo=39&printNo=23242&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6학년도 신입생모집]]]|| ||<:>1996||<(>인문학부 (국어국문학전공)[*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6121600239125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6-12-16&officeId=00023&pageNo=25&printNo=23571&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97학년도 신입생 모집(“다”군)]]]|| ||<:>1998||<(>국어국문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8121400209102018&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12-14&officeId=00020&pageNo=2&printNo=24065&publishType=00010|동아일보 - 창립 52주년 전통의 세종대학교가 지식혁명을 주도할 인재를 찾습니다]]]|| ||<:>2003||<(>인문학부 (국어국문학전공)|| ||<:>2009||<(>국어국문학과|| ||<-2>||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소개영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c1d1f '''소개영상'''}}}||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BSgp1wRzVA, width=100%, height=250)]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웹사이트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c1d1f '''홈페이지 · SNS'''}}}|| ||<:>{{{#000,#1c1d1f [[https://home.sejong.ac.kr/~kordp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sejong_korean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sejongkll/?locale=ko_KR|[[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 [[국어국문학과]]는 국어학, 고전문학, 현대문학을 배우는 학과이다. 국어학 분야에서는 고대어에서 현대어에 이르기까지의 우리말을 언어학적인 측면에서 연구, 검토한다. 고전문학 분야에서는 고대에서 개화기에 이르기까지의 문학작품을 분석한다. 현대문학 분야에서는 개화기 이후의 현대문학 전반에 대해 분석하며 문예창작에 대한 지도를 받을 수 있다. 국어국문학과에는 '춘계문학답사'와 '추계문학답사'라는 유서 깊은 행사가 있다. 이 행사에서는 문학관이나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있는 명소를 방문한다. 졸업 후 일반 기업체 홍보부 및 일반부서에 취업, 연구소 취업, 문단에 등단, '중등학교 정교사 자격증 2급-국어'를 취득하여 중·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할 수 있다.[* 단, 국어국문학과 1학년 성적 상위 10%만 교직을 이수할 수 있다.] === 국제학부 === ||<(>[[세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width=25¢er]]]] {{{#ffffff {{{+1 '''국제학부'''}}} ^^Division of International Studies^^}}}||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문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교직이수)][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민주영문 · 자주일문 · 진취중통)]|| ||<(>영어영문학전공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일어일문학전공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중국통상학전공 ^^Chinese Trade and Commerce^^||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2><:>{{{#000,#1c1d1f '''연혁'''}}}|| ||<:>{{{#000,#1c1d1f 연도}}}||<:>{{{#000,#1c1d1f 학과}}}||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2년제|{{{#000,#1c1d1f {{{-2 수도여자사범대학 (2년제: 1954~1961)}}}}}}]]}}}|| ||<:>1956||<(>영문과^^{{{-2 신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22년도 세종요람 - 학사학위수여자현황 (986p), 1958년 3월 15일 최초의 영문과 학사학위 수여]]]||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4년제|{{{#000,#1c1d1f {{{-2 수도여자사범대학 (4년제: 1961~1978)}}}}}}]]}}}|| ||<:>1961||<(>영어영문학과|| ||<:>1964||<(>영어영문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401240032920703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1-24&officeId=00032&pageNo=7&printNo=5617&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수도여자사범대학 1964학년도 학생모집]]]|| ||<:>1974||<(>영어영문학과, 일본어교육과^^{{{-2 신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312230023910802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3-12-23&officeId=00023&pageNo=8&printNo=16222&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1974학년도 학생모집]]]||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000,#1c1d1f {{{-2 세종대학 (4년제: 1978~1987)}}}}}}]]}}}|| ||<:>1978||<(>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view.naver?editNo=2&printCount=&publishDate=1978-10-27&officeId=00020&pageNo=7&printNo=17557&publishType=00020&articleId=&serviceStartYear=1920&serviceEndYear=1999|동아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개편— 세종대학 교수초빙]]]|| ||<:>1982||<(>어문계열 (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201010023910802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2-01-01&officeId=00023&pageNo=8&printNo=1869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2학년도 신입생모집]]]|| ||<:>1983||<(>어문계열 (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01060023910500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3-01-06&officeId=00023&pageNo=5&printNo=1900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3학년도 신입생모집]]]|| ||<:>1985||<(>어문계열 (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5010500329210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5-01-05&officeId=00032&pageNo=10&printNo=12084&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1985학년도 신입생모집]]]|| ||<:>1987||<(>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612300032920401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12-30&officeId=00032&pageNo=4&printNo=12697&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1987학년도 신입생모집]]]||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교|{{{#000,#1c1d1f {{{-2 세종대학교 (4년제: 1987~현재)}}}}}}]]}}}|| ||<:>1987||<(>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112200239108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7-11-22&officeId=00023&pageNo=8&printNo=2050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 ||<:>1995||<(>인문학부 (영어전공, 일어전공)[*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5122900239139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5-12-29&officeId=00023&pageNo=39&printNo=23242&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6학년도 신입생모집]]]|| ||<:>1996||<(>인문학부 (영어영문학전공, 일어일문학전공)[*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6121600239125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6-12-16&officeId=00023&pageNo=25&printNo=23571&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97학년도 신입생 모집(“다”군)]]]|| ||<:>1998||<(>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8121400209102018&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12-14&officeId=00020&pageNo=2&printNo=24065&publishType=00010|동아일보 - 창립 52주년 전통의 세종대학교가 지식혁명을 주도할 인재를 찾습니다]]]|| ||<:>2003||<(>인문학부 (영어영문학전공, 일어일문학전공)|| ||<:>2008||<(>인문학부 (영어영문학전공, 일어일문학전공), 사회과학부 (중국학전공^^{{{-2 신설}}}^^)|| ||<:>2009||<(>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중국학과|| ||<:>2012||<(>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중국통상학과|| ||<:>2015||<(>국제학부 (영어영문학전공, 일어일문학전공, 중국통상학전공)|| ||<-2>||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소개영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c1d1f '''소개영상'''}}}||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ml0CASTeK8, width=100%, height=250)]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웹사이트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c1d1f '''홈페이지 · SNS'''}}}|| ||<:>{{{#000,#1c1d1f ,,국제학부,, [[https://home.sejong.ac.kr/~interdp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000,#1c1d1f ,,영어영문학전공,, [[https://www.instagram.com/sejong_alph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StudentCouncilAlph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000,#1c1d1f ,,일어일문학전공,, [[https://www.instagram.com/sejong_hanab/|[[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SejongkukB/|[[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000,#1c1d1f ,,중국통상학전공,, [[https://www.instagram.com/sejong.hongba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people/%EC%84%B8%EC%A2%85%EB%8C%80%ED%95%99%EA%B5%90-%EC%A4%91%EA%B5%AD%ED%86%B5%EC%83%81%ED%95%99%EA%B3%BC/100054404833859/|[[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 [[국제학부]]는 영어영문학전공, 일어일문학전공, 중국통상학전공으로 구성된 학부이다.[* 기존의 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중국통상학과 세 학과를 합쳐 놓은 학부이므로, 국제학이나 국제 정치학과는 관계가 없다.] 1학년 과정에서는 글로벌조인트영어, 글로벌조인트일본어, 글로벌조인트중국어 과목을 통해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배울 수 있다. 또한 일본사회의이해, 일본문화, 영미문학의세계, 영어학의세계, 현대중국의이해 등의 과목을 통해 영미권, 일본, 중국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 이처럼 1학년 과정에서는 세 전공의 전선을 자유롭게 배운다. 1학년 과정에서는 이름순으로 a, b, c반으로 나뉘어지는데[* 김씨는 a반, 이씨에서 b, c반으로 나뉘어진다. 지씨부터는 거의 c반이라고 보면 된다.], a반은 영어영문학전공, b반은 일어일문학전공, c반은 중국통상학전공 학생회 소속으로 들어간다. 반에 따라 해당 전공을 배정받는 것은 아니며, 전공은 2학년부터 정해진다. 단, 소속된 반에 따라 해당 반을 담당하는 전공 소속 선배들로부터 전공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반 소속이라면 영어영문학전공 선배들과 친해지기 때문에 영어영문학전공에 대한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다.] 1학년 2학기 말에 영어영문학전공, 일어일문학전공, 중국통상학전공 중 한 전공에 지원해야 한다. 선발 기준은 학기 전체성적이며, 매년마다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중국통상학전공이 인기가 높은 편이다. 2학년 과정부터는 영어영문학전공, 일어일문학전공, 중국통상학전공으로 나뉜다. 2016년 국제학부가 대학특성화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국제학부 소속 학생들은 아태문화·미래융합·통상개척 트랙 중 하나를 이수할 수 있으며, 3품 장학제도 등 추가적인 장학혜택을 받을 수 있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6년 세종대학교 국제학부가 선정된 대학특성화사업, rd1=세종대학교)]] ==== 영어영문학전공 ==== [[영어영문학과|영어영문학전공]]은 영어학, 영문학, 영어번역학, 영어교육학을 배우는 전공이다. 영어학은 영어를 언어학적으로 통찰하는 학문이며, 관련 과목으로는 영어어휘와발음, 영어음성음운론 등이 있다. 영문학은 영미 문학과 문화를 탐구하는 학문이며, 관련 과목으로는 미국문학의흐름, 영미소설의이해, 영국사회와문학 등이 있다. 영어번역학은 영어 [[번역]]을 탐구하는 학문이며, 관련 과목으로는 영문번역연습, 문학번역 등이 있다. 영어교육학은 영어를 가르치는 효과적인 방법을 탐구하고 체화하는 학문이며, 관련 과목으로는 영어교과교육론, 영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등이 있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 ==== 일어일문학전공 ==== [[일어일문학과|일어일문학전공]]은 일어학, 일문학, 일본학, 일어교육학을 배우는 전공이다. 일어학은 일본어를 언어학적으로 통찰하는 학문이며, 관련 과목으로는 일본어학개론, 일본어회화, 일본어강독 등이 있다. 일문학은 일본 문학을 탐구하는 학문이며, 관련 과목으로는 일본의고전문학, 일본문학개론, 일문학과역사 등이 있다. 일본학은 일본의 정치·문화·경제 등 일본의 여러 특성을 다루는 학문이며, 관련 과목으로는 일본의무대예술, 일본문화콘텐츠, 일본지역연구, 한일경제관계론, 일본경제세미나 등이 있다. 일어교육학은 일본어를 가르치는 효과적인 방법을 탐구하고 체화하는 학문이며, 관련 과목으로는 일본어교과교육론, 일본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등이 있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 세종대학교와 [[요코하마국립대학]] 간의 협정으로 인해 일어일문학 전공자에게 요코하마국립대에서 1년간 수학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http://www.sejong.ac.kr/college/liberal_02_2_1.html?menu_id=1.1|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국제학부 일어일문학전공 소개]]] 선발된 학생에게는 현지 기숙사(1인실) 및 장학금이 제공되며, 등록금은 세종대에 내면 된다. 요코하마국립대에서 얻은 학점은 세종대의 학점으로 인정된다. 요코하마국립대 유학 선발 인원은 매년 20여명이다. 약 3/4 인원을 (2학년으로 올라갈) 1학년 학생으로, 나머지 인원을 고학번 학생들로 선발한다.[* 일어일문학전공을 선택한 1학년의 약 50-60%는 요코하마국립대에 가지 못한다.] 1학년 2학기 중간에 100% 면접 전형으로 선발되며, 선발기준은 1학년 1학기 성적이다. 1학기 때 일본어 수업을 안들었다면 국제학부 최상위권 성적이 아닌 이상 떨어질 확률이 높다. ==== 중국통상학전공 ==== [[중어중문학과|중국]][[무역학과|통상학]]전공은 중국어, 중국학, 중국통상학을 배우는 전공이다. 중국어와 관련된 과목으로는 중국어회화, 실용중국어작문, 중국어번역연습 등이 있다. 중국학은 중국의 정치·문화·역사·경제 등 중국의 여러 특성을 다루는 학문이며, 관련 과목으로는 중국정치사회론, 중국지역문화, 중국근현대사, 중국경제론 등이 있다. 중국통상학은 한중간 무역에 특화된 국제통상학을 의미하며, 관련 과목으로는 거시경제의이해, 국제통상학개론, 중국무역실무, 중국기업경영론, 통상중국어회화 등이 있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 세종대학교와 중국 [[상하이교통대학]][* 상하이교통대학은 중국 상하이 소재의 대학교이다. 같은 상하이에 있는 푸단대학과 함께 베이징대학, 칭화대학 다음의 명문대학으로 꼽힌다.]은 협정에 따라 2+2학년 복수학위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2학년 복수학위 제도는 4학년 2학기와 1학년 1학기부터 2학년 1학기까지는 세종대학교에서, 2학년 2학기부터 4학년 1학기까지는 상하이교통대에서 수학하고, 최종적으로 세종대학교와 상하이교통대학 2개 대학의 학위를 수여받는 제도다. 그뿐만 아니라 2학년 1학기 수료예정인 중국통상학 전공자 중 선발된 인원은 중국의 교류대학에 교환학생으로 파견된다. 교환학생은 중국 현지대학에서 집중적인 중국어 교육을 받고, 세종대학교에서 최대 18학점을 부여받게 된다.[* [[http://www.sejong.ac.kr/college/liberal_02_3_1.html?menu_id=1.1|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국제학부 중국통상학전공 소개]]] === 역사학과 === ||<(>[[세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width=25¢er]]]] {{{#ffffff {{{+1 '''역사학과'''}}} ^^Dept. of History^^}}}||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문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교직이수)][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진리사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2><:>{{{#000,#1c1d1f '''연혁'''}}}|| ||<:>{{{#000,#1c1d1f 연도}}}||<:>{{{#000,#1c1d1f 학과}}}||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4년제|{{{#000,#1c1d1f {{{-2 수도여자사범대학 (4년제: 1961~1978)}}}}}}]]}}}|| ||<:>1974||<(>역사교육과^^{{{-2 신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312230023910802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3-12-23&officeId=00023&pageNo=8&printNo=16222&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1974학년도 학생모집]]]|| ||<:>1975||<(>국사교육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5010600329203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01-06&officeId=00032&pageNo=3&printNo=9008&publishType=00020|경향신문 - 수도여자사범대학 1975학년도 학생모집]]]|| ||<:>1978||<(>역사교육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712300023910203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7-12-30&officeId=00023&pageNo=2&printNo=17457&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 1978학년도 학생모집]]]||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000,#1c1d1f {{{-2 세종대학 (4년제: 1978~1987)}}}}}}]]}}}|| ||<:>1978||<(>역사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view.naver?editNo=2&printCount=&publishDate=1978-10-27&officeId=00020&pageNo=7&printNo=17557&publishType=00020&articleId=&serviceStartYear=1920&serviceEndYear=1999|동아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개편— 세종대학 교수초빙]]]|| ||<:>1982||<(>사회계열 (역사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201010023910802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2-01-01&officeId=00023&pageNo=8&printNo=1869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2학년도 신입생모집]]]|| ||<:>1983||<(>역사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01060023910500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3-01-06&officeId=00023&pageNo=5&printNo=1900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3학년도 신입생모집]]]||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교|{{{#000,#1c1d1f {{{-2 세종대학교 (4년제: 1987~현재)}}}}}}]]}}}|| ||<:>1987||<(>역사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112200239108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7-11-22&officeId=00023&pageNo=8&printNo=2050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 ||<:>1995||<(>인문학부 (역사전공)[*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5122900239139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5-12-29&officeId=00023&pageNo=39&printNo=23242&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6학년도 신입생모집]]]|| ||<:>1996||<(>인문학부 (역사학전공)[*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6121600239125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6-12-16&officeId=00023&pageNo=25&printNo=23571&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97학년도 신입생 모집(“다”군)]]]|| ||<:>1998||<(>역사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8121400209102018&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12-14&officeId=00020&pageNo=2&printNo=24065&publishType=00010|동아일보 - 창립 52주년 전통의 세종대학교가 지식혁명을 주도할 인재를 찾습니다]]]|| ||<:>2003||<(>인문학부 (역사학전공)|| ||<:>2009||<(>역사학과|| ||<-2>||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소개영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c1d1f '''소개영상'''}}}||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8RZeY2jDlk, width=100%, height=250)]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웹사이트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c1d1f '''홈페이지 · SNS'''}}}|| ||<:>{{{#000,#1c1d1f [[https://home.sejong.ac.kr/~histdp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sejong_history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 [[역사학과]]는 과거의 역사를 연구·분석하여 올바른 역사의식을 갖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본인 내지 사회의 현대적인 좌표와 미래적인 방향을 설계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잘 달성하기 위하여 역사학과의 교육과정은 크게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로 구분되어 있다. 각 분야에 걸쳐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시대사를 강의하며, 상급 학년에서는 특강, 강독, 특수사 등의 과목을 개설하여 역사적 사실을 분석, 비판, 구성한다. 또한 역사학과는 박물관과 발굴기관 등 관련 기관에서의 실무 능력 함양을 위한 실습 과목을 운영하고 있으며, 연구 능력과 실무 경험을 함께 길러낼 수 있는 교과과정을 편성·운영하고 있다. 역사학과 전공자는 졸업 후 역사학과에서 배운 폭넓은 교양과 지식을 바탕으로 교사, 문화 콘텐츠 사업, 박물관, 언론기관, 공기업 등에 진출하고 있다.[* [[https://ipsi.sejong.ac.kr/sub_page/sub1/0101.asp?tab1=1&m_year=2023|2023학년도 세종대학교 수시입시요강 4p]]] === 교육학과 === ||<(>[[세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width=25¢er]]]] {{{#ffffff {{{+1 '''교육학과'''}}} ^^Dept. of Education^^}}}||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문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교직이수)][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미래창조 교육학과)]||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2><:>{{{#000,#1c1d1f '''연혁'''}}}|| ||<:>{{{#000,#1c1d1f 연도}}}||<:>{{{#000,#1c1d1f 학과}}}||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4년제|{{{#000,#1c1d1f {{{-2 수도여자사범대학 (4년제: 1961~1978)}}}}}}]]}}}|| ||<:>1963||<(>교육학과^^{{{-2 신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2022년도 세종요람 - 학사학위수여자현황 (986p), 1967년 2월 28일 최초의 교육학과 학사학위 수여]]]||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000,#1c1d1f {{{-2 세종대학 (4년제: 1978~1987)}}}}}}]]}}}|| ||<:>1978||<(>교육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view.naver?editNo=2&printCount=&publishDate=1978-10-27&officeId=00020&pageNo=7&printNo=17557&publishType=00020&articleId=&serviceStartYear=1920&serviceEndYear=1999|동아일보 - —수도여자사범대학 개편— 세종대학 교수초빙]]]|| ||<:>1982||<(>사회계열 (교육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201010023910802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2-01-01&officeId=00023&pageNo=8&printNo=1869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2학년도 신입생모집]]]|| ||<:>1983||<(>교육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301060023910500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3-01-06&officeId=00023&pageNo=5&printNo=19000&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1983학년도 신입생모집]]]||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교|{{{#000,#1c1d1f {{{-2 세종대학교 (4년제: 1987~현재)}}}}}}]]}}}|| ||<:>1987||<(>교육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7112200239108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7-11-22&officeId=00023&pageNo=8&printNo=20503&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88학년도 신입생모집(전기)]]]|| ||<:>1995||<(>교육학과[*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5122900239139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5-12-29&officeId=00023&pageNo=39&printNo=23242&publishType=00010|조선일보 - 세종대학교 1996학년도 신입생모집]]]|| ||<:>2003||<(>인문학부 (교육학전공)|| ||<:>2009||<(>교육학과|| ||<-2>||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소개영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c1d1f '''소개영상'''}}}||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UY0EpF695E, width=100%, height=250)]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웹사이트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000,#1c1d1f '''홈페이지 · SNS'''}}}|| ||<:>{{{#000,#1c1d1f [[https://home.sejong.ac.kr/~edudp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sejong_ed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 [[교육학과]]는 교육학을 배우는 학과이다. 교육학은 교육철학, 교육심리 및 심리학, 교육행정, 교육공학, 평생교육 및 교육사회학, 교육평가 총 여섯 가지 분야로 나뉜다. 교육철학 분야는 교육의 철학적 기초를 배우는 분야이며, 관련 과목으로는 교육철학의이해가 있다. 교육심리 및 심리학 분야는 성장과 학습에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을 살펴보는 분야이며, 관련 과목으로는 교육심리의이론과실제, 발달심리학, 인지심리학 등이 있다. 교육행정 분야는 교육 및 사회단체의 행정 및 경영과 관련된 이론과 실무 관리기법을 배우는 분야이며, 관련 과목으로는 교육행정의이론과실제가 있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 교육공학 분야는 효과적이고 매력적인 학습자원과 학습환경의 기획·개발·운영·평가에 관한 이론과 현장능력을 배우는 분야이며, 관련 과목으로는 교육공학의이론과실제, 교육과정과프로그램개발, 최신학습설계이론 등이 있다. 평생교육 및 교육사회학 분야는 평생교육과 사회교육의 이론과 실무를 탐구하는 분야이며, 관련 과목으로는 평생교육방법론, 평생교육실습, 교육사회학이론과사상, 교육사회학 등이 있다. 교육평가 분야는 측정·평가·통계를 통해 교육경험의 결과를 분석하는 분야이며, 관련 과목으로는 교육통계, 교육평가론, 추리통계방법 등이 있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 교육학과 졸업자는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교직이수를 통해 교육학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부·복수전공을 통해 영어, 일본어 및 다른 교과 자격증을 취득하여 교사로 근무할 수 있다. 사회교육학 관련 과목을 이수했다면 평생학습사 자격증이 주어지므로 평생학습사로 활동할 수 있다. 또한 교육학과 졸업생에게는 상담·발달심리사, 진로상담사, 사회조사 분석사 등의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므로 자격시험에 응시하여 해당 분야에서 근무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교육과 관련된 연구기관, 사회교육기관에서 근무하거나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사이버교육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사원교육, 관리자교육 등 기업교육 담당자로서도 근무할 수 있다.[* [[http://www.sejong.ac.kr/college/liberal_05_1.html?menu_id=1.1|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교육학과 소개]]] === 글로벌인재학부 === ||<(>[[세종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 흰색.svg|width=25¢er]]]] {{{#ffffff {{{+1 '''글로벌인재학부'''}}} ^^Division of Global Leadership^^}}}|| ||<(>[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학위명: 국제학사)][include(틀:표시, other1=#D3D3D3, other2=#000000, other3=FM: - · - · -)]|| ||<(>한국언어문화전공 ^^Korean Language and Culture^^|| ||<(>국제통상전공 ^^International Trade and Commerce^^|| ||<(>국제협력전공 ^^International Affairs^^||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6%; min-height:2em" {{{#!folding ⠀[ 연혁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2><:>{{{#000,#1c1d1f '''연혁'''}}}|| ||<:>{{{#000,#1c1d1f 연도}}}||<:>{{{#000,#1c1d1f 학과}}}|| ||<-2><:>{{{#!wiki style="margin: -5px -10px" [[세종대학교/역사#세종대학교|{{{#000,#1c1d1f {{{-2 세종대학교 (4년제: 1987~현재)}}}}}}]]}}}|| ||<:>2024||<(>글로벌인재학부 (한국언어문화전공, 국제통상전공, 국제협력전공)^^{{{-2 신설}}}^^|| ||<-2>|| }}}}}}}}}}}}|| 글로벌인재학부는 한국언어문화전공, 국제통상전공, 국제협력전공으로 구성된 학부이다. 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정원 외 학부이며, 한국언어문화전공 및 국제통상전공은 한국어트랙, 국제협력전공은 영어트랙이다. 다양한 문화, 언어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소통하고 협력하는 것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영역의 전문지식을 갖춘 균형 잡힌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혁신과 변화를 선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 가능한 융합 역량, 다중언어 소통 역량,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기획된 학부이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24년도 세종요람]]] ==== 한국언어문화전공 ==== 한국언어문화전공은 한국인의 생활 감정, 생활 방식, 철학을 이해하고, 한국 언어의 특성을 인식함으로써 세계 속 한국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뚜렷한 인식을 가진 한국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 자료와 한국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한 기본적인 학습을 바탕으로,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가능케 하는 학습을 진행한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24년도 세종요람]]] ==== 국제통상전공 ==== 국제사회에서 국가 간의 교류가 증가하고 세계가 하나의 생활권으로 변해가는 현대의 시대적 흐름에 따라,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국제통상의 실제와 관련된 이론 체계 및 실무교육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여 2024년 글로벌인재학부의 국제통상학전공이 설립되었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24년도 세종요람]]] 국제통상학전공은 국제 환경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자질과 소양을 지닌 국제비즈니스맨과 무역 실무전문가 양성을 교육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실무회화, 국제통상 이해·국제통상 데이터 처리·E-Trade 등에 대한 전공 기초 지식, 그리고 국제통상으로 특화된 전문 지식 등 여러 분야의 균형적인 교육을 실시한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24년도 세종요람]]] ==== 국제협력전공 ==== 국제협력전공은 국제개발협력학 및 국제지역학 분야의 특화된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전공 기초 단계에서는 국제협력 전문가에게 필수적인 언어 역량을 갖추도록 대중연설, 의회식 토론, 기술적 글쓰기에 대해 집중적으로 훈련하고, 국제관계, 국제정치경제, 세계화, 국제개발, 지역학 등의 기초적 이론에 대해 학습한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24년도 세종요람]]] 전공 심화 단계에서는 민주주의와 국제 인권, NGO와 글로벌거버넌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개발과 환경 등 주요 글로벌 이슈와 국제기구, 개발원조, 다국적기업, 공공외교 등 국제협력의 세부 주제 분야에 대한 이론 및 실제적 지식을 습득한다. 전공 지식 외에도 구직기술, 캡스톤프로젝트, 인턴십 과목을 통해 진로 선택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 기술과 경험을 획득한다.[* [[http://www.sejong.ac.kr/sejong/catalog.html?menu_id=2.1#none|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24년도 세종요람]]] == 세계대학평가 == [include(틀:세종대학교 세계 대학 순위/인문과학대학)] == 국책사업 == [include(틀:세종대학교 국책사업)] == 업무협약 == [include(틀:세종대학교 업무협약)]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세종대학교/학부, version=494)] [[분류:세종대학교/학부]][[분류:인문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