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종버스 11. 20190309.jpg |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1119-12.jpg|width=100%]]}}}|| || {{{#ffffff '''11번'''}}} || {{{#ffffff '''12번'''}}}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width=25]] {{{#ffffff 세종특별자치시 지선버스 11, 12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SCTC-11.12 지도형노선도(2021년 5월 기준).jpg|width=100%]]}}} || ||<-2> 기점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상리(조치원버스터미널) ||<-2> 종점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상리(조치원버스터미널) || ||<|2> 11번[* [[세종중학교(세종)|세종중]]•[[세종고등학교(세종)|고등학교]] 방향] || 첫차 || 05:30 ||<|2> 12번[* [[세종전통시장|조치원 전통시장]] 방향] || 첫차 || 06:10 || || 막차 || 22:00 || 막차 || 22:45 || ||<-2> 배차간격 ||<-4> 30~35분(1일 34회) || ||<-2> 운수사명 || [[세종도시교통공사]] ||<-2> 운행대수 || 통합 9대[* 13, 300, 910번 노선들과 공유] || ||<-2> 노선 ||<-4>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조치원버스터미널]] - 조치원역 - 세종중 - 세종고 - 신안리마을회관 - 고려대학교 - 세종여고 - 신봉초 - 신흥주공APT - 세종시민체육관 - 신흥푸르지오 - 자이아파트 - 번암리 - 죽림리 - 조치원전통시장 - 조치원역 - 조치원버스터미널 || == 개요 == [[세종도시교통공사]]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조치원읍]]을 순환한다. 편도 운행거리는 10.5km.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http://naver.me/xHSfQNtY|11번]], [[http://naver.me/5LnlBb9f|12번]]) == 역사 == * [[세종교통]]에서 2017년 11월 30일까지만 운행하고 반납한 [[세종 버스 111|111번]]과 [[세종 버스 111|112번]], [[세종 버스 140|140번]], [[세종 버스 141|141번]]이 전신이다. 세종교통 측이 노선을 반납한 이유는 [[2017년 세종교통 버스 운행 중단 위기 사태]] 문서를 참조. * 2017년 12월 1일, 세종도시교통공사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 2018년 2월 1일에 '조치원역 -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구간이 연장되었고 기점이 터미널로 변경되었다. * 2018년 9월 21일 12번 운행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기존 매시 10/40분 출발에서 (6~7시) 10/40분 출발, (8~22시) 15/45분로 변경되었다. * [[조치원중학교]]가 세종시민체육관 옆으로 이전함에 따라 2021년 5월 21일부터 자이아파트정문~신봉초등학교 구간 선형이 변경되어 더이상 자이아파트정문, 신흥사거리를 경유하지 않고 12번 기준으로 번암주공아파트후문-자이아파트-신흥푸르지오-조치원농협-세종시민체육관-신흥주공아파트-신흥3리-세종문화예술회관 순서로 운행한다.[* 11번은 그 역순으로 운행한다.] == 특징 == * 11번은 '조치원버스터미널 → 조치원역 → 신안리 → 번암리 → 조치원역 → 조치원버스터미널'(반시계 방향) 순으로 운행하고 12번은 '조치원버스터미널 → 조치원역 → 번암리 → 신안리 → 조치원역 → 조치원버스터미널'(시계 방향) 순으로 운행한다. * 이 노선의 전신인 [[세종 버스 111|111, 112번]]은 하루 왕복 28회 운행했으나, 이제는 양 방향 30분 배차로 바뀌게 되었다. [[세종도시교통공사]]가 [[지방공기업]]인 만큼 주민들의 편의를 위하여 배차간격을 단축하였다고 한다.[* 정확히 하자면, 111, 112번에 140, 141번의 신안리 구간을 통합한 것. 과거에 140번엔 1일 1회 조형아파트 출발 시간대가 있지만 그건 801번이 대체하도록 하고 잘라냈다.] * 그렇게 배차간격을 단축했건만, [[http://blog.naver.com/transportation1207/221154163395|주민들이 타지를 않'''았'''다.]] ~~그렇게 [[세종도시교통공사]]는 한숨만 늘어갔다...~~ 하지만 아직 개통한지 얼마 안 된 시점의 통계이므로 좀 더 지켜봐야 할 듯 하다. 다만 조치원의 4개 노선은 개편 이전에도 사람들이 많이 타는 노선들은 아니었다는 점은 알고 가자. ~~ 수익이 어느 정도 났다면 [[세종교통]]이 반납했을 리가 없다.~~ [[조치원역|역]] 동서편 왕래를 위해 버스를 타기엔 워낙 뺑 돌아가고[* 경부선이 읍을 갈라놓고 있어서 그렇다.], 조치원역은 시내 어디서나 도보로 15분 정도면 닿을 수 있기도 하고. 읍내 대중교통이 워낙 불편하다보니 걷거나 자가용을 타는 패턴이 굳어져버렸다. 조치원역-신봉초등학교를 도보로 15분이면 충분히 갈 수 있는데 거동이 불편하지 않고서야 누가 돈 내고 15분 넘게 걸려서 버스 타고 갈까. ~~[[장군님 축지법 쓰신다|축지법의 도시 조치원.]]~~ 그나마 기대를 걸 만한 요소라면 번암리 홈플러스(조치원점)와 통학 수요 밖에 없다.[* 340번 연계 수요는 현재까지는 참담하지만 세종교통과 세종도시교통공사 모두 나름 기대를 걸고 있다.] * 2018년 2월 1일부터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착발 변경으로 기사 편의와 수요 확충을 노리는 듯. 그 동안 조치원 시내와 터미널을 이어주는 노선은 오로지 청주 방면으로 나가는 [[청주 버스 502|502번]]과 [[청주 버스 525|525번]]과 공영버스 52, 54번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두 노선은 조치원역까지만 간다.] 지금까지는 구시가지와 신시가지를 막론하고 터미널까지 가려면 조치원역으로 나가 걸어가야 했지만 이제는 버스 한번에 터미널까지 갈 수 있게 되었으니 번암, 신흥, 죽림리 일대에서는 조금은 수요가 늘어날지도?[* 하지만 지금도 고려대 정류장까지는 11, 12번으로 갈 수 있는데 아무도 안 타는 걸 봐서는....] 정작 개편 이후 늘어나라는 신시가지 터미널 수요는 더 가망이 없어졌고[* 새로 이전한 조치원중을 경유하면서 굴곡이 더 생겼다.] 조치원중 통학수요가 늘어났다. * [[http://ch1.tbroad.com/content/view?parent_no=24&content_no=79&p_no=49660|이제는 꽤 탑승객이 된다고 한다.]] 출퇴근시간에는 제법 사람들이 들어차있는 편. 학생들 하교시간인 4시에서 5시 사이에 이 노선을 타게 되면 인간의 신체가 어디까지 줄어들 수 있나를 몸소 경험할 수 있을 정도로 붐비지만 대당 평균 승차량 보면 알겠지만 출퇴근시간을 제외하면 버스 1대에 10명도 보기 힘든 경우가 많다. * 13번, 300번, 910번과 총 9대의 차량을 공유한다. 과거에는 11/12번에 주로 뛰다가 시간 맞춰서 13번과 910번은 지원처럼 뛰어주고 신대동충전소 가는 겸 300번을 운영하는 방식. 다만 충전 일 20회 중 1회는 대평동[* 2019년 6월까지는 안산동으로 갔다.]으로 운행했었다. 2020년 5월 이후로는 1대 감차와 함께 고정배차가 실시되었다. 충전도 총 일 9회로 바뀌고, 모두 대평동 충전으로 바뀌면서 일부코스는 이 노선만 뛰기도 하고, 일부코스는 매번 여러 노선을 돌아가면서 운행하기도 하는 등 여러 운용방식이 생겼다.[* 대신 승무 교대를 위해 '''공차회송으로 1시간 내에 대평동을 갔다와야 하는 괴랄한 운행 패턴'''까지 생겼다.] * 세종도시교통공사 노선 중에서도 공차회송 거리가 상당히 긴 노선이다.[* 조치원에서 대평동까지 '''무려 20km에 달하는 거리를 매일 새벽과 밤--그리고 일부는 대낮--에 공차회송해야 한다.'''] * [[조치원읍]]에 소재하는 두 고등학교[* [[세종고등학교(세종)|세종고등학교]], [[세종여자고등학교]]. 이 두 학교는 세종에서 유일한 단성고등학교이다.]와 두 중학교[* [[조치원중학교]], [[세종중학교(세종)|세종중학교]]. 2021년에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었다.]를 모두 경유한다. * 두 노선 모두 [[조치원읍]]을 한바퀴 순환하고 다시 [[조치원역]]에 오면 차량 외부 LED에 자동으로 노선번호가 표출되지 않고 '''터미널행'''이라고 표출된다. 조치원역에서 행선지 혼동이 없도록 만든 모양이다. * 11, 12번은 상호환승이 가능해 왕복이용이 가능하다. * 행선지가 어디든간에 먼저 오는 버스를 타는 것이 유리하다. === 일평균 승차량 === * 환승량은 포함하되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으며,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 출처: [[http://tdata.sejong.go.kr/ingecep/launcher/dashboard/|세종특별자치시 교통정보시스템 빅데이터]] ||<-3> {{{#ffffff 세종특별자치시 지선버스 1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명)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7년[*A 신설된 2017년 12월 1일 이후 한달 간 자료만 반영했다.] || 200.55 || || || 2018년 || 265.81 || {{{#red △ 65.26}}} || || 2019년 || || || || 2020년 || || || || 2021년 || || || || 2022년 || || || ||<-3> {{{#ffffff 세종특별자치시 지선버스 12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명)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7년[*A] || 97.48 || || || 2018년 || 153.15 || {{{#red △ 55.67}}} || || 2019년 || || || || 2020년 || || || || 2021년 || || || || 2022년 || || || === 시간표 === ||<-5> {{{#ffffff 세종 버스 11, 12번 운행시간표}}}[br]{{{#ffffff 2018년 9월 21일 기준 /}}} [[http://www.sejong.go.kr/life/sub02_04.do|{{{#fff 출처}}}]] || ||<-2> 11번 ||<-3> 12번 || ||<-2>첫차 05:30 / 막차 22:00 / 편도 34회 ||<-3>첫차 06:10 / 막차 22:45 / 편도 34회 || ||5시||30 ||<-2>5시||- || ||6~7시||00 30 ||<-2>6~7시||10 40 || ||8~21시||00 30 ||<-2>8~21시||15 45 || ||22시||00 ||<-2>22시||15 45 || == 연계 철도역 ==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조치원역]](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분류:세종특별자치시의 시내버스]][[분류:2017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