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e5d85c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아카데미 시상식}}}]] ''' }}} || ||<-5> [[파일:oscar_logo.svg|width=80]] || ||<-5> [[아카데미 국제영화상|{{{#e5d85c ''' 외국어영화상 ''' }}}]] || || ''' [[제88회 아카데미 시상식|제88회]] [br] ([[2016년]]) ''' || {{{+1 → }}} || ''' [[제89회 아카데미 시상식|제89회]] [br] ([[2017년]]) ''' || {{{+1 → }}} || ''' [[제90회 아카데미 시상식|제90회]] [br] ([[2018년]]) ''' || || [[사울의 아들]] || {{{+1 → }}} || '''세일즈맨''' || {{{+1 → }}} || [[판타스틱 우먼]] || ---- ||<-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 ||<-5>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190]] || ||<-5> {{{#e5d85c '''[[칸 영화제/각본상|{{{#e5d85c 각본상}}}]]'''}}} || || '''[[2015년 칸 영화제|제68회]] [br] ([[2015년]])''' || {{{+1 → }}} || '''[[2016년 칸 영화제|제69회]] [br] ([[2016년]])''' || {{{+1 → }}} || '''[[2017년 칸 영화제|제70회]] [br] ([[2017년]])''' || || 미첼 프랑코[br](크로닉) || {{{+1 → }}} || '''[[아스가르 파르하디]][br]([[세일즈맨(영화)|세일즈맨]])''' || {{{+1 → }}} || [[린 램지]][br]([[너는 여기에 없었다]])[br][[요르고스 란티모스]][br]([[킬링 디어]]) || ||<-5> [[칸 영화제/남우주연상|{{{#e5d85c '''남우주연상'''}}}]] || || '''[[2015년 칸 영화제|제68회]] [br] ([[2015년]])''' || {{{+1 → }}} || '''[[2016년 칸 영화제|제69회]] [br] ([[2016년]])''' || {{{+1 → }}} || '''[[2017년 칸 영화제|제70회]] [br] ([[2017년]])''' || || [[뱅상 랭동]][br](아버지의 초상) || {{{+1 → }}} || '''[[샤하브 호세이니]][br]([[세일즈맨(영화)|세일즈맨]])''' || {{{+1 → }}} || [[호아킨 피닉스]][br]([[너는 여기에 없었다]])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902e2d '''{{{+2 세일즈맨}}}''' (2016)[br]''فروشنده’''[br]''The Salesma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일즈맨 국내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 '''{{{#000000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 || '''{{{#000000 감독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아스가르 파르하디]]}}} || || '''{{{#000000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아스가르 파르하디, 알렉상드르 말레가이, 올리비에 페레}}} || || '''{{{#000000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샤하브 호세이니]], [[타라네 앨리두스티]] 외}}} || || '''{{{#000000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오셍 자파리안}}} || || '''{{{#000000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하이데 사피야리}}} || || '''{{{#000000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키반 모그하담}}} || || '''{{{#000000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사타르 오라키}}} || || '''{{{#000000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사라 새미}}} || || '''{{{#000000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이란 국기.svg|width=20]] 파르하디 필름 프로덕션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아르테 프랑스 시네마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메멘토 필름스 프로덕션}}} || || '''{{{#000000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찬란]]}}} || || '''{{{#000000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이란 국기.svg|width=20]] 필름이란[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찬란]], [[팝엔터테인먼트]]}}} || || '''{{{#000000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2016년 칸 영화제|[[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 2016년 05월 21일[br][[파일:이란 국기.svg|width=20]] 2016년 08월 3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05월 11일}}} || || '''[[화면비율|{{{#000000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85 : 1}}} || || '''{{{#000000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24분}}} || || '''{{{#000000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000000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6,953,604}}} || || '''{{{#000000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2,402,067}}} || || '''{{{#000000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11,363명}}} || || '''{{{#000000 국내 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40]] {{{#000000 (TVING)}}}]] [[https://www.tving.com/movie/player/M000147679|▶]] [[왓챠|[[파일:왓챠 로고.svg|width=40]] {{{#000000 (왓챠)}}}]] [[https://watcha.com/contents/share/m5nQ1k3|▶]]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아이콘.svg|width=12]] {{{#000000 (넷플릭스)}}}]] [[https://www.netflix.com/kr/title/80114001|▶]]}}}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5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000000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스가르 파르하디]] 연출, [[샤하브 호세이니]], 타라네 앨리두스티 주연의 [[이란]], [[프랑스]] 합작 영화. [[2016년 칸 영화제]]에서 [[칸 영화제/남우주연상|남우주연상]]과 [[칸 영화제/각본상|각본상]]을 수상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d-7GosHVfE)]}}}|| || {{{#902e2d '''▲ 예고편'''}}} || == 시놉시스 == * 출처: [[네이버 영화]] > '''진실과 마주한다면 당신은 용서할 수 있는가?''' > >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을 준비 중인 젊은 부부 ‘라나’와 ‘에마드’. > 살고 있던 건물이 붕괴될 위기에 처하자 > 이전 세입자의 물건들이 남아 있는 기이한 느낌의 아파트로 이사를 간다. > 하지만 남편 '에마드'가 집을 비운 어느 날, 그들의 삶이 송두리째 바뀌는 사건이 일어나는데... == 등장인물 == * [[샤하브 호세이니]] - 에마드 역 * 타라네 앨리두스티 - 라나 역 * 바바크 카리미 - 바바크 역 * 미나 사다티 - 사남 역 * 파리드 사자디 호세이니 - 그 남자 역 * 마랄 바니 아담 - 카티 역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salesman, critic=85, user=7.5)]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salesman_2017, tomato=96, popcorn=84)] [include(틀:평가/IMDb, code=tt5186714, user=7.8)]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salesman-2016, user=3.8)]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45360, presse=3.4, spectateurs=3.9)]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958494, user=6.664)]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59491, user=3.45)]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67921, user=3.6)]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30245, user=8.0)]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6679552, user=7.7)]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nQ1k3, user=3.6)]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2907, light=95.71)]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49059, expert=8.17, audience=8.42, user=7.96)]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02835, expert=없음, user=7.4)] [include(틀:평가/CGV, code=79489, egg=95)] [include(틀:평가/MRQE, code=forushande-m100117215, critic=78, user=없음)] > The Salesman takes an ambitiously complex look at thought-provoking themes, and the well-acted results prove another consistently absorbing entry in writer-director Asghar Farhadi's distinguished filmography. >---- > '''<세일즈맨>은 좋은 연기가 담긴 결과물로 관객을 생각에 잠기게 만드는 주제를 모호하면서도 복잡하게 바라보는 시선이자, 감독이자 각본가인 아스가르 파르하디의 성공적인 필모그래피에 변함없이 몰입감 있는 작품이 나온다는 것을 증명한다.''' > [[로튼 토마토]] 총평 > '''관객의 뺨을 후려치는 거장의 복수극'''[br][br]나의 가족이 누군가로 인해 끔찍한 사고를 당했다. 당신이라면 어떻게 하겠는가. 아스가르 파르하디 감독이 도덕적 딜레마에 관한 질문을 풀어나가는 열쇠는 아서 밀러의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1949)이다. 급속한 현대화가 일어나고 있는 지금의 이란 테헤란과 경제대공황이던 1940년대 미국 뉴욕에서 집은 더 이상 보금자리가 아니다. 가족의 이름으로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인 만큼 용서와 복수, 죄책감 사이에서 갈등하는 등장인물 모두에게 감정 이입할 수밖에 없다. 원제는 ‘복수’. >---- > 정유미 '''(★★★★)''' > '''저 깊은 침묵 속에서, 이제 어쩔 것인가.''' >---- > [[이동진]] '''(★★★☆)''' > '''나의 오늘을 모욕하는 세상, 그럼에도 당신은 여전히 선택할 수 있다''' >---- > [[송경원]]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7143|장문 리뷰]] > '''영혼을 베고 베이다''' >---- > [[박평식]] '''(★★★★)''' > '''재현하는 이의 자격에 관한 질문''' >----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 > '''딜레마라는 심리의 검은 우물을 최대수심까지 파고드는 경지''' >---- > 허남웅 '''(★★★★☆)''' > '''현실은 연극이고 연극은 현실이다''' >---- > 한동원 '''(★★★★☆)'''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7156|씨네21]] - 홍수정 리뷰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7350|씨네21]] - 이지현 리뷰 == 흥행 == ||<-7><:>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6,953,604''' ||<:> '''(기준일자)''' || ||||||||<:>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2,402,067''' ||<:> 미정 || == 수상 및 후보 이력 == * [[2016년 칸 영화제|제69회 칸 영화제]] [[칸 영화제/남우주연상|남우주연상]], [[칸 영화제/각본상|각본상]] '''수상''' * 제52회 시카고국제영화제 실버휴고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 * 제71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외국어영화상 후보 * 제11회 아시안 필름 어워드 최우수 각본상 '''수상''' * [[제89회 아카데미 시상식]] [[아카데미 국제영화상|외국어영화상]] '''수상''' * 제74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외국어 영화상 후보 * 제22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외국어 영화상 후보 [[샤하브 호세이니]]는 이 작품을 통해 아시아 배우 중 최초로 세계 3대 영화제 중 2곳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배우가 되었다. [[제89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아카데미 국제영화상|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하며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이후 두번째로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하게 됐으나, [[아스가르 파르하디]]는 [[도널드 트럼프]]의 반 이민정책에 항의하며 성명문을 내고 참석을 거부했다. {{{#!folding성명문 전문 > [[제89회 아카데미 시상식]] 불참 > <세일즈맨> 아스가르 파르하디 감독 공식 성명서 > > 아카데미 시상식 불참을 발표하게 되어 유감이다. > > 지난 며칠간 여러 국가의 이민자들과 여행자들에게 행해진 미국 내 부당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 시상식에 참석, 언론 앞에서 현 상황에 대한 의견을 표현하고자 했다. > 불참하려는 의도도 없었고, 반대를 표명하기 위해 시상식을 보이콧하고 싶지도 않았다. > 미국영화계와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의 대다수가 > 미국의 광신주의와 극단주의에 반대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 그렇기에, 후보가 발표된 날 미국의 배급사에게 시상식에 참석하겠다 말했고 > 이 위대한 문화적 행사에 참석할 것이라고 믿었다. > > 그러나 이제는 비록 나를 위한 예외가 만들어지더라도 > 참석 가능성에는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조건들이 수반되는 것처럼 보인다. > 따라서 이 성명서를 통해 언론 앞에서 말하고 싶었던 것을 전하고자 한다. > > 국적, 정치적 논쟁, 전쟁에도 불구하고 강경파들은 세상을 똑같은 방식으로 생각하고 이해한다. > 강경파들은 ‘그들’이라는 두려운 이미지를 만들어 > 자국민들에게 공포심을 주는 이른바 ‘우리와 그들’의 정신을 통해 세상을 해석한다. > > 이는 미국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나의 조국의 강경파들도 똑같다. > 수년 동안 양쪽 강경파들은 차이를 의견의 불일치로, 불일치를 적대감으로, 적대감을 공포심으로 > 바꾸기 위해 여러 국가와 문화의 비현실적이고 무서운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다. > 사람들에게 공포심을 심는 이 방식은 편협한 개인을 통해 > 극단주의자와 광신주의자의 행동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 > 하지만, 나는 이 지구의 인류와 다양한 땅, 그리고 문화와 신앙 사이의 유사점이 > 차이점보다 훨씬 크다고 믿는다. > 오늘날 세계 여러 국가들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많은 적개심의 근본 원인은 > 과거 행해진 상호간 굴복의 역사에서 찾아야만 한다고 믿는다. > 또한 의심할 여지 없이 오늘의 굴복은 내일의 적개심의 씨앗이라고 믿는다. > 한 국가를 굴복시켜 다른 국가의 안보를 지키는 것은 역사의 새로운 현상이 아니며 > 그것은 항상 미래의 분열과 적대감의 토대를 마련한다고 믿는다. > > 이 성명서를 통해 미국에 합법적으로 입국하려고 시도하고 있는 > 다른 6개국 시민들 그리고 나의 동포들에게 강행되고 있는 부당한 조건에 대한 비난을 표현하고 > 현 상황이 국가 간 분열을 일으키지 않기를 희망한다. > > 이란에서, 아스가르 파르하디 }}} == 관련 문서 == * [[세일즈맨의 죽음]] == 둘러보기 == [include(틀:아스가르 파르하디 감독 장편 연출 작품)] [[분류:이란 영화]][[분류:프랑스의 드라마 영화]][[분류:2016년 영화]][[분류:칸 영화제 각본상 수상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