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세인트헬레나집게벌레}}}[br](헬크레아집게벌레, 세인트헬레나헤라클레스집게벌레)[br]Saint Helena earwi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abidura herculeana.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Labidura herculeana'' '''[br]Fabricius, 1798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곤충강(Insect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집게벌레목(Dermapte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큰집게벌레과(Labidur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큰집게벌레속(''Labidur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세인트헬레나집게벌레(''L. herculeana'')''' || || [[파일:세인트헬레나 헤라클레스 집게벌레/비교.jpg|width=100%]] || || 한국에도 분포하는 근연종 큰집게벌레와 꼬리 '''조각'''의 비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세인트헬레나집게벌레는 [[세인트헬레나]]에 살았던 '''지구에서 가장 컸던 [[집게벌레]]'''이다. 집게벌레목 큰집게벌레과 큰집게벌레속에 속하는 종이다. 오직 [[나폴레옹]]이 유배됐던 세인트헬레나 섬에만 있는 고유종이었다. [[헤라클레스]]에서 따온 '세인트헬레나헤라클레스집게벌레' 또는 '헬크레아집게벌레'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몸길이 8.4㎝의 거대한 몸집을 지니고 있다. 빛나고 검붉은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짧고 딱딱한 겉날개만 있고 속날개는 없다. 이는 세인트헬레나 섬에 고립되면서 [[섬 거대화]]의 영향으로 날개가 퇴화하고 몸이 커졌기 때문이다. == 발견 기록 == [[1798년]] 박물학자 파브리시우스가 최초로 그 존재를 알렸으나 이후 보이지 않다가 [[1962년]]에야 조류학자가 다시 발견했지만 당시로써는 그게 마지막이었다. [[1980년대]]에는 [[런던]] 동물원에서 "허큘레스 계획"이라는 것을 시도해서 이 종의 복원 계획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고 한다. 하지만 [[1995년]]에 이 녀석의 흔적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 발견으로 인해 세인트헬레나집게벌레가 원서식지인 [[고무|고무나무]] 숲 지대뿐만 아니라 바닷새 군락지에서도 살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고 한다. 이에 1990년대 후반 국제자연보호연맹(IUCN)에서는 "심각한 위험(Critically Endangered)"으로 등록했다. [[멸종]]했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지만, 아직 생존할 것이라는 견해도 있으니 추후를 지켜볼 일이다. == [[멸종]] == 결국 [[2014년]] [[8월 22일]] IUCN 적색 목록 3.1 버전에서 '''멸종(Extinct)'''으로 간주하면서 공식적으로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져 버렸다.''' 이들을 세인트헬레나 섬에서 사라지게 한 요인으로 천적이 돼버린 외래침입종([[지네]], [[쥐]])의 포식과 세인트헬레나 공항의 지속적인 건설 등이 있다. [[분류:고생물]][[분류:큰집게벌레과]][[분류:인류가 등장한 이후 멸종된 생물]][[분류:세인트헬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