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 [[유희왕/OCG]]의 엑시즈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세이크리드)] [목차] == 설명 == [[파일:セイクリッド・トレミスM7(23T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세이크리드 트레미스M7, 일어판명칭=セイクリッド・トレミスM(メシエ)7(セブン), 영어판명칭=Constellar Ptolemy M7, 속성=빛, 레벨=6, 공격력=2700, 수비력=2000, 종족=기계족, 소재=레벨 6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는 "세이크리드 트레미스M7" 이외의 자신 필드의 "세이크리드" 엑시즈 몬스터 위에 이 카드를 겹쳐 엑시즈 소환할 수도 있다. 이 방법으로 특수 소환했을 경우\, 이 턴에 이 카드의 효과는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자신 또는 상대 필드 / 묘지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5>'''눈부신 빛과 함께 내려와라! 엑시즈 소환! 나와라, 랭크 6! 세이크리드 트레미스M7!(眩き光もて降り注げ! エクシーズ召喚! 現れろ、ランク 6! セイクリッド・トレミスM7!) - 유희왕 ARC-V [[시지마 호쿠토]]'''|| 이름의 M7은 [[프톨레마이오스 성단]]의 이름인 '''메시에 세븐'''으로 읽는다. 세이크리드 후속 카드군인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와 이름은 다르지만 뜻은 같은 카드다. [[세이크리드]] 엑시즈 몬스터에 겹쳐 엑시즈 소환할 수도 있는 [[효과 외 텍스트]], 필드 / 묘지의 몬스터를 패로 되돌리는 [[기동효과]]를 가진 엑시즈 몬스터. [[CNo.39 유토피아 레이]]의 뒤를 잇는, 엑시즈 몬스터를 엑시즈 소재로 사용해 소환할 수 있는 엑시즈 몬스터로서, 효과도 상당한 고성능이다. 세이크리드 엑시즈 몬스터에 겹쳐서 엑시즈 소환하는 방법이 제일 편하지만, 그 방법으로 소환된 턴에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세이크리드 히아데스나 세이크리드 비하이브를 고효율의 이 카드로 바꿀 수 있긴 하지만, 정작 속공성이 떨어진다는 게 문제. 주로 엑시즈 소재를 다 사용한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 위에 이 카드를 엑시즈 소환하는 게 제일 자주 나오는 장면. 자신 / 상대의 필드 / 묘지의 몬스터를 패로 되돌리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상황에 맞게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패로 되돌리거나 자신 묘지의 몬스터를 패로 되돌릴 것이다. 모든 몬스터의 바운스, 샐비지라 이 카드만으로 대응할 수 있는 범위는 넓은 편이라서, 랭크 6 엑시즈 몬스터로서의 우선 순위는 꽤 높다. 레벨 6을 주축으로 하는 덱 전반에서 엑시즈 소환을 실행한다면 채용을 고려할 수 있겠다. 일반적인 레벨 6 몬스터 2장으로 엑시즈 소환할 때에 가장 잘 어울리는 카드군은 [[세이크리드]]를 제외하면 [[성각]], [[리추어]]. 세이크리드도 자체적인 레벨 변동 효과로 이 카드를 정규 소환할 수 있긴 하지만, 성각과 리추어는 레벨 6 몬스터를 늘어놓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오히려 정규 소환은 세이크리드보다 쉬운 편. [[인잭터]]도 자체 레벨 변동 효과로 레벨 6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이 카드를 엑시즈 소환할 수 있다. '자신 또는 상대의, 필드 / 묘지의 몬스터'라는 희귀한 대상 지정을 걸고 있는 것이 특징. 발동하려면 어느 쪽이든 몬스터가 존재할 필요가 있지만, 이 카드가 이미 자신 필드에 존재하므로 기본적으로 자신 필드 이외의 어느 곳이 어떤 상태이든 발동 조건을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자신 / 상대 묘지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코스트로 묘지로 보내진 엑시즈 소재를 선택해 패로 되돌릴 수가 있다.''' 묘지에 카드가 없는 경우라도 샐비지가 가능하다는 점은 알아둬서 나쁠 건 없을 것이다. 또한 상대에게 샐비지를 시키는 드문 효과를 가진 카드인 덕분에 상대 묘지의 [[네크로 가드너]]나 [[초전자 터틀]] 등을 되돌리게 하는 것이 가능. OCG에서는 발매 후에도 무제한이었지만, [[유희왕/TCG 금지제한|TCG 금지 제한]]에서는 변동이 있었다. 13년 9월 TCG에서는 제한 카드로 지정되었다가, 14년 1월 환경에서 다시 무제한이 되었다. [[빙결계의 범왕 듀로렌]], [[지령신 그란소일]]과 조합하는 [[무한 루프]]가 발견되었고, 이 영향으로 듀로렌은 2017년 1월 금제에서 제한되었다. 해당 루트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지령신 그란소일]] 문서 참조.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인기 있는 6축 중 하나. 단, CPU 자동 듀얼에서는 단점이 하나 있는데,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없으면 거의 무조건 상대 묘지의 몬스터를 패로 되돌린다. 일단은 일반적으로 짐이 될 가능성이 높은 고레벨 몬스터를 우선적으로 선택하기는 하나, 그게 키카드가 되어 다음 턴에 역공당하면 AI 욕이 절로 나올 것이다.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 [[스피드 듀얼]]에서는 이 카드를 스캔하면 숨겨진 덱인 '[ruby(신성한 승강룡, ruby=세이크리드 드라고노드)]([ruby(神聖なる昇降龍, ruby=セイクリッド・ドラゴノード)])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스캔하는 몬스터는 [[젬나이트]]나 [[세이크리드]] 몬스터로 해야 한다. 해당 덱의 해설로는 어떤 계기로 [[세이크리드]]들이 자신의 힘을 각성하여 이 몬스터로 탄생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 [[파일:1563440608.jpg|width=100%]] || || 설정화 || 설정상으로는 [[젬나이트]]들이 융합하는 것을 보고 뭔가 깨달은 세이크리드의 레오니스, 아쿠베스, 안타레스, 레스카, 다바란, 스피카, 그레디가 '''7단 합체'''를 감행한 전설의 용이라고 한다. 또한 2마리의 용 형태로 분리도 가능하고 이는 세이크리드 벨트에서 반영되었다. [[젬나이트]]의 지원으로 전황을 바로잡은 세이크리드는 그들의 [[융합 소환|융합의 힘]]을 주목했는데, 그 핵(마음)인 진실된 정의와 결속의 힘을 알고나서 세이크리드들은 자신들에게 깃든 성관의 힘의 의미를 이해하고 해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몬스터의 지원을 받아 벨즈에게 밀리고 있던 세이크리드 & 젬나이트 연합은 다시 승기를 잡아 벨즈들을 쓸어버리기 시작한다. 이후 이 카드도 파멸의 사룡 [[벨즈 우로보로스]]와 최종결전을 벌이지만 벨즈 우로보로스의 공격을 받을 위기에 처하는데, [[젬나이트 펄]]의 [[엑시즈 소울|희생으로]] 위기를 모면한다. 그리고 이들이 그렇게 싸우는 통에 안개 골짜기 제단에 있던 [[창성신 sophia]]가 깨어났다. 이후에는 이 카드를 구성하고 있던 세이크리드들이 나머지 세이크리드들과 함께 다시 [[세이크리드 솜브레스]]의 융합에 참여했다고 하는 걸로 보아 창성신 sophia 등장 이후 융합을 해제한 듯 하다. 이름의 유래는 [[전갈자리]]의 M7 성운. [[프톨레마이오스]]가 관찰했다고 하여 프톨레마이오스(Ptolemy, 톨레미) 성단이라고도 하며 이 카드의 이름은 이 두 이름을 합친 것이다. 즉 원래는 '''세이크리드 톨레미스 메시에 세븐'''이라고 읽는 게 맞는 이름이지만, 대원은 우리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트'''레미스라는 [[유희왕/오역|발번역]]을 내고 말았다. 루비까지 빼버려서 M7의 읽는 법을 알 수 없는 건 덤. 정작 이후 이름의 유래가 같은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는 정상적으로 번역했다. 참고로 전설의 용이라면서 기계족이라서 놀림거리가 되기도 했다. == 기타 작품에서 == [[유희왕 ZEXAL]] 60화에서는 [[타케다 테츠오]]와 [[미즈키 코토리]]가 듀얼 로보와의 보안 듀얼에서 [[엑시즈 소환]] 가능한 엑시즈 몬스터 후보 중 하나로 나왔지만 직접 엑시즈 소환되지는 않았다. 작중에서는 엑시즈 몬스터를 '몬스터 엑시즈'라 표기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 카드의 텍스트는 OCG의 것이 그대로 쓰였다.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ConstellarPtolemyM7-JP-Anime-AV-NC.png|width=100%]] [[유희왕 ARC-V]]에서는 [[세이크리드]] 덱 사용자인 [[시지마 호쿠토]]의 에이스 몬스터로 등장. 카드 일러스트와 비교하면 날개 위치나 세부 디자인 요소들이 다수 변경되었다. [[사카키 유우야]]와의 듀얼에서는 엑시즈 소재를 다 사용한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 위에 겹쳐서 소환되는 방법으로 소환되었으며, 유우야를 직접 공격해 끝내려 했으나 [[액션 듀얼|액션 카드]] 때문에 공격력이 낮아져 실패. 이후 공격력 상승 효과를 받은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에게 전투로 파괴되었다. 24화, [[쿠로사키 슌(유희왕)|쿠로사키 슌]]과의 듀얼에서는 마법 카드 트윈클 세이크리드로 폴룩스의 레벨을 올리고 쉐아트로 폴록스의 레벨을 복사해 레벨 6이 되어 정규 엑시즈 소환되어 슌 필드의 [[RR(유희왕)|RR-버니싱 레이니어스]]를 패로 되돌렸다만, 다음 턴, 슌이 엑시즈 소환한 [[RR-라이즈 팔콘]]에게 전투 파괴당했다. 여담으로 작중에서는 이 몬스터를 트레미스라고 부르지 않고 메시에 세븐이라고 불렸다. [[파일:ConstellarPtolemyM7-JP-Manga-OS-NC.png|width=700]]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는 [[유사 쇼마]]가 [[사이킥 텐도]]와의 2차전 듀얼 중 사용. 레벨 6이 된 [[전뇌계#전뇌계희-냥냥|전뇌계희-냥냥]]와 [[전뇌계#전뇌계수-쥬쥬|전뇌계수-쥬쥬]]를 소재로 엑시즈 소환되었으며, 효과로 텐도의 [[황금경 엘드리치]]를 바운스시켰다. 이후 [[전뇌계#전뇌계호-셴셴|전뇌계호-셴셴]], [[전뇌계#전뇌계황-황황|전뇌계황-황황]]과 함께 총공격을 가하며 피니셔가 되었다. 애니메이션과 다르게 이쪽은 원본 일러스트를 따랐다.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듀얼리스트 세트]] Ver. 라이트닝 스타[br]동봉 카드 || DS13-KRL42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숨겨진 세력]] 7 || HA07-KR062 || [[시크릿 레어]] || 한국 || || || [[듀얼 터미널]] -파멸의 사룡 우로보로스!!- || DT14-JP039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울트라 레어]][br][[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듀얼 터미널]] -크로니클Ⅲ 파멸의 장- || DTC3-JP113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울트라 레어]][br][[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시크릿 레어]] || 일본 || || || 듀얼리스트 세트 Ver. 라이트닝 스타[br]동봉 카드 || DS13-JPL42 || [[울트라 레어]] || 일본 || || || 듀얼리스트 세트 DX 더블 유니온[br]동봉 카드 || DS13-JPL42 || [[시크릿 레어]] || 일본 ||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7 || DT07-EN089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울트라 레어]][br][[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숨겨진 세력|Hidden Arsenal]] 7: Knights of Stars || HA07-EN062 || [[시크릿 레어]] || 미국 || 공식대회 제한해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