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식축구 관련 인물]] [include(틀:뉴욕 자이언츠/선수단)] ---- ||
'''{{{#fff 세이콴 바클리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1126, #003b66)" [[내셔널 풋볼 리그|[[파일:NFL 로고.svg|width=15]]]] '''{{{#ffffff 2018년 NFL 올해의 신인 공격수상}}}'''}}} || || [[알빈 카마라]] [br] ([[러닝백|RB]] / [[뉴올리언스 세인츠]]) || → || '''세이콴 바클리 [br] ([[러닝백|RB]] / [[뉴욕 자이언츠]])''' || → || [[카일러 머리]] [br] ([[쿼터백|QB]] / [[애리조나 카디널스]])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quonbarkley.jpg|width=100%]]}}} || ||<-2> '''뉴욕 자이언츠 No.26''' || ||<-2> '''{{{+2 세이콴 바클리}}}[br]Saquon Barkley''' || || '''본명''' ||세이콴 레술 퀘비스 바클리[br] Saquon Rasul Quevis Barkley || ||<|2> '''출생''' ||[[1997년]] [[2월 7일]] ([age(1997-02-07)]세) || ||[[뉴욕주]] [[뉴욕시]] [[브롱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출신학교'''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 || '''신체''' ||183cm / 106kg || || '''포지션''' ||[[러닝백]] || || '''프로 입단''' ||2018년 [[드래프트]] 1라운드 2순위 [br] [[뉴욕 자이언츠]] 지명 || || '''소속 구단''' ||'''[[뉴욕 자이언츠]] (2018~)''' || [목차] [clearfix] == 소개 == NFL [[뉴욕 자이언츠]]의 [[러닝백]]. 러닝백임에도 전체 2번에 지명되어 2018년 센세이션한 루키 시즌을 보냈으나, 잦은 부상으로 기량 자체가 크게 하락해 평범한 선수로 전략하는듯 보였다. 하지만 2022시즌 건강하게 복귀후 팀의 러싱공격을 이끌면서 다시 부활할 조짐을 보여주고있다. == 플레이스타일 == 지난 몇년간 top 5 순위 내에 지명받은 [[이제키엘 엘리엇]]([[댈러스 카우보이스]]), [[레너드 포넷]] ([[잭슨빌 재규어스]]), [[토드 걸리]]([[로스앤젤레스 램스]]), 전년도 공격 신인왕 [[알빈 카마라]]([[뉴올리언스 세인츠]])처럼, NFL 주전 러닝백이 갖춰야할 운동능력과 내구력, 패스 캐치와 블리츠 픽업등 모든 것을 갖춘 만능 워크호스 러닝백이다. 팀에서는 주전 러닝백이자 일라이 매닝을 보호하는 블로커, 위기 상황에서 숏패스로 퍼스트다운을 따내는등 팀의 공격을 주도하는 다재다능한 역할을 소화하고 있다. 특히나 패스캐치 능력이 우수하여 짧은 거리는 물론 타이트엔드, 슬롯 리시버들이 커버할 중거리 타겟까지도 소화하고 있다. 러닝 테크닉도 뛰어나지만 러닝백치고는 큰 사이즈인 6피트 233파운드(183cm,106kg)라서[* 일반적으로 세이콴이 맡은 포지션은 러닝백, 그 중에서도 공을 전달받아 질주하는것을 주임무로 하는 테일백{Tailback}인데 대부분 180cm{5ft 11in}의 키에 90kg{200 Lbs} 초,중반의 몸무게를 지닌 선수들이 많다. 재빠르고 민첩한 움직임을 보여야 하니 이러한 피지컬 스텟이 필요한데 수비라인과 라인배커들의 태클을 벗기거나 견뎌내는 힘도 지녀야 하므로 반드시 나쁘다곤 할 수 없다.]어지간한 태클을 씹으면서 달리는 파워도 상당하다. [[파일:333333.gif]] 무시무시한 [[말벅지]]의 힘으로 질주하는 세이콴 바클리. 또한 공을 잡고 달릴때의 폭발력도 엄청나서 데뷔 후 5경기째에 지구 라이벌 [[필라델피아 이글스]]의 수비를 농락하는 환상적인 스텝과 파워풀한 돌파를 보여주었다. 중계하던 FOX의 [[조 벅]]과 [[트로이 에이크만]]이 바클리의 러싱에 감탄하며 레전드 [[배리 샌더스]]를 소환할 정도니 말 다했다. 지난 20년간 최고의 러닝백인 [[아드리안 피터슨]] 마저도 세이콴이 [[배리 샌더스]]와 가장 흡사한 몸을 가졌으며 --물론 세이콴이 키와 몸무게는 더 크다-- 현 기량을 유지하고 발전해 나아가면 역대 최고의 러닝백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생애 == 아버지 알리베이 바클리는 아마추어 복서이며, 전 WBC 미들급,WBA 라이트헤비급 챔피언인 프로복서 이란 바클리의 조카이다. 세이콴은 고등학교 때까지 투포환 , 멀리뛰기 , 농구 , 미식축구를 했었고 , [[뉴욕 제츠]]의 [[커티스 마틴]]을 닮고 싶다고 생각해서 대학교에서는 본격적으로 미식축구의 길을 걷게 된다. === 커리어 === ====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 [youtube(E0VALn4r8mg)] 2015시즌 펜스테이트 니타니 라이언즈에 입학할 때부터 두각을 나타내어 트루 프레쉬맨으로 1076야드 러싱을 기록하며 기대주로 떠올랐고, 2016,2017에도 1496,1271야드 러시로 18 러싱 터치다운, 2년 연속 23 터치다운(17시즌 2개의 킥오프 리턴 터치다운 포함)을 기록하며 펜스테이트의 공격을 캐리했다. 2016시즌 당시 전미 2위였던 [[오하이오 스테이트 버카이즈/미식축구|오하이오 스테이트]]와의 홈경기에서 24-21 승, 당시 전미 6위 [[위스콘신 대학교]]와의 Big-10 챔프전에서 38-31 승, [[로즈 볼(미식축구)|로즈 볼]]에서 [[USC]]에게 아쉽게 49-52로 패했지만 공격 선봉장으로 활약하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 2017시즌에도 개막 후 7승 무패를 달리며 팀을 전미 2위까지 끌어올렸고 [[오하이오 스타디움]]에 입성했지만 38-39로 석패했다. 변함없이 꾸준한 활약했고 [[피에스타 볼(미식축구)|피에스타 볼]]에서 [[워싱턴 허스키스]]에게 35-28로 승리를 거뒀다. 2017시즌 이후 NFL 진출을 선언했다. ==== [[뉴욕 자이언츠]] ==== 이미 2018시즌 강력한 전체 1번급 유망주로 부각됐지만, 1순위를 가진 [[클리블랜드 브라운스]]가 [[쿼터백]]을 지명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어서 바클리는 자연스럽게 2순위에 러닝백이 약점인 [[뉴욕 자이언츠]]에 지명될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이나 팬들의 평가였으며, 실제 드래프트에도 이변없이 1순위로 지명된 쿼터백 [[베이커 메이필드]]에 이어 전체 2순위로 뉴욕 자이언츠에 입단했다. 그리고 입단하자마자 엄청난 러닝을 보여주며 자이언츠의 소년가장(...)으로 등극했다. [[일라이 매닝]]의 심각한 노쇠화 때문에 가장 확실한 타겟맨인 [[오델 베컴 주니어]]에게 롱패스를 던질 능력을 상실하면서 바클리의 러싱이나 숏야드 스크린패스의 의존하는 성향이 강해졌기 때문. 결국 2018시즌 그 허접하다는 [[뉴욕 자이언츠]] 오라인 아래에서도 1307야드를 기록하며 프로볼과 오펜시브 루키 오브 더 이어에 뽑혔다. 2019년 자이언츠가 앞으로도 한동안 일라이 매닝 체제를 유지하기로 선언하면서[* 2019 드래프트에서도 즉전감 쿼터백인 [[드웨인 해스킨스]]가 아닌 육성해야할 쿼터백 자원인 [[대니얼 존스]]를 뽑았다. ] 자이언츠는 작년처럼 러싱 의존도가 높을 전망. 설상가상으로 [[오델 베컴 주니어]]마저 [[클리블랜드 브라운스]]로 트레이드 되면서, 바클리는 더 갈려나갈 예정이다(...) 그리고 예상보다 빨리 일라이 매닝의 시대는 끝났지만, 후배 대니얼 존스 역시 세이콴의 다양한 공격능력에 의존하고 있다. 2020시즌에는 2주차 시카고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전방[[십자인대]] 파열로 후송되었다. 2020시즌은 그렇게 통째로 날릴 듯하고 오펜스 최고 선수를 잃은 자이언츠의 시즌 전망은 급격히 어두워졌다. 뉴욕 풋볼 두 팀 합쳐서 '팬들이 경기를 볼 만한 이유를 제공하는 유일한 선수'라고까지 불리던 바클리였기 때문에 뉴욕의 멸망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자말 아담스도 제츠에게 질려서 시애틀로 가버려서 이제 없다.] 그러나, 이 시즌 자이언츠는 6승 10패에도 불구하고 막장 지구 덕에 마지막 경기까지 포스트시즌 가능성이 남아 있었다. 그러나 결국은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2021시즌에는 5주차에 부상으로 아웃되었다. 그러나 부상으로 돌아왔음에도 13경기에 고작 500야드 러싱을 만들어내며 크게 부진했다. 2022시즌에는 1주차 테네시전에서 오랫만에 호쾌한 러닝을 보여주면서 자이언츠팬들을 웃게 했다. 이외에도 자이언츠 공격의 핵심 역할을 하면서 완전히 부활했다. 팀도 무려 6년만에 포스트시즌 진출을 확정지었다. 2023년 프리시즌을 앞두고 재계약에 문제가 있었다. 바클리는 본인이 여러가지 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구단은 생각이 달랐던 모양 , 그래서 빅사인 없이는 프리시즌에 합류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등 강짜를 부렸다. 바클리 없으면 자이언츠의 공격이 망가진다면서 옹호하는 팬들도 많았지만 재계약이 연봉 1100만 달러에 1년계약으로 끝나자 구단에 개긴 값치고는 적다는 말이 나왔다. 곧이어 2020년 드래프트 1라운더인 OT [[앤드류 토머스]]와 자이언츠의 5년에 1억1700만 달러 빅사이닝이 이루어지며 바클리를 바보취급하는 분위기로 완전히 넘어왔다. 바클리는 " 정규시즌 보이콧까지 해서 팀이 시즌을 망치는 걸 본다면 팀이 연봉을 15M까지 올려줄 수 있을것이라고도 생각해봤지만 그것은 동료들에게 나쁜 일이기 때문에 그만두었다 " 라는 인터뷰를 했고 " 러닝백의 팀 기여도에 비해 러닝백의 가치는 평가절하되고있다 " 라고 힘주어 말했다. 2023시즌은 [[대런 월러]]와 함께 자이언츠의 에이스로 활약하고 있다. 월러가 부상으로 빠졌기 때문에 바클리의 역할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 기타 == * 2018년 4월 24일 아빠가 됐다, 성별은 여자아이이고, 이름은 제이다 클레어 바클리. == 연도별 기록 == ||<|2> '''{{{#ffffff 시즌}}}''' ||<|2> '''{{{#ffffff 소속팀}}}''' ||<|2> '''{{{#ffffff 출장[br]경기}}}''' ||<-6> '''{{{#ffffff 리시빙}}}''' ||<-4> '''{{{#ffffff 러싱}}}''' ||<-2> '''{{{#ffffff 펌블}}}''' || || '''{{{#ffffff 타겟}}}''' || '''{{{#ffffff 리셉션}}}''' || '''{{{#ffffff 성공률}}}''' || '''{{{#ffffff 리시빙[br]야드}}}''' || '''{{{#ffffff 평균[br]야드}}}''' || '''{{{#ffffff 터치[br]다운}}}''' || '''{{{#ffffff 시도}}}''' || '''{{{#ffffff 야드}}}''' || '''{{{#ffffff 평균[br]야드}}}''' || '''{{{#ffffff 터치[br]다운}}}''' || '''{{{#ffffff 펌블}}}''' || '''{{{#ffffff 리커[br]버리}}}''' || || 2018 ||<|5> [[뉴욕 자이언츠|NYG]] || '''16''' || 121 || 91 || 75.2 || 721 || 7.9 || 4 || 261 || 1307 || 5 || 11 || - || - || || 2019 || 13 || 73 || 52 || 71.2 || 438 || 8.4 || 2 || 217 || 1003 || 4.6 || 6 || 1 || 2 || || 2020 || 2 || 9 || 6 || 66.7 || 60 || 10 || 0 || 19 || 34 || 1.8 || 0 || - || - || || 2021 || 13 || 57 || 41 || 71.9 || 263 || 6.4 || 2 || 162 || 593 || 3.7 || 2 || 2 || 0 || || 2022 || 16 || 76 || 57 || 75 || 338 || 5.9 || 0 || 295 || 1312 || 4.4 || 10 || 1 || - || ||<-2> [[NFL]] 통산 [br] (5시즌) || 60 || 336 || 247 || 73.5 || 1820 || 7.4 || 8 || 954 || 4249 || 4.5 || 29 || 4 || 2 || [[분류:미식축구 선수]][[분류:1997년 출생]][[분류:브롱스 출신 인물]][[분류:뉴욕 자이언츠/현역]][[분류: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