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은행)] [[파일:세븐은행 로고.svg]] セブン銀行(Seven Bank, Ltd.) [[http://www.sevenbank.co.jp/|공식홈페이지]]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유통 기업인 [[세븐&아이 홀딩스]]가 만든 [[은행]]. 분류상 '새로운 형태의 은행'에 들어가며 이 중 '유통계 은행'으로 분류된다. 유통계 은행에는 이외에도 [[로손]]은행, [[AEON]] 은행이 있다. 해외송금서비스 계약을 한 후 [[인터넷뱅킹]]이나 모바일 뱅킹,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 웨스턴유니온을 통해 [[해외송금]]을 할 수 있다. ==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 > [[일본]]의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CD(동음이의어)#s-2.1|CD]]에서 자신의 [[현금카드]], [[신용카드]], [[체크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고 생각하십니까? 세븐일레븐 점포에 설치되어 있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 아침이든 밤이든 일본 엔화를 인출할 수 있습니다. ATM은 일본 전국의 27,000대 이상. '''[[일본]]에 오실 때 이용해 주세요.''' >2018년 9월 1일 기준 해외발행 카드 출금수수료 >비자카드: '''108엔'''[* 2만엔 이상은 '''216엔'''] >마스터카드: '''무료''' >JCB: '''무료''' >유니온페이: '''110엔''' >아멕스: '''105엔''' >디스커버: >다이너스: [[http://www.sevenbank.co.jp/intlcard/|ATM 서비스(일본어)]] [[http://www.sevenbank.co.jp/intlcard/index3.html|ATM 서비스(한국어)]] [[파일:external/i60.tinypic.com/nbx0f6.jpg|width=480]] [[2013년]] [[3월 21일]] [[도쿄역]]에서 촬영. 본 은행의 진짜 가치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 있다. 모든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이 글로벌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이기 때문이다. [[비자카드]], [[마스터카드]], [[JCB]], 플러스, 시러스, [[UnionPay|은련]] 등 [[유쵸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과 마찬가지로 해외에서 발행된 카드로 [[현금서비스]] 및 현금 인출이 가능하다. 게다가 [[일본]] 현지에서 해외 계좌 잔액 조회도 가능하다. 현지에서 얼마나 썼을 때 알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다만 잔액은 [[일본 엔]]화 환율 적용으로 나오니 참고. 주로 [[세븐일레븐]]이나 이토요가도 같은 세븐&아이홀딩스의 자회사 관련 점포에 설치되어 있고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코너는 유동 인구가 많은 곳에 설치되어 있다. [[세븐일레븐]]의 [[일본]] 내 점포 수(1만 개 이상)을 생각한다면 꽤나 자주 접할 수 있다. 그만큼 현금이 필요할 때의 접근성은 매우 높다. 세븐은행 홈페이지에 공개된 정보에 의하면 [[2018년]] [[8월 14일]]의 세븐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은 24,565대. [* 2015년 12월 21일에는 22,014대였다.] 세븐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 '''마스터카드'''로 현금인출 및 현금 서비스 이용시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이용 수수료는 발생하지 않고[* 비자카드의 경우 상술한 대로 기본 108엔의 ATM 이용 수수료가 붙는다.], 카드를 발행한 금융기관이 정한 수수료만 발생한다. 게다가 해외이용수수료 및 국제 브랜드 수수료가 면제되는 [[하나카드]]의 VIVA G, X, 트래블로그 체크카드 등을 이용할 시 '''수수료 없이 인출이 가능하다!!'''[* 해외이용 수수료가 부과되는 카드는 어차피 어디서 인출해도 수수료가 거의 비슷비슷하다. 오히려 세븐은행에서는 현지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수수료가 없기 때문에 좀 더 유리한 편.][* 예를 들어 [[KEB하나은행]] VISA/PLUS 제휴 카드로 세븐은행에서 인출할 경우 인출 수수료 3USD(200USD 이하)/3.25USD(200~500USD 이하)/3.5USD(500USD 초과)+네트워크 수수료 1%가 부과되는데 앞서 말한 조건(1USD=1,100원, 500USD 상당 엔화 인출)으로 계산해 보면 3,575+5,500='''9,075원'''이 나온다. ][* [[신한카드]]의 경우는 2USD에 1% 네트워크 수수료가 부과된다. 위의 조건을 대입해서 계산하면 2,200+5,500='''7,700원'''이 나온다. ] [[파일:external/i60.tinypic.com/ve9glw.jpg]] [[김포국제공항]]에서도 세븐은행의 광고를 하고 있었으나 2021년 5월 27일 기준으로 빠졌다. [[파일:attachment/세븐은행/7bank01.jpg]] [[신주쿠구]]에 있는 세븐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코너 [[파일:attachment/세븐은행/7bank02.jpg]] 취급하는 금융 기관 목록. 자세히 보면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신한은행]]의 [[일본]] 법인인 [[SBJ은행]]이다.]의 로고가 보인다. [[2013년]] [[4월 19일]]부터 [[2014년]] [[1월 9일]]까지 [[마스터카드]] 관련(MasterCard・Maestro・Cirrus) 브랜드의 카드는 [[마스터카드]]와의 수수료 문제로 인해 세븐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 사용할 수 없었다. 이후 [[마스터카드]]와의 협의를 거쳐 [[2014년]] [[1월 10일]]부터 세븐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 다시 [[마스터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http://www.sevenbank.co.jp/corp/news/2013/pdf/2013121601.pdf|세븐은행 공지(pdf파일)]] 현금인출시 1회 10만엔의 금액 제한이 있다. 다만 예전에는 [[은련]] 브랜드는 20만엔까지 인출이 가능하다고 했으나 2018년 기준 카드 브랜드 상관없이 전부 10만엔으로 제한되어 있다가 2020년 현재는 3~5만엔 으로 제한이 변경되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9b64dCdDUjE|그 사유는 일본정부에서 언급한적은 없지만 카드복제 사건 때문으로 보인다.]]] UI의 애니메이션과 특유의 사운드가 유명하다. 2022년 7월 1일부터 비자카드/마스터카드 대상으로 [[자국 통화 결제|DCC]]를 적용하기 시작했다.[[https://www.sevenbank.co.jp/corp/news/2022/pdf/2022070701.pdf|#]] 해외카드로 ATM 출금시 JPY/자국통화 중 어느 쪽을 적용해서 출금할건지 물어본다. 이때는 가볍게 JPY를 눌러주자. === 전자 화폐 충전 === 원래 ATM에서 그룹사에서 주로 쓰는 전자 화폐인 나나코의 충전 및 잔고 조회만 가능했는데 2018년 10월 15일부터 [[Suica]], [[PASMO]] 등의 [[교통카드]]와 라쿠텐 [[Edy]]도 충전이 가능하게 개선되었다. [[http://www.itmedia.co.jp/news/articles/1809/13/news121.html|セブン銀行ATMで「Suica」や「PASMO」のチャージ可能に]] === 간편 결제 서비스 충전 === 페이페이 등의 충전도 가능하다. == 여담 == 행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주로 [[세븐일레븐]]에 설치되어 있고 글로벌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이라는 점에서 [[롯데ATM]]과 포지션이 비슷한데, [[대한민국]]에서 [[세븐일레븐]]을 운영하는 기업이 [[롯데그룹]] 산하의 코리아세븐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롯데그룹]] 쪽에서 [[대한민국]]의 [[금산분리]] 정책 때문에 직접 은행업을 영위할 수 없으니 세븐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의 운영 방식만 벤치마킹했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은행법 16조의2,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24조] 현재 [[세븐일레븐]]에 깔려 있는 [[롯데ATM]]에서는 [[부산은행]], [[경남은행]], [[한국씨티은행]], [[국민은행]]이 제휴되어 있다. [[신한은행]]은 [[롯데쇼핑|롯데백화점]](영플라자 포함), [[롯데마트]]에 설치된 기기에 한해서만 제휴되어 있다. 참고 문서: [[편의점 ATM]] [[분류:세븐&아이 홀딩스]][[분류:일본의 은행]][[분류:2001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