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텔란티스)] [[파일:external/www.leblogauto.com/PSA-SevelNord.jpg]] [[파일:external/www.leblogauto.com/060511_FVC_Sevel01_1024.jpg]] [목차] '''SEVEL Nord / Sud''' == 개요 == [[이탈리아]]의 [[피아트]]와 [[프랑스]]의 [[푸조]]-[[시트로엥]] 그룹이 1978년에 설립한 합작회사. 이름의 유래는 프랑스어로 "European Light Vehicle Company"를 뜻하는 "Société Européenne de Véhicules Légers"의 줄임말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Sevel|참고 자료]]) 현재 [[스텔란티스]]에 속해있다. == 상세 == 1978년에 세벨 수드가 이탈리아의 아테사 발 디 상그로(Atessa Val Di Sangro)에 설립되었으며, 피아트와 푸조-시트로엥이 1:1로 합작 설립했다. 1981년부터 [[피아트 두카토]]를 기반으로 하는 상용차를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이때는 각 회사 내의 [[란치아]], [[탈보]], [[알파 로메오]] 등에서도 여기에 기여했다. 이어 1993년에는 프랑스 [[발랑시엔]](Valenciennes)에 세벨 노르드가 설립되었다. 피아트와 푸조-시트로엥에서는 지금까지도 세벨을 같이 운영하고 있으며, 세벨 노르드는 피아트에서 2012년에 지분을 내 주면서 2013년부터 [[토요타]]와 푸조, 시트로엥이 차를 만들어 판매하는 중이다. 세벨 수드는 2019년까지 계약 관계를 유지했다. 2021년부터는 [[피아트 크라이슬러 오토모빌스|FCA]]와 [[PSA 그룹|PSA]]가 서로 합병되면서 [[스텔란티스]]가 탄생함에 따라 세벨도 스텔란티스의 자회사가 되었다. 세벨 수드는 매년 34만 4천대를 만들 수 있는 120만 제곱미터 규모의 공장에 6300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고, 매년 25만대 안팎의 차를 생산하고 있다. 세벨 노르드에서는 매년 20만대를 생산할 수 있으며, 2400명을 고용한 상태에서 2011년에는 푸조-시트로엥 차량 7만 4천대와 피아트 차량 2만대를 만들었다. 해외 지부로는 '세벨 우루과이'와 '세벨 아르헨티나'[* 제46대 아르헨티나 전직 대통령[[ 마우리시오 마크리]]의 아버지 '프란시스코 마크리'의 소유] 가 존재했고, 1992년과 1999년까지 존속하는 동안 승용차도 같이 생산했다. 터키의 토파쉬(Tofaş)에서도 세벨에서 개발한 차들을 생산하고 있다. == 생산 차종 == [include(틀:세벨 유로밴)] 세벨 수드에서는 피아트 두카도와 형제차들을 만들고 있다. 세벨 노르드에서는 유로밴 라인과 3세대 미니밴, 피아트 스쿠도 기반 차들을 만들어왔으며, 토파쉬에서는 피아트 피오리노 기반의 차를 생산하고 있다. * [[피아트 두카토]] - --[[푸조 J5]]--/[[푸조 복서|복서]], --[[시트로엥 C25]]--/[[시트로엥 점퍼|점퍼/릴레이]], [[램 프로마스터]], --[[알파 로메오 AR6]]--, --[[탈보 익스프레스]]-- , [[오펠 모바노]](2021~), 토요타 프로에이스 맥스(2023~) * --피아트 스쿠도-- - 푸조 엑스퍼트, 시트로엥 점피/디스패치, 토요타 프로에이스 * [[세벨 유로밴|유로밴]] 미니밴 1~2세대 - --[[피아트 울리세]]--, --[[란치아 제타]]/[[란치아 페드라|페드라]]--, --[[푸조 806]]/[[푸조 807|807]]--, --[[시트로엥 이베이전|시트로엥 이베이전/시너지]]/[[시트로엥 C8|C8]]--[* 이 유로밴 라인은 [[아시아자동차]] 및 [[기아]]가 수입 판매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 3세대 미니밴 - [[푸조 트래블러]], [[시트로엥 스페이스투어러]], 토요타 프로에이스 베르소, [[오펠 자피라 라이프]], [[피아트 울리세]] * 피아트 피오리노/피오리노 큐보 - [[푸조 비퍼]], 시트로엥 네모 [[분류:스텔란티스]][[분류:1978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