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집트의 신)]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14e 0%, #008d62 20%, #008d62 80%, #00714e);" '''{{{#fff,#fff 범람의 신}}}[br]{{{#fff,#fff {{{+1 세베크}}}[br]Sebe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00px-Sobek.svg.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14e 0%, #008d62 20%, #008d62 80%, #00714e);" '''{{{+3 {{{#fff,#fff 나일강의 범람, 공포, 악어, 치유의 신}}}}}}'''}}} || || {{{#fff,#fff '''관장 영역'''}}} ||[[나일강]], [[범람]], 풍요, [[권력]], [[공포]], [[치유]] || || {{{#fff,#fff '''상징'''}}} ||악어 || || {{{#fff,#fff '''숭배 중심'''}}} ||[[콤옴보]], [[파이윰]]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bek_komombo.jpg|width=100%]] }}} || 세베크(Sebek) 또는 소베크(Sobek)[* [[그리스어]]로는 수코스로 불리며, 이는 라틴어로 악어를 뜻하는 수쿠스의 어원이 되어 훗날 [[데이노수쿠스]], [[사르코수쿠스]] 등 수많은 악어상목 생물들의 학명의 유래가 되었다. 이외에도 소케트, 소보크, 소보키, 스코노파이 등 다양하게 불리웠으며 이집트어의 후신인 [[콥트어]]로는 수크, 수키라 불리운다.]는 나일강의 범람을 관장하는 신이자 풍요, 권력, 군사의 신이며 [[악어]]가 신격화된 이집트 신이자 파이윰 [[오아시스]]의 왕으로, [[나일강]]에 의존하던 이집트에서 [[악어]]를 매우 두려워하던 것에서 기인하였다. 초기 이집트 문명에서 악어의 위험을 강조하듯 세베크에 대한 평가를 보면 악어의 형상을 한 힘의 군주이자 고통을 먹는 악신이라는 문장이 석관에 새겨져 있었고 일부 지역에서 악어들을 죽였을 정도로 세베크를 무서워했지만 [[이집트 중왕국]] 시기에 세베크 신앙이 확장됨에 따라 세베크는 점차 자비로운 수호신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 상세 == 세베크는 [[악어]], 또는 지팡이와 [[앙크]]를 들고 있는 [[악어]]의 머리를 한 남자로 묘사되었으며[* 혹은 악어 미이라라도 묘사된다.], 강력한 공포의 신이었다. 일부 이집트 창조 신화에서는 세베크가 [[세계]]를 [[창조]]하는 혼돈의 물에서 처음으로 나온 조화의 신으로 묘사된다. 때때로는 [[세트(이집트 신화)|세트]]의 아들, [[크눔]]과 [[네이트(이집트 신화)|네이트]]의 아들이라는 전승이 있다. 악어가 신격화되기 때문인지 [[나일강]]에서 일을 하거나 여행을 하는 이집트인들은 악어의 신 세베크에게 기도하여, 나일강에 서식하는 [[악어]]들에게 공격받지 않도록 그가 자신을 보호해주기를 소망하였다. 나일강의 범람을 다스려 농사를 도와주는데 나일강은 정기적으로 범람해서 농토의 지력을 회복시켜줘[* 강 밑에 침전된 무기염류와 질소가 나일강의 범람으로 농토 속으로 스며들어가기 때문.] 이는 곧 나일강의 범람이 풍년의 여부를 결정하기에 고대 이집트인에게 세베크가 중요한 신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치유와 다산을 상징하기도 했는데 [[오시리스]] 신화에 세트가 오시리스를 살해한 후 오시리스의 토막낸 시신을 나일강에 던졌을 때 [[이시스]]와 [[네프티스]], [[아누비스]]를 도와 시신 조각을 찾아주고 오시리스를 치유시켰으며, 이시스가 호루스를 잉태해 세트의 눈을 피할 때 이시스를 도와줬다는 전승이 있어 세베크를 오시리스의 치유자라고 불렀다. 다산의 경우 세베크의 아내가 맡는 역할인데 지역이나 시대에 따라 타웨레트([[하마]]의 모습을 한 분만과 다산의 여신), 헤케트([[개구리]]의 머리를 한 출산의 여신), 레네누테트([[코브라]]의 머리를 한 양육과 수확의 여신), [[하토르]] 등 아내가 되는 여신이 제각각 달라서 불명확하지만 아내와 함께 다산의 신으로도 숭배받는 건 확실하다. 콤옴보에서 파라오를 상징하는 [[호루스]]와 함께 주신으로 섬겨졌고 파이윰에서는 아예 중왕국 시기에 호루스와 결합해 세베크-호루스로 추양받게 된다. 신왕국 시기에 [[라(이집트 신화)|라]] 신앙이 창조신이자 최고신으로 영향력이 커지자 세베크-호루스 신앙도 세베크-라 신앙으로 대체되어 세베크도 창조신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아문]]의 이름을 따와서 [[암모나이트]]라는 학명이 지어진 것처럼 세베크의 이름을 따와 학명을 지은 사례가 있는데 6600만년~1100만년 전 [[팔레오세]]에서 [[마이오세]] 중기까지 살았던 [[남아메리카]]의 세베쿠스(''Sebecus'')라는 고대 악어라고 한다. 이들이 속한 분류군인 [[https://en.m.wikipedia.org/wiki/Sebecosuchia|세베코수키아]]는 세베크의 이름과 세베크의 그리스어화 명칭인 수코스의 합성어이기 때문에 일종의 겹말이라 볼 수 있다. == 숭배 == || [[파일:이집트 악어.jpg|width=100%]] || || [[파일:악어 미라 이집트.jpg|width=100%]] || 세베크 신앙의 중심지이던 [[콤옴보]]의 악어 박물관. 과거 이 지역에서 악어를 키우는 연못도 있었을 정도로 세베크를 숭배했다고 한다. 심지어 이 악어들은 꿀과 과자를 먹으며 호사스러운 생활을 했다고 한다. [[콤 옴보 신전]] 문서 참조. || [[파일:Head-of-a-Statue-of-the-God-Sobek-Shedeti.jpg|width=100%]] || [[아메넴헤트 3세]]는 [[파이윰]] 일대에 개수 작업을 펼치고 수로를 지었을 뿐만 아니라, 세베크를 위한 신전과 석상을 만들어 [[나일 강]]의 가뭄을 대비했다고 한다. || [[파일:sebek_Bronze figure_001.jpg|width=90%]] || || 이집트 제26왕조에 제작된 세베크 청동상. || || [[파일:서아프리카악어.jpg|width=100%]] || || 서아프리카악어 || 세베크의 원형이 된 악어의 종류는 예전에 [[나일악어]]라는 설이 유력했으나 [[헤로도투스]]의 기록에 따르면 이집트 인들은 비교적 온순한 서아프리카악어(사막악어)와 사나운 나일악어를 구분했으며, 신전 등지에서 사육되면서 숭배받던 악어가 주로 서아프리카악어였기에 세베크의 원형이 서아프리카악어라는 추측도 생겼다.[* 다만 나일악어가 서아프리카악어보다 유명하고 상위 포식자에 외형도 포스가 있는 편이라 많은 사람들이 나일악어라고 생각한다.] 제 12대 왕조의 마지막 파라오 [[소베크네페루]]부터 13대 왕조의 파라오 다수의 칭호에 들어가 있다. == 대중매체 == *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레넥톤]],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세베크 V1]]의 모티브다. * [[유희왕]]에서 [[세베크의 축복]]이라는 속공 마법카드로 등장한다. * [[마블 코믹스]]의 [[와칸다]]에서 악어교의 신으로 숭배받는다. * [[크툴루 신화]]에서 [[그레이트 올드 원]]의 일원 중 하나라고 한다. * 웹툰 [[엔네아드(웹툰)|엔네아드]]에서는 간접적으로 언급된다. 세트와 호루스의 사냥 대결을 위해 무엇을 사냥할지 신들이 회의하던 중 악어를 사냥하는 것이 어떠냐는 의견이 나오자 바스테트가 반어법으로 "세베크가 참 좋아하겠다"라고 비꼬고,[* 여담으로 이때 다른 신들도 각자 자기 상징동물을 몹시 아끼는 모습을 보인다. 따오기를 상징으로 삼는 토트는 새를 사냥하자는 말에 기겁하고, 고양이를 상징으로 삼는 바스테트는 차라리 동물 말고 인간을 사냥하자고까지 할 정도.] 세베크의 신관이라는 거대한 악어가 등장하기도 한다. * [[어쌔신 크리드 오리진]]에서 소베크의 시험이라는 퀘스트에서 거대한 소베크가 나오며 퀘스트를 완료하기 위해선 소베크와 싸워 이겨야 한다. * [[토탈 워: 로마2]]에서 [[토탈 워: 로마2/이집트|이집트]] 세력의 병종 중 '''소베크 광신도'''라는 병종이 있다. 악어가죽을 뒤집어 쓰고 투창을 든 근접보병으로 해당 병종을 쓰기 위해서 DLC를 구매할 수 밖에 없다. * [[워해머 판타지]]의 [[툼 킹]]의 석상인 [[우샤브티]] 설정에서 우샤브티를 조각할 때 네헤카라의 신들의 모습을 따 만드는데 악어머리를 한 우샤브티가 있어 세베크를 모티브로 한 신이 있음을 보여준다. * [[디스라이트]]의 에스퍼 [[데이론]]은 세베크의 신력을 가진 악어 수인이다. [[분류:이집트 신화/신]][[분류:강의 신]][[분류:풍요의 신]][[분류:공포의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