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유럽의 국가)] [include(틀:구 유고슬라비아 구성 공화국 목록)] ||<-6><:>'''{{{+1 {{{#white 세르비아 공화국[br]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br]Republika Srbija}}}}}}'''|| ||<#FFFFFF><:><-3>[[파일:세르비아 국기.png|width=100%]]||<#FFFFFF><:><-3>[[파일:세르비아 국장.png|width=100%]] || ||<-3><:><#C93E3E> '''{{{#white 국기}}}''' ||<-3><:><#C93E3E> '''{{{#white 국장}}}''' || ||<-6><:><#ffffff> {{{#C93E3E '''Само слога Србина спашава'''}}}[br]{{{#C93E3E '''Samo sloga Srbina spašava'''}}}[br]{{{#104172 '''단결이 세르비아인을 구원한다'''}}} || ||<-6><:><#C93E3E> {{{#FFFFFF '''국가 정보'''}}} || ||<-2> {{{#white '''국호'''}}} ||<-4><(>세르비아 [[공화국]][br](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 레푸블리카 스르비야) || ||<-2> {{{#white '''면적'''}}} ||<-4><(>77,474㎢[* 세르비아가 세르비아 영토의 일부로 주장, 간주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독립한 상태인 [[코소보]](10,908㎢)를 포함하면 88,361㎢로 남한 면적에서 [[전라남도]]만큼을 제외한 크기가 된다.] || ||<-2> [[인구|{{{#white '''인구'''}}}]] ||<-4><(>6,964,272명 ([[2019년]], 코소보 제외) || ||<-2> {{{#white '''수도'''}}} ||<-4><(>[[베오그라드]] || ||<-2> {{{#white '''시간대'''}}} ||<-4><(>UTC +1([[서머타임]] 시행) || ||<-2> {{{#white '''정치체제'''}}} ||<-4><(>[[의원 내각제]] || ||<-2> [[대통령|{{{#white '''대통령'''}}}]] ||<-4><(>[[알렉산다르 부치치]] || ||<-2> [[총리|{{{#white '''총리'''}}}]] ||<-4><(>아나 브르나비치[* 세르비아 첫 여성 총리이자 [[레즈비언]]이다.] || ||<-2> {{{#white '''명목'''}}} [[GDP|{{{#white '''GDP'''}}}]] ||<-4><(>480억 달러([[2018년]]) || ||<-2> '''[[GDP(PPP)|{{{#white GDP(PPP)}}}]]''' ||<-4><(>1130억 달러([[2018년]]) || ||<-2> '''{{{#white 1인당}}}''' '''[[GDP|{{{#white GDP}}}]][br]{{{#white (명목)}}}''' ||<-4><(>6,815[[미국 달러|달러]] ([[2018년]]) || ||<-2> '''{{{#white 1인당}}}''' '''[[GDP|{{{#white GDP}}}]][br][[PPP|{{{#white (PPP)}}}]]''' ||<-4><(>16,090[[미국 달러|달러]] ([[2018년]]) || ||<-2> [[공용어|{{{#white '''공용어'''}}}]] ||<-4><(>[[세르비아어]] || ||<-2> [[국가(노래)|{{{#white '''국가'''}}}]] ||<-4><(>정의의 하느님 ([[세르비아어]]: Боже правде) || ||<-2> {{{#white '''종교'''}}} ||<-4><(>[[정교회]] 84.5%, [[가톨릭]] 5%, [br] [[이슬람]] 3%, [[개신교]] 1% 등(2011) || ||<-2> {{{#white '''민족'''}}} ||<-4><(>[[세르비아인]] 83%, [[헝가리인]] 4%, [br] [[집시]] 2%, [[보슈냐크인]] 2% 등 || ||<-2> {{{#white '''화폐단위'''}}} ||<-4><(>[[세르비아 디나르]] (RSD) || ||<#C93E3E><:><-6> {{{#white '''언어별 명칭'''}}} || ||<-4> {{{#white 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br]Republika Srbija}}} ||<-2><(>[[세르보크로아트어]] || ||<-4> {{{#white Republic of Serbia}}} ||<-2><(>[[영어]] || ||<-4> {{{#white Republica Serbia}}} ||<-2><(>[[루마니아어]] || ||<-4> {{{#white Republika e Serbisë, Serbia}}} ||<-2><(>[[알바니아어]] || ||<-4> {{{#white Republika Srbija}}} ||<-2><(>[[슬로베니아어]] || ||<-4> {{{#white 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 ||<-2><(>[[마케도니아어]] || ||<-4> {{{#white Република Сърбия}}} ||<-2><(>[[불가리아어]] || ||<-4> {{{#white Δημοκρατία της Σερβίας}}} ||<-2><(>[[그리스어]] || ||<-4> {{{#white Repubblica di Serbia, Serbia}}} ||<-2><(>[[이탈리아어]] || ||<-4> {{{#white Szerb Köztársaság, Szerbia}}} ||<-2><(>[[헝가리어]] || ||<-4> {{{#white Republik Serbien, Serbien}}} ||<-2><(>[[독일어]] || ||<-4> {{{#white Республика Сербия, Сербия}}} ||<-2><(>[[러시아어]] || ||<-4> {{{#white Sırbistan Cumhuriyeti}}} ||<-2><(>[[터키어]] || [목차] ||
<#C93E3E><:><-2> '''{{{#white 위치}}}''' || ||<#FFFFFF> [Include(틀:지도,장소=세르비아,너비=100%,높이=230)] || == 개요 == [[유럽]] 남동부 [[발칸반도]]에 위치한 남[[슬라브]]계 민족 국가. 수도는 [[베오그라드]](Beograd). 영어로는 벨그레이드(Belgrade)라고도 한다. 영토의 대부분이 [[남유럽]]으로 분류되지만 북부 [[보이보디나 자치주]]는 [[중앙유럽]]으로도 간주된다. [[코소보]]는 세르비아에서는 [[코소보 및 메토히야 자치주]]로 간주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독립, 세르비아 정부에서는 코소보의 독립을 인정치 않는 상태로, 코소보가 세르비아의 일부인지 독립국인지는 세계 각국이 각자 다르게 파악하고 있는 대표적인 [[미승인국]]이다. == 상징 == === 국호 === 세르비아라는 이름은 현지어 발음은 스르비야 정도 되며, 주 민족인 [[세르비아인]](Serbs)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세르브(serb)에 대한 어원은 아직도 불분명하다. 로마인, 슬라브인, 그리스인이 모두 비슷한 시기에 이 지역을 세르브(serb) 비슷한 이름으로 칭했기에 어원을 알기가 힘들다. === 국기 === 국장 빼면 러시아 국기를 상하반전한 것과 같은데 이렇게 된 건 빨강, 파랑, 하양이 [[슬라브]]족의 상징색으로써 슬라브 전역에서 통용되었기 때문이고, [[범슬라브주의]]의 영향이기도 하다. 또한 블라디슬라프 왕(1233-1343년 재위)이 빨강, 파랑 배열의 깃발을 쓴 것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기도 하다. 현대의 적-청-백 색깔 배열은 근대에 나타난 것이다. 그 전에는 시대별로 다양한 디자인의 깃발을 썼다. 이후, 세르비아의 적-청-백 깃발은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다만 시대 별로 문양이나 깃발 디자인에 사용된 색깔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세르비아 공국 시절에는 단순히 적-청-백 깃발이 사용되었고, 세르비아 왕국 때에는 세르비아 왕실 문양에 휘장이 합쳐진 형태인 문양이 가운데에 놓였다. 시간이 흘러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적-청-백 깃발 한 가운데에 단순히 [[붉은 별]]만 박았다.[* 이는 당시 유고슬라비아 연방 깃발, 크로아티아의 깃발, 슬로베니아의 깃발과 동일한 특징이다. 전부 색깔 순서 배치만 다를 뿐, 청-백-적 가로 줄무늬를 긋고 가운데에다 붉은 별을 둔 다음, 그 색깔 배치 순서에만 차이를 둔 형태이다.] 이 때에는 몬테네그로도 세르비아와 같은 깃발을 썼다. 그러다 유고 연방이 무너지자 세르비아는 2004년까지 공국 시절처럼 단순히 적-청-백 가로 줄무늬만 들어간 깃발을 썼다.[* 현재 보스니아 내의 스르프스카 공화국 깃발을 보면 된다.] 그리고 2004년에 깃발에 다시 세르비아 민족 상징을 집어 놓았다. 2010년에 현재 깃발이 제정되었는데, 전체적으로는 2004년 것과 큰 차이는 없으나 붉은색, 파랑색 채도를 바꾸어 예전에 비해 깃발이 좀 어두워 보인다. 국장이 공화국치고는 특이한 편인데 원래 왕관이 있는 형식의 국장들은 주로 서양 왕국의 국장에서나 쓰이는 형식이다. 자신들이 옛날 [[세르비아 왕국]]을 계승한다는 명목으로 비슷하게 한 거겠지만. 세르비아의 이웃나라들인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2/24/Coat_of_arms_of_Bulgaria.svg|불가리아]],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2/23/Coat_of_arms_of_Montenegro.svg|몬테네그로]],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4/Coat_of_arms_of_Hungary.svg/360px-Coat_of_arms_of_Hungary.svg.png|헝가리]]도 공화국이면서도 왕관이 있는 국장을 사용하고 있다. 실제로 이들 나라들도 19세기에서 20세기 초반기에 군주국이기도 했고... === 국가 === [include(틀:국가(노래))] "[[정의]]의 [[하느님]](Боже правде, Bože pravde)"은 [[1872년]]에 요반 조르제비치(Јован Ђорђевић)가 작사하였고 다보린 옌코(Даворин Јенко)가 작곡하였다. 세르비아-몬테네그로 해체이후인 [[2006년]] [[11월 8일]]에 세르비아 공화국의 국가로 다시 채택되었다. [youtube(30pTjCsJuwk)] 위 동영상은 [[세르비아 왕국]] 시절에 쓰인 음원이다. 4절까지 있다. [youtube(9sL2w0GU0Ho)] 위 동영상이 현재 쓰이는 음원으로, 1절만 부른다. 이 동영상에는 음원이 한 키 내려가 있다. [youtube(4jDXGNiUCb0)] [youtube(hD680OfgEig)] [youtube(CtpMPUykI8k)] ==== 가사 ==== ||키릴 문자||라틴 문자||한국어 해석|| ||Боже правде, ти што спасе||Bože pravde, ti što spase||정의의 하느님, 지금까지 우리를|| ||од пропасти досад нас,||od propasti dosad nas,||파멸에서 구해주신 당신이여,|| ||чуј и од сад наше гласе||čuj i odsad naše glase||변함없이 우리의 목소리를 들어주시고,|| ||и од сад нам буди спас.||i od sad nam budi spas||우리의 구세주가 되어 주소서.|| ||Моћном руком води, брани||Moćnom rukom vodi, brani||전능하신 손길로 이끌어주시고, 지켜주소서,|| ||будућности српске брод,||budućnosti srpske brod,||세르비아 민족의 미래를|| ||Боже спаси, Боже xрани,||Bože spasi, Bože hrani,||하느님 지켜주소서, 하느님 구원하소서,|| ||српске земље, српски род!||srpske zemlje, srpski rod!||세르비아의 땅과, 세르비아의 민족을!|| ||Боже спаси, Боже xрани,||Bože spasi, Bože hrani,||하느님 지켜주소서, 하느님 구원하소서,|| ||моли ти се српски род!||moli ti se srpski rod!||당신께 세르비아 민족은 기도하리.|| 1절 번역이다. 더 나은 번역이 있다면 [[추가바람]]. == [[세르비아/역사|역사]] == 해당 문서 [[세르비아/역사]] 참조. == [[세르비아군|군사]] == *해당 문서: [[세르비아군]] == [[세르비아/경제|경제]] == *해당 문서: [[세르비아/경제]] == 언어 == [[세르비아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보이보디나]]에서는 [[세르비아어]]를 포함해서 [[루테니아|루신어]], [[헝가리어]] 등도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게다가 현대에 추가로 밝혀진 언어도 여러가지 있어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전에 [[코소보]]가 포함되었을 때는 [[알바니아어]]를 사용자도 많이 있었지만, [[코소보]]가 세르비아로부터 독립한 이후에는 [[알바니아인]]이 많이 줄어들었다. 현재 [[코소보]]에서는, 일부 세르비아 마을에 한해서만 [[세르비아어]]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세르비아 남부에 있는 몇몇 알바니아 마을에선 [[알바니아어]]가 사용된다. == 종교 == 대부분의 [[세르비아인]]들이 [[세르비아 정교회]]를 믿고 있다. 그리고 [[보이보디나]]에서는 [[개신교]]를 믿는 주민들이 일부 있고 세르비아 내 [[크로아티아인]]들은 [[천주교]]를 주로 믿고 있다. 세르비아 내 [[보슈냐크인]]들과 상당수의 [[알바니아인]]들은 [[이슬람교]]를 믿고 있다. == 문화 == [include(틀:총대주교좌)] 종교적으로는 [[정교회]]가 대다수이며, [[가톨릭]]과 [[이슬람]] 인구도 있다(주로 [[보스니아]]계 사람들이 믿는다). [[종교의 자유]]는 보장되고 있다. 종교인들의 인구 비율도 서유럽 국가들보다 높으며, '''[[로마 제국]] 시절부터 이어져 온 세르비아 정교회는 세르비아 민족의 정체성''' 역할을 한다. 세르비아 정교회는 [[1879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에 의해 독립을 인정받아 총대주교좌 교회로 격상되었다. 세르비아 정교회의 수장인 베오그라드 총대주교가 지닌 공식 직함은 페치의 대주교 겸 베오그라드와 카를로브치 관구장이다. 초대 주교는 성 사바(1219-1233)이며, 현재 총대주교는 이리녜(2010-)이다. 정교회 내에서 베오그라드 총대주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안티오키아]], [[예루살렘 총대주교|예루살렘]], [[모스크바]]에 이어 서열 6위이다. [[파일:external/beowiki.com/Hram-Sveti-Sava-Beograd-i-spomenik-Karadjordju-photo-by-Vlado-Marinkovi%C4%87.jpg]] 세르비아의 수도인 베오그라드에는 발칸 반도에 위치한 정교회 건축물 중 그 규모가 가장 큰 성 사바 대성당(Hram Svetog Save)이 위치하고 있다. 발칸반도에서 제일 큰 성당, 전 세계 정교회 성당 중 규모가 가장 큰 것 중 하나로 분류되는 이 건축물은 지상에서 꼭대기까지 높이가 82미터, 동서남북의 각 방향의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종탑 높이가 40미터로 이루어진 거대한 건축물로 정중앙에 위치한 돔형 지붕의 경우 무게가 400톤에 달하며 그 돔형 지붕 한가운데 위치한 금박이 입혀진 십자가의 경우 높이가 12미터, 무게가 4톤에 달한다. 금박이 입혀진 십자가의 경우 성당 외부 곳곳에 총 18개가 더 위치하고 있으며 성당의 전체 면적은 7,371 평방미터이다. . [[2019년]] 현재까지도 실내 '''[[흡연]]에 관대'''한 편. 거의 한국 사람들이 [[커피]] 마시는 수준으로 식당 안에서 담배를 핀다. 실제로, 세르비아내에서 담배 재떨이가 없는 카페와 음식점을 찾기가 힘들 정도. 일부 식당이나 카페의 경우, 금연 자리가 있지만 칸막이도 없고 한쪽 구석에 금역좌석을 밀어넣은 수준. 마치 맥도날드에서 햄버거와 콜라가 한 세트메뉴인 것 처럼, 일부 카페에서는 담배 한 개비와 커피를 하나의 세트메뉴로 팔기도 한다. 세르비아의 인접국가들인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루마니아]], [[헝가리]]와는 달리 '''[[키릴문자]]가 제1 문자'''라서 사전 정보 없이 입국한 여행자들은 당황할 수 있다. 하지만 요즘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키릴문자]]보다는 라틴문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음식 === 의외로 동유럽 국가들이 그렇듯이 먹는 음식 값이 엄청나게 싸다. 실제로 세르비아에서 체류하고 있는 한국 네티즌의 증언에 따르면 구유고 연방에 속해있던 주변국가들과 피터지게 전쟁까지 벌였고, 유고슬라비아 내전 당시 유엔 등 국제사회와 서방권의 경제 제재를 받았던 적이 있어서 물가가 비싸거나 현재 한국 물가와 대등소이할 거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이 나라에 와서 살림살이 해보니까 슈퍼마켓이나 식당에서 모두 식재료나 음식 모두 물가가 한국에 비하면 저렴했다고 한다. 특히 쇠고기와 닭고기, 돼지고기의 경우 7000원에서 5000원, 3000원 남짓이라고 증언했다. 다만 흡연에 관대한 국가답게 주방장이 담배 물고 조리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으므로 이런 점에 민감한 사람한테는 불편할 수 있다(...). 주요 요리로는 아침, 점심에 먹는 페이스트리 빵의 일종인 부렉과 다진 쇠고기와 양고기, 돼지고기를 모양을 내어서 불에 구운 육류요리인 플예스카비차, 돼지고기와 송아지고기를 치즈와 빵가루에 입혀서 기름에 달군 팬에 조리하는 육류요리 카라조르제바 슈니슬라, 콩과 소시지, 베이컨을 넣어서 끓여만든 수프 프레브라낙, 고기와 채소를 넣고 걸쭉하게 끓인 스튜의 일종인 무취칼리사가 있으며, 요리들 대부분이 육류를 식재료로 많이 사용하는지 육식 위주의 요리가 많은 편이다. 옆나라 [[불가리아]]만큼은 아니어도 치즈, 우유, 요구르트, 버터 같은 유제품도 즐겨먹으며 역사, 문화적으로 터키 요리와 슬라브 요리, 헝가리 요리의 영향을 받았다. 다만 바다가 없는 내륙국이다보니 아드리아 해를 접한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몬테네그로 같은 다른 구유고 연방 출신 국가들에 비하면 바닷물고기나 새우, 게, 조개 같은 해산물은 잘 먹지 않는 편이다. 그리고 내륙국가이다보니 해산물도 가격이 비싸거나 대도시인 수도 베오그라드나 노비 사드의 대형마트나 해산물 요리를 판매하는 식당 이외에는 보기 어렵다. 다만 내륙 하천이나 개울에서 민물고기도 잡히는데 이 때문인지 잉어나 송어 같은 민물고기를 먹는 식문화도 존재한다. 그러나 미국이나 캐나다, 스웨덴,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같은 다른 서방세계 국가들로 이민을 갔던 세르비아인 이민자들은 거리낌 없이 바닷물고기, 새우, 게, 조개, 굴, 바닷가재 등 해산물을 먹기도 하며, 바다를 맞댄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등 다른 구유고권 국가들에서 사는 세르비아인들도 세르비아의 세르비아인들과 다르게 해산물을 먹거나 요리 식재료로 쓴다. 의외로 맥주도 맛있다. 주요 맥주 브랜드로 옐렌과 라브, 자예체스코, 필스 플러스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 옐렌과 라브가 세르비아 맥주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여담으로 옐렌과 라브 모두 맥주상표가 사슴과 사자인데[* 옐렌은 사슴, 라브는 사자.] 마치 포식자인 사자와 피식자의 사슴의 먹고 먹히는 먹이사슬 대결을 보는 묘한 느낌을 준다. 옐렌, 라브 같은 라거/필스너 맥주 브랜드들 뿐만 아니라 카비네트라는 크래프트 에일 맥주 브랜드도 있다. 잘 알려지지 않아서 그렇지, 이 나라도 '''[[와인]] 생산국'''이다. 심지어 세르비아의 국민 테니스 스타인 [[노박 조코비치]]도 개인 소유의 와인 농장을 경영하여 와인을 생산, 판매할 정도. 다만 이웃 [[동유럽]] 국가들인 [[불가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와인들이 워낙 유명하여 그리 잘 알려져 있지 않을 뿐이다. 이외에도 [[라키야]](Rakija)라는 이름의 [[전통주]]가 있다. [[브랜디]]의 일종으로 [[자두]] 베이스에 [[꿀]]이 첨가된 라키야가 유명하다. 현지인들은 시중에서 유통되는 것보다 집에서 직접 제조한 라키야의 품질을 더 높게 친다. === 스포츠 === '''[[축구]]가 인기 있으며 현재도 강팀'''으로 평가되고 있다. 자세한 것은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항목 참조. 대표적으로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사샤 드라쿨리치]], [[네마냐 비디치]], [[네마냐 마티치]], [[브라니슬라브 이바노비치]], [[알렉산다르 콜라로프]]가 있다. '''[[농구]]도 세계적인 강호다.''' 과거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유럽 최강급으로 [[소련]]과 쌍벽을 이뤘다. [[유로바스켓]]도 14번 우승한 소련(러시아 시절까지 합치면 15번)에 이어 8번 우승했다. [[2001년]] 유로바스켓 대회 이후 [[유고연방]]이 무너진 뒤로 16년만인 2017년 유로바스켓 결승에 올랐다. 올림픽에서도 금메달 1개, 은메달 5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으며 70, 74, 90, 98, 2002년 [[FIBA 농구 월드컵]] 전 명칭인 세계농구권 대회 우승을 차지하며 역대 최다 우승 기록을 차지했었다. 2002 농구 세계선수권 대회같은 경우, [[드림팀]]인 미국을 제치고 우승했으며 2010 농구세계 선수권에서는 4위를 거뒀다. 비록 세르비아가 올림픽에서 예전처럼 강한 모습을 보이지는 못하지만 [[NBA]]에 선수들도 진출시키고 있다. 하지만 [[2014 FIBA 농구 월드컵 스페인]] 결승에 올라 [[미국]]에게 92-129으로 완패하며 최다 우승도 미국과 공동이 되었다. 준우승보다는 역대 2번째 최다 결승 득점차 기록([[1994년]] 캐나다 월드컵에서 미국이 [[러시아]]를 137-91로 제치고 우승한데 이어 2번째)까지 당하며 너무나도 쉽게 졌다. 2017-18시즌부터 [[밀로스 테오도시치]]가 LA 클리퍼스 주전 PG로 뛰고있는데 NBA 진출 전까지 유럽 리그에서 최고 선수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다. [[2016 리우 올림픽]]에선 바로 [[크로아티아]]랑 8강전에서 혈투를 벌여 86-83으로 겨우 이기고 4강에 올랐고 4강 상대인 [[호주]]를 크게 이기며 [[미국]]이랑 다시 맞붙게 되었다. 그리고 30점차로 대패하며 준우승. 그러나, 세르비아는 [[유고연방]] 해체 이후 세르비아 이름으로 역사상 첫 남자 [[구기종목]] 은메달을 받았다. 여자 농구 대표팀도 동메달을 받으며 남녀동반 농구 메달을 차지했다. [[배구]]도 농구 강국답게 상당한 정상급이다. 유로 남자배구 선수권 대회(Men's European Volleyball Championship)도 선전하고 있다. 유고슬라비아 시절 우승도 해봤고 2011년에 세르비아로서 처음 우승했다. 다만 3위를 8번 거두면서 동메달 최다 우승국이기도 하다. 물론, 러시아나 이탈리아 등 배구강호가 가득한 유럽에서도 동메달을 많이 받았다는 것은 그만큼 실력이 있다는 뜻. 유로 여자배구 선수권에서도 강호로 2011년에 남자랑 동반우승했고 2017년 대회를 우승하며 세르비아로서 우승 2번을 기록하고 있다. 올림픽은 유고슬라비아 시절인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에서 남자 동메달을 받은게 첫 메달이고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러시아를 제치고 금메달을 받았다. [[2016 리우 올림픽]]에서는 여자 대표팀이 첫 메달인 은메달을 받았다. 배구 월드리그에서는 2016년 처음으로 남자 우승을 거뒀다. [[테니스]] 선수 [[노박 조코비치]]도 세르비아인으로 국민 영웅 대접을 받고 있다. == 외교 관계 == === 주변국과의 관계 === 과거 유고 연방에 속해있던 이웃 나라인 [[크로아티아]], 보스니아와는 사이가 매우 좋지 않다. [[2차 대전]] 당시 세르비아인 70만명이 [[우스타샤]]와 [[한트샤르]]에 의해 학살당한 적이 있었으며, [[유고슬라비아 내전]] 당시에도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유고 연방]]으로부터 독립하려 하자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국내에서 살던 [[가해자가 된 피해자|세르비아인들은 우스타샤와 한트샤르들이 돌아왔다면서 무기를 들고 민병대를 조직해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들을 공격, 학살하였다]].[* 그런데 보스니아 내전이나 크로아티아 전쟁 등 유고 내전 당시에도 보스니아와 크로아티아 영내에서 살던 세르비아인들이 크로아티아군과 보스니아군에 의해 학살당하기도 했다. 이 때문인지 세르비아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가 유고 내전 당시 세르비아의 민간인 학살 등 전쟁범죄들을 문제 삼아 세르비아의 EU가입을 반대하면 '우리나라도 니네나라 사람들 크로아티아 부코바르랑 보스니아 스레브레니차에서 민간인 대량학살 저질렀던 일들 사죄할테니, 그 대신 너네들도 니네 나라에서 살던 세르비아인들 저때 전쟁하면서 학살하던 일들도 사과하라'고 맞서고 있는데 자세한 건 [[유럽연합]] 문서 참조.] 다만 전쟁을 치르지 않고 평화적으로 유고 연방에서 분리독립했던 다른 구유고권 국가들인 [[몬테네그로]]와 [[북마케도니아]]와는 사이가 나쁘지 않은 편이다. 2019년 11월 14일에 크로아티아는 세르비아측에 옛 유고연방 승계금 1억4천850만 달러를 받을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213424|#]] === 불가리아와의 관계 === 과거 유고슬라비아에 속해있었고 연방 해체 과정에서 전쟁을 치뤘던 코소보, 크로아티아, 보스니아만큼은 아니지만 다른 동부유럽의 주변국인 불가리아 와도 제1, 2차 세계대전과 [[발칸 전쟁]],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 등 역사적인 요인으로 인해 사이가 안 좋은 편이다. 다만 [[불가리아]]의 경우 세르비아로서는 역사적으로 전쟁하며 싸워온 것과 별도로 유고 연방 해체 이후에 바다가 없는 내륙국이 되어버리면서 바다를 접한 불가리아에게 바르나, 부르가스 같은 흑해의 무역항들을 빌려쓰며 경제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라 그나마 바닷길이라도 열어주는 불가리아를 대놓고 배척하면 [[바다]]로 나갈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안 좋은 감정은 있어도 불가리아와 사이 좋게 지내려 하고 있다. 그리고 바다 문제뿐만 아니라 세르비아로서는 유고 연방 해체를 놓고 싸워온지 20~30년도 채 되지 않았고 유고 내전,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학살과 전쟁범죄 문제, 종교 문제 등으로 적대감이 매우 극심한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 구유고권 나라들과 달리 불가리아와 전쟁하며 싸운 시기도 100년전의 일이고, 종교적으로 두 나라 모두 [[동방 정교]]권에 역사적으로는 몰라도 현재로선 우호적으로 지내는 것이 [[이익]]이 되기 때문에[* 불가리아도 발칸반도 중심부에 위치한 세르비아의 육로를 통해 중부유럽으로 가서 물류 수출을 해야하기에 세르비아가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세르비아의 지정학적 위치 때문인지 세르비아의 EU 가입을 가장 지지하는 나라이기도 하다.]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관계와는 다르다. === 헝가리와의 관계 === === 루마니아와의 관계 === === 알바니아와의 관계 === === 아랍국가 및 [[이란]] === 보스니아 및 [[코소보]]의 무슬림들을 학살한 탓에 사이가 좋지 않다. 그 중에 이란은 친위 부대인 이슬람 혁명 부대를 보내 [[보스니아]]를 지원한 최초의 이슬람 국가라서 사이가 안좋다. === 터키와의 관계 === [[터키]]와도 오스만의 지배때문에 좋지 않다. === 오스트리아와의 관계 === [[오스트리아]]와도 역사적으로 안 좋다. 오스트리아내에도 [[세르비아어]] 화자들이 존재해 있다. === 그리스와의 관계 === [[그리스]]도 터키와 알바니아에게 안 좋은 감정이 있어서 그런지 비교적 협력하려 한다. 그리스와는 종교에서 매우 가까운 편이다. === 러시아와의 관계 === [[불가리아]]와 함께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난 이후로 [[러시아]]와는 매우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사라예보 사건]]을 계기로 세르비아를 침공하자 러시아는 세르비아의 독립 보장을 이유로 오헝 제국에 선전포고했다. [[소련]] 시절에는 소련과 거리를 두고 비동맹 중립 노선을 걷기도 했다. 하지만 [[코소보]] 문제에서 러시아가 세르비아 쪽을 지지하고 있어서 [[불가리아]]와 함께 [[친러]] 성향을 보이고 있다.[* 단, [[불가리아]]와 세르비아는 서로 사이가 좋지 못한 편이다. 특히 불가리아는 유럽 연합과 나토에 가입하여 서방과도 관계가 좋다. 다만 세르비아는 불가리아까지 대놓고 적대국으로 돌릴 경우 바다 없는 내륙국인지라 흑해를 통해 바다로 나갈 수 없기 때문에 해양국가인 불가리아를 대놓고 자극하려고 하지 않는 편이다.] 그리고 세르비아의 한 오지 마을은 주민들이 [[블라디미르 푸틴|푸틴]]을 너무 좋아해서 마을 이름을 푸티노보라고 바꾸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07599141|#]] [[2016년]] [[12월 12일]]에 러시아는 [[나토]]의 [[크로아티아]] 지원에 대응해서 세르비아에 무기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8886553|#]] 세르비아 외무장관 다치치는 "세르비아는 절대로 반러 국가가 되지 않을 것이며, 대러 제재에도 불참"한다고 강조했다. [[2017년]] [[4월 3일]]에 [[대통령]]에 당선된 부치치 후보는 러시아와의 관계도 계속 유지하겠다고 밝혔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9159779|#]] 세르비아는 코소보와 갈등이 심각해지자 [[2018년]] [[3월 28일]]에 러시아에 도움을 요청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08514217|#]] 세르비아에선 러시아 교육과 관련된 프레젠테이션이 진행되었다.[[https://www.russkiymir.ru/news/263585/|#(러시아어)]] 게다가 북마케도니아의 EU 가입 거절하게 되자 러시아와 밀착하려는 모습이 강화되고 있다.[[https://www.yna.co.kr/view/AKR20191025145100009?section=international/all|##]] 세르비아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을 당시에는 러시아로 건너간 사람들도 많았다. 러시아내의 [[https://en.wikipedia.org/wiki/Serbs_in_Russia|세르비아인 공동체]]는 역사적으로 오래되었고, 일부는 러시아 귀족이 되었다.[* 러시아인들 중 성이 -비치로 끝나는 이들은 세르비아계 후손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세르비아는 10월 24일에 러시아제 대공방어미사일시스템을 구입하면서 러시아와의 군사적 밀월관계를 유지하고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195075|#]] 세르비아에서는 러시아어 주간 행사가 개최되었다.[[https://russkiymir.ru/news/265856/|#(러시아어)]] 2019년 12월 4일에 방러한 세르비아의 알렉산다르 부치치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 만나 회담을 가졌고 국방협력강화에도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277&aid=0004584757|#]] === 한국과의 관계 === [[유고연방]] 공화국 시절인 [[1971년]]에 [[북한]]과 단독수교하였으나 [[1989년]]에 [[대한민국]]과도 수교했다. [[1993년]] [[유고 내전]]으로 주한 유고 대사관이 철수하여 주일 대사관으로 이관되었다가 [[2002년]]에 주한 대사관이 재설치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유고슬라비아가 완전히 해체된 이후 주한 세르비아 대사관으로 바뀌었다. 최근 발칸 및 [[동유럽]]이 신흥 시장으로 부상하면서 [[2015년]] [[12월 15일]]에 [[KOTRA]] 무역관이 새로 개설되었다. 오스트리아를 근거로 둔 영산그룹은 2019년 3월 8일에 세르비아 포자레베츠 시에서 세르비아측과 산업 및 의료 폐기물 처리시설 건설을 위한 투자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0694935|#]] 여담으로 현재 한국의 맥주 기업인 [[하이트진로]]의 맥주/발포주 브랜드인 테라와 필라이트에 들어가는 [[전분]]들이 모두 이 나라에서 수입되고 있다. 문희상 국회의장은 2019년 10월 15일에 세르비아를 방문해 알렉산다르 부디치 대통령을 만났고 한국 기업의 현지 투자 확대 등 양국간의 협력증진에 대해 논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145540|#]]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세르비아에 첨단 ICT 교실 구축과 함께 우수한 교원들을 파견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217126|#]] === 일본과의 관계 === [[일본]]과는 대체로 우호적인 편이다. 그리고 일본내에 소수의 세르비아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 이탈리아와의 관계 === [[이탈리아]]와는 역사적인 이유로 관계가 있는 편이다. 그리고 이탈리아에도 [[세르비아어]][* 세르비아 본토에서 쓰이는 세르비아어와는 이질적이다.]를 쓰는 [[https://en.wikipedia.org/wiki/Serbs_in_Italy|세르비아계 이탈리아인 화자]]들이 존재해 있다. 또한, 과거에는 [[로마 제국]]의 일부였기도 했다. === 프랑스와의 관계 === [[프랑스]]와는 19세기에 독립한 뒤에 외교관계를 맺었다. 양국은 대체로 우호적인 편이고 세르비아는 [[프랑코포니]]의 참관국에 가입되어 있다. === 기타 국가 === [[친러]]와 동시에 [[친중]] 성향을 가진 나라다.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대만]]이 [[코소보]]를 독립국으로 인정하자 [[대만]] 여권 자체를 인정하지 않으며 대만인의 입국을 금지하기까지 했다. 세르비아는 [[코소보/독립 인정 국가 목록|이러한 문제]]와 다른 문제로 인해 서방 국가들과 관계가 영 좋지 않아 [[반서방]]-친러 노선을 택하고 있지만 [[천연가스 동결]]의 경우 오히려 러시아 때문에 피해를 보는 경우도 있어서 친러만 고수하기도 곤란하기 때문에 친중 성향을 같이 띠는 면이 크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추축군의 점령과 유고 내전 시기 나토군의 공습 및 코소보 독립 승인으로 인해 악감정이 있긴 하지만 미국, 이탈리아, 영국, 프랑스, 독일, 덴마크, 노르웨이, 네덜란드 등 여타 서방세계 국가들과도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세르비아가 오스만으로부터 독립 초에 먹고 살기 힘들던 시기에 많은 세르비아인들이 미국으로 이민을 가 세르비아인 이민자 사회를 형성하기도 했고, 헐리웃 미국 영화들도 흥행 수요가 높으며 피터 보그다노비치나 [[밀라 요보비치]] 같은 세르비아계 출신 미국인 영화감독과 배우도[* 다만 밀라 요보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시절 세르비아가 아닌 소련에서 세르비아인 아버지와 러시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헐리웃 영화계에서 활동하고 있다. 아예 미국 국민도 세르비아에 90일간 무비자로 입국, 체류할 수 있을 정도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프랑코포니)]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자국 혐오/비판/외국의 현실, version=1938)] [[분류:세르비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