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e5d85c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아카데미 시상식}}}]] ''' }}} || ||<-5> [[파일:oscar_logo.svg|width=80]] || ||<-5> [[아카데미 각색상|{{{#e5d85c '''각색상''' }}}]] || || '''[[제94회 아카데미 시상식|제94회]] [br] ([[2022년]]) ''' || {{{+1 → }}} || ''' [[제95회 아카데미 시상식|제95회]] [br] ([[2023년]]) ''' || {{{+1 → }}} || '''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제96회]] [br] ([[2024년]]) ''' || || 시안 헤이더[br]([[코다(영화)|코다]]) || {{{+1 → }}} || '''세라 폴리'''[br]('''[[위민 토킹]]''') || {{{+1 → }}} || || ||<-5> || ||<-5>
{{{#e5d85c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e5d85c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 || ||<-5> [[파일: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png|width=70]] || ||<-5> {{{#e5d85c '''각색상'''}}} || || '''[[제27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제27회]][br]([[2022년]])''' || {{{+1 → }}} || '''[[제28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제28회]][br]([[2023년]])''' || {{{+1 → }}} || '''[[제29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제29회]][br]([[2021년]])''' || || [[제인 캠피온]][br]([[파워 오브 도그]]) || {{{+1 → }}} || '''{{{#eb4684 세라 폴리}}}[br]{{{#eb4684 ([[위민 토킹|{{{#eb4684 위민 토킹}}}]])}}}''' || {{{+1 → }}} || || ||<-5> || ||<-2>
'''{{{+1 세라 폴리}}}[br]Sarah Polley[br]OC[* 캐나다 훈장, 오피서(Offic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750faf16c33ea496a683d227d078cd94.jpg|width=100%]]}}} || || '''본명''' ||세라 엘렌 폴리[br]Sarah Ellen Polley || ||<|2> '''출생''' ||[[1979년]] [[1월 8일]] ([age(1979-01-08)]세) || ||[[캐나다 자치령]] [[온타리오]] 주 [[토론토]]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 '''신체''' ||157cm || || '''부모''' ||친아버지 해리 걸킨[br]양아버지 마이클 폴리[br]어머니 다이앤 폴리 || || '''배우자''' ||데이빗 완스비^^(2003.09.10 결혼~2008년 이혼)^^[br]데이빗 산도미에르스키^^(2011.08.23 결혼~현재)^^ || || '''자녀''' ||3명[* 셋 다 데이빗 산도미에르스키와의 자녀들이다.] || || '''종교''' ||[[무종교]] || || '''직업''' ||[[배우]], [[가수]], [[방송인]], [[성우]], [[영화 감독]], [[작가]], [[프로듀서]] || || '''데뷔''' ||1985년 TV 시리즈 'Night Heat' || || '''링크''' ||[[https://www.rottentomatoes.com/celebrity/sarah_polley|[[파일:로튼 토마토 로고.svg|height=20]]]] [[https://www.imdb.com/name/nm0001631|[[파일:IMDb 로고.svg|height=20]]]]|| [목차] [clearfix] == 개요 == [[캐나다]]의 배우, 가수, 방송인, 성우, 영화 감독, 작가, 프로듀서. 배우 집안 출신으로 캐나다 내에서는 [[문근영]]급의 [[국민 여동생]] [[아역]]으로 유명했다. == 활동 == 6살부터 연기를 시작해 여기저기 출연하다가 라모나라는 TV 드라마의 타이틀 롤로 출연하면서 캐나다 내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캐나다 밖에서는 [[테리 길리엄]]의 《바론의 대모험》의 바론의 파트너로 출연한 걸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역들이 흔히 겪는 쇼비즈의 추악함 역시 폴리에게도 찾아왔고 어머니마저 11살에 암으로 잃는 등 꽤 힘든 청소년기를 보냈다. 사라 폴리 역시 [[마의 16세]]에 스러졌던 무수한 아역 중 하나로 전락하는 것처럼 보였으나... 왠걸 오히려 [[운동권]] 활동(!!)을 하면서 그 힘든 시기를 꿋꿋하게 버터나간데다 외모와 연기력도 훌륭하게 정변해 무사히 성인 배우로 안착하는데 성공했다. 다만 감독업 때문인지 요새 작품 출연은 뜸한 편이다. 국내에서는 《바론의 대모험》이나 [[아톰 에고이안]] 영화를 통해 소수의 인디 팬을 가지고 있는 정도였으나 ([[듀나]]가 유명하다.) [[새벽의 저주]] 리메이크 주연으로 지명도를 크게 올렸으며 《스플라이스》의 여주연으로도 지명도가 더 올랐다. 묘하게 상처입은 여자 역을 많이 맡는다. 사실 외모 자체가 굉장히 알게 모르게 슬퍼보인다. 10대 말부터 감독에 관심을 가지더니 27살에 《어웨이 프롬 허》라는 영화로 감독 데뷔. 평이 상당히 좋았으며 이후 내놓은 《[[우리도 사랑일까]]》도 호평을 얻었다. 내처 자기 가족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우리가 하고 싶은 말》까지 찍었으니 감독 커리어도 순항하면서 [[엄친딸]]이 되었다. [[뇌진탕]] 및 출산으로 한동안 휴식기를 가졌고 2022년 <[[위민 토킹]]>을 감독했다.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 [[토론토 국제 영화제/관객상|관객 투표]] 2위를 하고 [[제9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 작품상에 후보로 오르는 등 많은 호평을 받았다. 동시기에 자서전을 출판했는데, 16살때 지안 고메시에게 [* 2014년 성폭력으로 고소당해 합의금으로 마무리한 전력이 있다.] 성폭력 당했다는 사실을 고백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출연작 == === 영화 === * 바론의 대모험 - 샐리 솔트 * [[새벽의 저주]] - '''애나 클라크''' * [[스플라이스]] - 엘사 === 애니메이션 === * Babar: The Movie - 어린 셀레스테 == 기타 == * 2013년에 공개된 다큐멘터리 《우리가 하고 싶은 말》에 따르면 [[사생아]]라고 한다. 어머니의 불륜으로 태어난 아이였다고. 2007년에야 이 사실을 알았다고 한다. 하지만 어머니도 돌아가신 지 벌써 20년이 넘었기 때문에 [* 친아버지 해리 걸킨도 2018년 타계했다. 친부모 모두 고인이 된 셈.] 주변인들도 담담히 받아들이고 있다고 한다. 어머니의 불륜과 죽음, 너무 이른 성공으로 인한 세상사의 추악한 면모들을 겪으면서도 마약이나 범죄의 유혹에 빠지지 않고 성공했다는 점을 보면 [[멘탈갑]]에 [[대인배]]다. == 관련 문서 == * [[배우/서구권]] * [[성우/북미]] [[분류:1979년 출생]][[분류:1985년 데뷔]][[분류:러시아계 캐나다인]][[분류:아역배우]][[분류:잉글랜드계 캐나다인]][[분류:유대계 캐나다인]][[분류:캐나다의 방송 PD]][[분류:캐나다의 방송작가]][[분류:캐나다의 보컬리스트]][[분류:캐나다의 사회운동가]][[분류:캐나다의 여가수]][[분류:캐나다의 여배우]][[분류:캐나다의 여성 방송인]][[분류:캐나다 여성 성우]][[분류:캐나다의 여성 작가]][[분류:캐나다의 영화 각본가]][[분류:캐나다의 영화 감독]][[분류:캐나다의 영화 제작자]][[분류:캐나다의 작사가]][[분류:토론토 출신 인물]][[분류:캐나다 훈장 2등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