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20%, #000000)" {{{#ffffff '''세 번째 살인의 둘러보기 틀 '''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e5d85c '''역대 [[일본 아카데미상|{{{#e5d85c 일본 아카데미상}}}]]'''}}} || ||<-5> [[파일:japan-academy-prize.png|width=180]] || ||<-5> [[일본 아카데미상/작품상|{{{#e5d85c '''최우수 작품상'''}}}]] || || '''제40회[br]([[2017년]])''' || {{{+1 → }}} || '''제41회[br]([[2018년]]) ''' || {{{+1 → }}} || ''' 제42회[br]([[2019년]]) ''' || || [[신 고질라]] || {{{+1 → }}} || '''세 번째 살인''' || {{{+1 → }}} || [[어느 가족]] || ||<-5> || ---- ||
<#0C0000><-5> {{{#E5D85C '''역대 [[일본 아카데미상|{{{#E5D85C 일본 아카데미상}}}]]'''}}} || ||<#ffffff,#333333><-5> [[파일:japan-academy-prize.png|width=180]] || ||<#0c0000><-5> {{{#e5d85c '''최우수 각본상'''}}} || || '''제40회[br]([[2017년]])''' || {{{+1 → }}} || '''제41회[br]([[2018년]])''' || {{{+1 → }}} || '''제42회[br]([[2019년]])''' || || [[너의 이름은.#수상]] || {{{+1 → }}} || '''세 번째 살인''' || {{{+1 → }}} || [[어느 가족]] || ||<#0C0000><-5>|| ---- }}} || ||<-2>
{{{#ffffff '''{{{+2 세 번째 살인}}}''' (2017)[br]''三度目の殺人''}}}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ebunjae.jpg|width=100%]]}}} || || '''{{{#ffffff 장르}}}''' ||[[서스펜스]], [[드라마]] || || '''{{{#ffffff 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 || || '''{{{#ffffff 각본}}}''' ||[[고레에다 히로카즈]] || || '''{{{#ffffff 제작}}}''' || || || '''{{{#ffffff 주연}}}''' ||[[후쿠야마 마사하루]], [[야쿠쇼 코지]], [[히로세 스즈]] || || '''{{{#ffffff 음악}}}''' ||[[루도비코 에이나우디]] || || '''{{{#ffffff 테마곡}}}''' ||- || || '''{{{#ffffff 촬영 기간}}}''' ||[[2017년]] [[1월 17일]] ~ [[2017년]] [[3월 7일]] || || '''{{{#ffffff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Fuji Television Network [br] Amuse [br] GAGA Corporation || || '''{{{#ffffff 수입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정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티캐스트]] || || '''{{{#ffffff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호]]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티캐스트]] || || '''{{{#ffffff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7년]] [[9월 9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12월 14일]] || || '''{{{#ffffff 상영 시간}}}''' ||124분 || || '''{{{#ffffff 제작비}}}''' ||-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12,375,800'''([[2017년]] [[11월 5일]] 기준) [[http://www.boxofficemojo.com/movies/intl/?id=_fTHETHIRDMURDER01|출처]] || ||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 || || '''{{{#ffffff 대한민국 총 관객 수}}}''' ||35,373명([[2018년]] [[12월 23일]] 기준) || || '''{{{#ffffff 공식 홈페이지}}}''' ||[[http://gaga.ne.jp/sandome/|홈페이지]]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 상영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2017년작 영화. 장르는 드라마, 법정물, 그리고 미스테리와 서스펜스. 2017년 [[베니스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다. 한국에서는 제 22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었고, [[티캐스트]]에서 수입하여 2017년에 개봉하였다. == 예고편 == || [youtube(feCOpk1xThU)] || || '''메인 예고편''' || == 시놉시스 == ||'''그는 자백했고, 사형은 확실했다.''' 승리밖에 모르는 냉정한 변호사 시게모리, 모든 범행을 자백한 살인범 미스미, 그리고 피해자의 딸 사키에. 또 한번 진술이 번복되자, 모든 것에 의심이 가기 시작했다.|| == 등장인물 == * [[후쿠야마 마사하루]] - 시게모리 * [[야쿠쇼 코지]] - 미스미 타카시 * [[히로세 스즈]] - 야마나카 사키에 * [[미츠시마 신노스케]] - 카와시마 * [[이치카와 미카코]] - 시노하라 * 마츠오카 이즈미 - 핫토리 * 마키타 아쥬 - 시게모리 유타 * 이노우에 하지메 - 오노 * 하시즈메 이사오 - 아키히사 * [[사이토 유키(배우)|사이토 유키]] - 야마나카 미츠에 * [[요시다 코타로]] - 셋츠 다이스케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third-murder, critic=68, user=7.0)]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third_murder, tomato=86, popcorn=64)] [include(틀:평가/IMDb, code=tt6410564, user=6.7)]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third-murder, user=3.3)]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008695, user=6.368)]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59771, user=3.52)]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40946, user=7.3)]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6952153, user=7.1)]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m1Klm, user=3.6)]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61916, light=88.08)]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66583, expert=6.50, audience=8.21, user=7.71)]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14719, expert=6.7, user=7.1)] [include(틀:평가/CGV, code=80311, egg=88)] > '''장르가 변해도 여전한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조용한 울림. 인간 본성을 향한 회의와 희망을 담금질한다''' > - [[박은영]] (★★★★) > '''진실에 닿으려, 진실에 도달하지 못하는 역설의 드라마''' > - [[이주현]] (★★★☆) > '''진실은 ‘[[아무도 모른다]]’''' > - 임수연 (★★★☆) > '''어떤 옷을 입어도 고레에다는 여전히 고레에다''' > - [[송경원]] (★★★) > '''깊이 파다 절로 만들어진 미로''' >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 [[무비스트]]의 [[박은영]]은 8점으로 극찬했지만, [[씨네21]]의 [[이주현]], 임수연, [[송경원]], [[이용철(평론가)|이용철]]은 6점과 7점으로 중급에서 조금 나은 정도의 평가를 해줬다. 12월 6일 [[이동진]]이 진행한 라이브톡에서는 <[[걸어도 걸어도]]> 이후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새로운 경지라 평가했다.[* 참고로 이동진은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열렬한 팬이다.] > '''생각하는 카메라의 힘.''' > -[[이동진]] (★★★★) == OST == [youtube(hzFeRsEb80k)] 이탈리아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루도비코 에이나우디]] 가 만들었다. == 흥행 == === [[일본]] === 드롭률은 매우 양호하다, 두번째 주 드롭률은 29.4로, 그리고 순서대로 44.6, 34.8, 43.7, 39.3. 하지만 흥행세를 보면 드롭률과 다른데, 첫주차는 [[덩케르크(영화)|덩케르크]]에 밀린 2위로 시작했고, 두번째 주는 [[에이리언: 커버넌트]]의 개봉으로 인하여 3위로 떨어졌다. 그리고 자국 영화에 이하여 셋째 주에는 4위로, 이어서 넷째 주에는 6위로 떨어졌으며, 다섯째 주에는 [[아웃레이지 파이널]], 나라타주의 개봉과 드롭으로 인하여 8위, 마지막 여섯째 주부터는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와 [[혹성탈출: 종의 전쟁]]의 개봉과 드롭으로 인하여 13위로 차트아웃되었다. 그러고 미집계. === [[한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3,141명 || 3,141명 || -위 || 27,256,600원 || 27,256,600원 || ||<|7> {{{#ffffff 1주차}}} ||2017-12-14. 1일차(목) || 2,102명 ||<|7> -명 || 13위 || 15,467,700원 ||<|7> -원 || ||2017-12-15. 2일차(금) || -명 || -위 || -원 || ||2017-12-16. 3일차(토) || -명 || -위 || -원 || ||2017-12-17. 4일차(일) || -명 || -위 || -원 || ||2017-12-18. 5일차(월) || -명 || -위 || -원 || ||2017-12-19. 6일차(화) || -명 || -위 || -원 || ||2017-12-20. 7일차(수) || -명 || -위 || -원 || ||<|7> {{{#ffffff 2주차}}} ||2017-12-21. 8일차(목)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17-12-22. 9일차(금) || -명 || -위 || -원 || ||2017-12-23. 10일차(토) || -명 || -위 || -원 || ||2017-12-24. 11일차(일) || -명 || -위 || -원 || ||2017-12-25. 12일차(월) || -명 || -위 || -원 || ||2017-12-26. 13일차(화) || -명 || -위 || -원 || ||2017-12-27. 14일차(수) || -명 || -위 || -원 || ||<|7> {{{#ffffff 3주차}}} ||2017-12-28. 15일차(목)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17-12-29. 16일차(금) || -명 || -위 || -원 || ||2017-12-30. 17일차(토) || -명 || -위 || -원 || ||2018-01-01. 18일차(일) || -명 || -위 || -원 || ||2018-01-02. 19일차(월) || -명 || -위 || -원 || ||2018-01-03. 20일차(화) || -명 || -위 || -원 || ||2018-01-04. 21일차(수) || -명 || -위 || -원 || ||<|7> {{{#ffffff 4주차}}} ||2018-01-05. 22일차(목)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18-01-06. 23일차(금) || -명 || -위 || -원 || ||2018-01-07. 24일차(토) || -명 || -위 || -원 || ||2018-01-08. 25일차(일) || -명 || -위 || -원 || ||2018-01-09. 26일차(월) || -명 || -위 || -원 || ||2018-01-10. 27일차(화) || -명 || -위 || -원 || ||2018-01-11. 28일차(수) || -명 || -위 || -원 || || '''{{{#ffffff 합계 }}}''' ||<-6> '''누적관객수 35,373명, 누적매출액 288,165,000원'''[* ~ 2018/12/23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 같은 주에 극장 개봉하는 작품은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강철비]], [[극장판 숲의 요정 페어리루 ~크리스마스의 기적: 마법의 날개~]], 련희와 연희, 로드 투 로마, 메리 크라스마스 미터 모, [[빈센트]], [[스노우맨(영화)|스노우맨]], [[오버드라이브(영화)|오버드라이브]], [[튤립 피버(영화)|튤립 피버]], 홍콩 좀비 히어로, 파트너 오브 좀비, 플랜B: 뜨거운 녀석들까지 14편. 개봉 첫날 10위권 진입에 실패하였다. === [[북미]] === [[2018년]] [[1월 4일]] 팜 스프링스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중국]] === [[2018년]] [[3월 30일]] 개봉했다. === [[영국]] === [[2018년]] [[3월 17일]] 웨일즈 세계 영화제에서 상영, [[3월 23일]] 제한 상영했다. === [[싱가포르]] === [[2018년]] [[1월 11일]] 개봉. == 여담 == [[후쿠야마 마사하루]]가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에 이어 다시 한번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과 호흡을 맞춘 영화이다. 관객과의 대화 영화의 전당 하늘연극장 (BIFF)[[https://youtu.be/nw4I1WOXGIc|#]] [[분류:2017년 영화]][[분류:일본의 드라마 영화]][[분류:고레에다 히로카즈]][[분류: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