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2>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fff 대한민국 제7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 ||<-2> '''{{{#fff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br]{{{+1 성태제}}}[br]Seong Tae-ja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성태제교수.jpg|width=100%]]}}} || ||<|2> '''출생''' ||[[1954년]]|| ||-|| || '''현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br][[국가교육위원회]] 교육과정전문위원|| ||<|2> '''재임기간''' ||제7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 ||[[2011년]] [[3월 16일]] ~ [[2014년]] [[3월 15일]] || || '''학력'''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2 (교육학 / 학사)}}}[br][[위스콘신 대학교|위스콘신 대학교 대학원]] {{{-2 (교육평가 / 석사 · 박사)}}}|| || '''경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br][[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능출제자문위원[br]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장[br]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수능평가총괄부위원장[br]이화여자대학교 입학처장[br]입학처장협의회장[br]이화여자대학교 교무처장[br]한국교육평가학회 부회장[br][[국무조정실]] 정부정책평가위원[br][[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평가기획위원[br]한국교육평가학회 회장[br]정부업무평가위원[br][[교육인적자원부]] 정책자문위원[br]일반대학교 교육학과 평가단 부위원장[br]국무조정실 정부업무평가위원[br][[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획평가위원장[br]한국간호평가원 이사[br]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문위원[br][[대통령비서실|대통령실]] 교육과학문화수석실 정책자문위원 {{{-2 (이명박 정부)}}}[br][[교육과학기술부]] 대학운영자율화위원[br]한국창의재단 이사[br]한국교육신문 논설위원[br]제9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사무총장[br][[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2 (제7대 / [[이명박 정부]])}}}[br][[육군사관학교]] 자문위원[br]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br][[국가교육위원회]] 교육과정전문위원 {{{-2 ([[윤석열 정부]])}}}|| || '''수상''' ||[[근정훈장|홍조근정훈장]] {{{-2 (2008)}}}||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수, 교육학자, 교육인, 제7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 생애 == 1989년부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를 맡았으며 1995년부터는 평가원 수능출제 자문위원이었다. 3대 [[이종승]] 원장처럼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기초적인 틀을 닦은 바 있다. 과거에 몇 차례 평가원장에 응모하였다가 최종 3인 후보에서 낙마한 적이 있었다. 2011년 3월 16일 제7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에 취임했다. 평가원장이 되기 전에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사무총장으로 재임하고 있었다. 과거 수능 자문위원 시절 수능 개편안 연구에서 선택형 수능인 A/B형 체제에 대한 연구물을 내놓은 바 있다. 재임 중에 수능 난이도 하향을 위한 '''만점자 1% 정책'''을 내기도 했다. 물론 별 의미없는 1% 맞추기용 난이도 조절을 하다가 2년만에 실패로 돌아가 없던 일이 됐지만, 최근의 불수능 기조에서는 오히려 재평가 받고 있는 듯하다.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수리 나형과 외국어 영역,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에서 물수능을 보여주면서 [[김성열(교수)|전임 원장]]에 비해 쉬운 난이도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였으나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B형과 영어 B형 영역에서 화끈한 불쇼를 보여주고 임기를 끝마쳤다. [[2014학년도 수능 세계지리 출제 오류 사태]]의 책임을 지지 않고 채점 강행으로 사건이 커져버렸음에도 대형 법무법인을 선임하여 소송으로 버티다 임기 3년을 마치고 퇴임 후 교수로 복귀하였다. [[윤석열 정부]]에서 새로 신설된 [[국가교육위원회]]에서 교육과정전문위원을 맡고 있다. == 여담 == 대한민국 교육평가 부문의 권위자이며, 공립 교원을 양성하는 사범대학의 교직수업, 특히 교육평가 강좌에서 성태제의 저서가 주교재로 많이 사용된다. [[분류:1954년 출생]][[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위스콘신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이화여자대학교 재직]][[분류:대한민국의 사회과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교육자]][[분류: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이명박 정부/인사]][[분류:윤석열 정부/인사]][[분류:근정훈장]][[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고위 공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