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춘향전 시리즈)] ||<-2> {{{+2 '''성춘향'''}}} (1987)[br]成春香 | Sung Chun-hya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성춘향(1987)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 한상훈 || || '''각본''' || 김용진 || || '''각색''' || 한상훈 || || '''제작''' || 정화자 || || '''제작사''' || 화풍흥업주식회사 || || '''기획''' || 김우현, 손형순, 안종강 || || '''촬영''' || 김남진 || || '''조명''' || 박창호 || || '''편집''' || 현대원 || || '''음악''' || 한상기 || || '''미술''' || 김유준 || || '''출연''' || 이나성, 김성수, [[연규진]], [[사미자]], [[김성찬(배우)|김성찬]], 곽은경, [[김성원(성우)|김성원]] || || '''개봉일''' || [[1987년]] [[5월 9일]] || || '''개봉관''' || 허리우드극장 || || '''관람인원''' || 748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전 [[춘향전]]을 영화화한 한상훈 감독의 1987년 개봉 영화. [[장미희]], [[이덕화]] 주연의 《[[성춘향전]]》 이후 10여 년만에 다시 제작된 춘향전이다. [[안양예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형》이라는 영화에 단역으로 출연했던 이나성은 200명[* 어떤 기사에서는 1천명이라고 함]의 응모자 가운데에서 춘향 역으로 선발됐다. 그러나 영화는 폭망(관객수 748명)하고 이후 한두편의 영화에 얼굴을 비친 후 영화계에서 사라졌다. 역대 춘향 [[조미령(1929)|조미령]]-[[김지미]]-[[최은희(배우)|최은희]]-[[홍세미]]-[[문희]]-[[장미희]]로 이어지며 춘향 역할이 스타 등용문으로 통하던 전통은 이 영화를 끝으로 저물었다. 이후 [[임권택]] 감독의 《[[춘향뎐]]》에서도 신인 [[이효정(1983)|이효정]]이 춘향 역으로 캐스팅되었으나 《춘향뎐》을 끝으로 영화계를 떠나게 된다. 춘향전 영화 중에서 유일하게 겨울 장면을 촬영했다. [[사미자]]는 《[[방자와 향단이]]》에 이어 두 번째로 월매 역을 연기했다. == 등장인물 == [include(틀:춘향전 시리즈 등장인물)] * 이나성 - 성춘향 역 * 김성수 - 이몽룡 역 * [[연규진]] - 변학도 역 * [[김성찬(배우)|김성찬]] - 방자 역 * 곽은경 - 향단 역 * [[사미자]] - 월매 역 == 줄거리 == 사또의 자제인 이몽룡(김성수)은 단오날 고을 기생([[사미자]])의 딸 춘향(이나성)을 만나고 첫눈에 사랑하게 되지만 아버지의 관직 이동으로 상경하게 되어 두사람은 결혼 약속을 하고 헤어진다. 새로 부임하여 온 변학도([[연규진]])는 [[주색잡기]]에만 빠져있어 춘향의 미모에 혹하여 수청을 요구한다. 그러나 춘향은 이를 거절한다. 이에 화가 난 변학도는 춘향을 옥에 가두고 괴롭힌다. 춘향이 옥에서 죽음을 기다리던 날 몽룡은 장원급제하여 돌아와 춘향을 구하고 백년해로를 약속한다. [[분류:한국 영화]][[분류:1987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