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탐라)] [목차] == 개요 == 성주([[星]][[主]])는 [[탐라]]에서 사용한 군주의 칭호로, 왕자(王子) 및 도내(都內) 등과 함께 사용되었다. 성주·왕자·도내 가운데 성주가 탐라국의 실질적인 국왕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왕자는 부왕(副王) 격으로 여겨진다. 현재의 제주 우체국이 일종의 탐라국 [[궁궐]]이었던 [[성주청|성주청(星主廳)]]이 있던 자리이다. 도내는 [[신라]] 이후에는 나타나지 않아 단절된 것으로 보인다. 실질적인 [[고려]]의 지방 행정구역으로 편입된 뒤에도 성주와 왕자는 세습이 지속되었으며, 상당한 영향력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태종(조선)|태종]]이 탐라를 제주로 고쳤을 때, 성주와 왕자 칭호를 포기하여 '도지관(都知管)'이라는 토관(土官)직으로 개편되었다. == 상세 == 이원진(李元鎭)의 《탐라지》에 따르면, >“신라 때 [[고후(탐라국)|고후(高厚)]], 고청(高淸), 고계(高季) 3형제가 바다를 건너와서 조공하니 왕이 기뻐해 작호를 주었는데, 고후에게는 '''성주'''(星主), 고청에게는 '''왕자'''(王子), 고계에게는 '''도내'''(都內)라 하고 국호를 주어 '''탐라'''라고 했다.” 라고 하여, 성주 등의 고유 칭호는 [[신라]] 때부터 사용된 것으로 파악된다. "별의 주인"이라는 의미인 '성주'를 칭한 이유는 당대 탐라사람들이 항해술에 이용되는 별자리와 북두칠성을 중요시했기 때문에 관련된 호칭이 나옴과, 지금도 제주시 옛 저자 터에는 북두칠성 모양을 본 뜬 제사유적인 칠성대(칠성단)가 흔적으로 남아있다. 탐라국은 [[백제]] 때부터 복속되어 [[신라]]와 [[고려]]로 이어졌으나, 탐라국이 해체되어 지방 행정구역으로 편성된 것은 고려 중기인 1105년에 탐라군(耽羅郡)이 설치된 때였다. 그 전까지 탐라국은 '번국(藩國)' 지위로 취급되었기에 어느정도 독립성이 인정되는 '외국'이었으며, 탐라 출신인 사람은 고려에서 시행되는 [[과거 제도|과거]]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빈공과(賓貢科)로 치러야 했다. 때문에 《책부원구(冊府元龜)》 등의 문헌에선 탐라국의 군주를 '탐라국왕'으로 기록하기도 했다. 탐라군의 설치로 사실상 고려에 합병된 이후에도 탐라왕의 후예들은 '성주'와 '왕자' 지위를 세습했다. 이 때부터 고려의 조정에서는 성주들에게 주로 [[산계#무산계|무산계]]를 수여했는데, 대부분이 종5품의 유격장군이었으며, 정5품의 정원장군으로 승진하거나 처음부터 종3품의 운휘대장군에 오른 사례도 있다. [[조선]] 때인 1404년부터 성주는 '좌도지관(左都知管)'으로 왕자는 '우도지관(右都知管)'으로 개칭했다가, 1445년에 세습제를 완전히 폐지하여 '상진무(上鎭撫)'와 '부진무(副鎭撫)' 체제로 개편된다. == 역대 성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탐라, 문단=5)] [include(틀:역대 탐라 군주)]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성주(동음이의어), version=66, paragraph=3.1)] [[분류:한국의 군주]][[분류:탐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