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성우 개그)]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APricklyAndWeakRange, 합의사항1=아래의 등재 기준에 맞는 사례만 서술하기)] [목차] == 사례 및 등재 기준 == * 아래의 국가별 분류는 작품이 아닌 성우의 국적를 기준으로 합니다. * 작품 내에서 '카메오', '이스터 에그'의 형태처럼 의도적으로 집어 넣어 직접적으로 등장하는 내용일 것. 단순히 성우와 캐릭터의 요소나 작품의 내용이 동시에 겹치는 것만으로는 해당되지 않는다. * 2차 창작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 한국 ==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기로로]]: "[[뿌뿌뽕|고구마팀의 체력을 책임진다, 뿌뿌뿡!]]" ([[시영준]]) [* 이 때 [[쿠루루]]가 "고구마 먹고 뿌뿌뽕."이라고 받아쳐주는 건 덤.[[https://www.youtube.com/watch?v=uFXNC5yiUAU|#]] ] * [[케로케로 체인지|성우를 바꿔서 더빙한 편]]에서 [[히나타 후유키|강우주]]와 '''[[한애숙|아따맘마 엄마]]'''의 [[이미자(성우)|성우]]가 같다는 걸 노려서 [[도로로(개구리 중사 케로로)|도로로]]를 아따맘마의 어머님삘의 대사와 톤으로 더빙했다. 소개도 아따맘마 엄마로 한 건 덤(...) ([[이미자(성우)|이미자]]) * [[도로로(개구리 중사 케로로)|도로로]]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 우와앙~ 난 [[해적왕(원피스)|해적왕]]이 될 거시어요~, 어쌔신 매직 필살 [[바람의 상처]] 샷.[* 첫번째 해적왕은 [[몽키 D. 루피]], 두번째 바람의 상처는 [[이누야샤(이누야샤)|이누야샤]].] * [[구운몽-어느 소녀의 사랑이야기]] : [[해랑(구운몽-어느 소녀의 사랑이야기)|해랑]]이 [[팬텀(메이플스토리)|아가씨는 웃는 얼굴이 제일 예뻐요]]라고 말한다. ([[신용우]])[* [[http://gall.dcinside.com/list.php?id=radio_actor&no=140870&b_divi=Y&best_day=0&best_page=2|공식 트위터]]에서 인정한 걸 보면 의도적인 게 맞다. [[구운몽-어느 소녀의 사랑이야기|문서]]에서 알 수 있듯이 이 게임을 만든 네오앨리스가 넥슨 산하의 상업팀이고, 원래 네오앨리스는 [[메이플스토리]]의 [[https://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5/?n=53171|여성향 게임을 만들려고 했다]]는게 [[메이플스토리/패러디|드러났기 때문이다.]]] * [[그랜드체이스 for kakao]] * [[라스(그랜드체이스 for kakao)|라스]] : [[남도일|진실은 언제나 하나! 내 이름은 라스.. 탐정..이 아니라.. 으흠..으흠]]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 [[로난(그랜드체이스 for kakao)|로난]] : 딱 죽지 않을 정도만 패주지. 흐하하하하.. [[엘소드|아.. 다른 게임이군요.]][* 첫번째 대사는 [[애드(엘소드)/둠 브링어#s-4|애드]]의 대사다.]([[정재헌]]) * [[린(그랜드체이스 for kakao)|린]] : 황혼보다 더 어두운 것 흐르는 피보다 더 붉은 것.. 너 이 주문 알아? [[슬레이어즈|너도 나이가 좀 되는 구나..]][* 주문은 [[리나 인버스]]의 [[드래곤 슬레이브]].]([[정미숙]]) * [[길티기어 스트라이브]]: 본편은 아니지만 [[치프 자너프]] 성우소개 영상에서 대놓고 닌자배역으로 유명한 [[김혜성(성우)|성우]]로 캐스팅했다고 밝혔다 * [[따끈따끈 베이커리/애니메이션|따끈따끈 베이커리]]에선 토네가와 고난이라는 [[에도가와 코난]]의 패러디 캐릭이 있는데 원판에선 [[타카야마 미나미]]가 아닌 다른 성우가 연기했는데 '''한국판에선 아예 [[김선혜]]가 캐스팅되었다.''' * [[러키☆스타/애니메이션|러키☆스타]]에선 [[아니자와 메이토]] 점장이 [[코가미 아키라]]에게 [[구우(정글은 언제나 맑음 뒤 흐림)|구우]](구루미), [[미하마 치요]](윤나라), [[아즈마리아 헨드릭]] 얘기를 한 적도 있다.(모두 다 [[여민정]]이 맡았던 배역) *[[또봇: 대도시의 영웅들]] : 가짜 [[최매기]] 안드로이드가 웃는 모습을 참고한 사진이 [[오혜라]]의 사진이다. ([[정인지(1984)|정인지]]) * [[Limbus Company]]: 3.5장에서 [[그레고르(Project Moon 세계관)|그레고르]]가 요리를 하겠다고 나섰을 때 [[료슈]]가 끼어들어 [[네모바지 스폰지밥|"그 집게로 햄버거 패티나 구워라"]] 라며 핀잔을 준다. 옆에서 [[홍루]]가 "그레고르 씨가 가게를 차린다면 [[집게 사장]]이 되는 거네요!" 라고 하며 확인 사살.([[최한]]) * [[삼국지 조조전 온라인]] : [[관색]]의 회심 공격 시 "이 화살에 혼신을 담겠다!"는 대사가 있었으나 패치로 인해 [[한조(오버워치)|"화살아! 적들을 삼켜버려라!"]]라는 음성이 추가되었다.([[한신(성우)|한신]]) * [[소드마스터 스토리]] * [[소드마스터 스토리/캐릭터|카인]]: "[[쿠도 신이치|내 이름은 카인. 제국의 소드마스터다.]]"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 [[소드마스터 스토리/캐릭터|칼리시아]]: "[[남녀탐구생활|오- 마이- 갓-]] 그 정도 스펙으로 모험을 한다구?" ([[서혜정]]) * [[신비아파트 극장판 하늘도깨비 대 요르문간드]]: [[번개 헤론]]이 소환될 때 [[리온 레이몬드]]의 브금이 사용되었다. ([[김명준(성우)|김명준]]) * [[오버워치 2]]: 2023년 만우절 대사 중 일부가 성우개그를 활용한 대사가 존재한다. * [[정커퀸]]: 여왕을 [[로스트아크/군단장 레이드/아브렐슈드|찬미하라!]]([[김현심]]) *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 [[마이트가인]]의 동륜검의 한국명이 [[민대풍|회전 회오리 검]]이다. ([[이규화]]) * [[와이파이 초한지]] * [[항우]]: [[나츠 드래그닐|화룡의 철권!]] ([[남도형]]) * [[와이파이 삼국지]] * [[괴월]]/[[괴량]]: [[김전일|할아버지의 이름을 걸고!/조상님의 이름을 걸고!]]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 [[손책]]: [[블랙캣(레이디버그)|고대의 재앙!]] ([[남도형]]) * [[조운]]: 산혼철조! / 바람의 상처!,[* [[이누야샤(이누야샤)]].] [[몽키 D. 루피| 고무고무 바주카!]]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 [[조조]]: [[그레이시즈|쓰리, 투, 원, 고~ 슛!]] ([[홍진욱]]) * [[노숙(삼국지)|노숙]]: [[존 왓슨(셜록)|어... 안녕하세요, 셜록 친구 존 왓슨입니다.]] ([[박영재(성우)|박영재]]) * [[손권]]: [[아버지한테도 맞은 적 없는데!]] ([[남도형]]) * [[와이파이 한국인]] * [[염장]]: [[짐 모리어티|전화번호 줬는데~]]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 [[박문수]]: [[존 왓슨(셜록)|여기 와이파이 잘 터지나요?]] ([[박영재(성우)|박영재]]) * [[절대가련 칠드런]] 더빙판에서는 [[오란고교 사교클럽]]와 [[이누야샤]]와의 성우 개그를 위해 미나모토의 대사를 바꾼 적이 있다.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 [[짱구는 못말려]] * [[신짱구]]: 난 [[드래곤볼]]의 [[손오공(드래곤볼)|오공]]이다! [[https://youtu.be/pVRMs1dsVRU?t=4m19s|#]] ([[박영남]]) * 쿵야쿵야 애니메이션에서는 양파쿵야와 샐러리쿵야가 상대 성우의 대표 캐릭터를 따라하는 모습도 있다. (양파쿵야의 코난은 김선혜 전담 캐릭터, 샐러리쿵야의 서장금은 정미숙 전담 캐릭터. 두 쿵야의 성우와는 정 반대다.) * [[큐라레: 마법 도서관]] * [[미우(큐라레: 마법 도서관)|미우]]: "안녕, 친구들! 마법사서가 왔어!" / "새로운 사서는 언제나 환영이야!" ([[박신희]])[* 두 대사 모두 [[트레이서]]의 대사.] * [[셀라 에스트린제|셀라]]: "[[D.Va|어디 이것도 너프해보시지]]!" ([[김현지(성우)|김현지]]) * [[델핀(큐라레: 마법 도서관)|델핀]]: "[[악마사냥꾼(디아블로 3)|아직 부족한가]]?"[* 실제로 담당 성우인 [[이계윤]]은 [[디아블로 시리즈]]의 오랜 팬이라서 본인이 앞장서서 악마사냥꾼 드립을 자주 치기로 유명하다.] ([[이계윤]]) * 장자: "잘됐군요. [[베인(리그 오브 레전드)|어둠에 빠진 자들을 사냥해볼까요]]." ([[김현심]]) * [[클로저스]] * [[제이(클로저스)|제이]]: (특수요원 스킬 'EX 옥돌 자기력' 사용 시)"[[카카로트|에너지파]]" * [[홍시영]]: 퀘스트 [[https://www.youtube.com/watch?v=ZrqndDiO2fo|'박심현의 조건']]을 수행하면 [[박심현]]이 홍시영에게 자신의 단편영화에 출연해 달라고 요구하는데, [[사라 케리건|여주인공]]이 [[저그|외계종족]]의 앞잡이로 활동하다가 제정신을 찾고 우주를 구원한다는 내용이다. ([[소연(성우)|소연]]) * 투니버스판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마이 리틀 포니]]에서 [[타임 터너(Friendship is Magic)|타임 터너]] 역에 [[10대 닥터]]를 연기한 [[김승준(성우)|김승준]]을 쓴 것과 [[트와일라잇 스파클]]이 [[박지윤(성우)|같은 목소리]]를 가진 [[안나(디즈니 캐릭터)|다른 나라 공주님]]이 불렀던 '[[같이 눈사람 만들래]]'를 흥얼거리는 것은 빼도박도 못하는 성우 개그. * [[하스스톤]] * [[연합용사 사라아드]]: [[까마귀 군주|'연합의 용사가 주문을 원하노라.']] * [[겐 그레이메인(하스스톤)|겐 그레이메인]]: '길니아스는 다시 일어날 것이니 [[데커드 케인|잠시 내 말 좀 들어보게나.']] * [[회색도시 시리즈]] 시리어스한 본편 스토리 진행중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대놓고 개그로 설정한 뒷풀이나 VIP 벨소리에서 성우개그가 등장한다. * [[양시백]]: "[[남도일|내 이름은 시백, 사범이죠!]]"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 [[권혜연]]: "[[케로로|킹~ 킹~ 혜연파!]]" ([[양정화]]) * [[배준혁]]: "[[젊은 느티나무|소개를 그리 한 건 나 빡치라는 친절인가?]]" ([[김승준(성우)|김승준]]) * [[하태성]]: "[[야가미 라이토|나는 신세계의 신이 된다!]]" ([[김영선(성우)|김영선]]) * [[황도준]]: "[[뿌뿌뿡|새해 복을 책임진다! 폭탄 협박범 황도준! 뿌뿌ㅃ… 가만 있어봐, 이거 어디 들어본 거 같은데…]]" ([[시영준]])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 [[제라툴(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제라툴]]: "[[장포스|야, 이 저그놈의 (삐-)야! 니들 거기 꼼짝 말고 있어! 내가 지금 거신을 몰고 가서 네놈들의 머리통을 다 날려버리겠어!]] 오, 이런. 대본을 잘못 들고 왔군." ([[김기현(성우)|김기현]]) * [[아르타니스(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아르타니스]]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 [[남도일|내 이름은 아르타니스, 신관이지...]] 이거 뭔가 익숙한 기분이 드는데. * [[김전일|할아버지의 명예를 걸고!]] [[몽키 D. 루피|난 우주 해적왕이 되겠어!]] * [[짐 모리어티|그만 찌르라고 했는데~?! 난 또 기다렸지~]] 으, 허, 허억. 하도 찔렸더니 정신이 오락가락하는군. * [[케리건(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케리건]]: "[[Let It Go(겨울왕국)|다 잊어, 다 잊어. 클릭 따윈 두렵지 않아.]]" ([[소연(성우)|소연]])[* 노래는 [[박혜나]]가 불렀지만, [[엘사]]의 성우가 케리건과 같은 [[소연(성우)|소연]]이라서 가능한 드립.][* 참고로 엘사와 같은 얼음 마법 계열을 가진 [[제이나(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제이나]]의 대사 중 "그나저나, 혹시 겨울왕국 패러디를 기대하고 계시다면, 케리건한테 가 보세요."가 있다.] * [[겐지(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겐지]]: [[자~가라! 닌닌저!|누구보다 빠르게 전장을 달려라! 바람을 베어라! 드높은 시공에 다섯 명의 맹세를 휘날려보자!]] (김혜성)[* [[파워레인저 닌자포스]]의 국내판 오프닝 가사를 패러디했다. 겐지의 성우를 맡은 김혜성은 파워레인저 닌자포스의 주인공 [[이만세]]의 성우를 맡았다.] * [[알렉스트라자(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알렉스트라자]]: [[엄현정|그래, 이 옷은 실바나스도 입었던 옷이다만. 말해 봐라. 누가 더 잘 어울리느냐? 응? 아우리엘도 입었었다고?]] * [[로드 오브 히어로즈]] * [[시안 발카리오스]]의 영웅창 대사 중, [[니케(마법진 구루구루)|"굉장히 강력한 마법주문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 쿠루쿠루? 구루구루? 그런 이름이었습니다."]] 라는 대사가 존재한다.[* 문서에서도 확인 가능하듯 성우가 맡은 타 캐릭터에서 착안한 일종의 이스터 에그로 보인다.] * [[미하일 블레이크]]의 영웅창 대사 중에서는 "요한 경과는 나름 대화가 잘 통한다고 생각합니다." 라는 대사가 있다. 물론 동료로써 [[요한 테일드|요한]]이 존재는 하나...[* 성우의 이름이 [[박요한(성우)|박요한]]이기 때문에, 타 작품과는 관계가 없지만 일종의 성우 개그로도 볼 수 있는 면이 있다.] * [[메이링 치올]]의 경우, 영웅창 대사로 [[조이(리그 오브 레전드)|"가장 좋아하는 음식 말이오? 초코달떡이라는 것이 참 맛있더이다! 드셔보신 적 있소? 있소? 흐흠, 실례했소이다."]] 라는 대사를 가지고 있다.[* 생일 일러에서도 나온 것으로 보아 반 공식설정화 된 듯 하지만, 시기로 볼때 성우 개그에서 시작된 것이 맞다.] * [[아슬란 발카리오스]]: [[일리단 스톰레이지|"그대들은 아직 준비가 안 됐군."]]라는 영웅창 대사 또한 성우 개그이다. * [[아치와 씨팍]] * [[보자기 킹]]이 등장하며 흥얼거리는 멜로디는 [[그대에게]] 전주 부분, 이쁜이를 때리면서 "그런 슬픈 표정 하지 마!" 라는 대사를, 엘리베이터에서 "위스키 브랜디 블루진 하이힐 콜라 피자 발렌타인 데이"라는 개뜬금없는 대사를 읊는다. 당연히 신해철 팬이 많은 40~50대 아재 아줌마들은 듣자마자 포복절도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전부 다 신해철이 아이돌 꽃미남(...) 시절 히트곡인 "[[재즈 카페]]"와 "[[슬픈 표정 하지 말아요]]"의 가사를 본인 목소리로 거의 [[시영준]]급으로 목소리 좌악 깔아대며 읊기 때문이다. 그것도 주인공들을 무참히 구타하는 장면에서(...) == 일본 == * 2009년 4/4분기에 방영된 <[[캠퍼(소설)|캠퍼]]>는 그야말로 본격 성우 장난 애니메이션. 하지만 성우 개그 자체의 한계 때문에 재밌다는 반응보다는 어이 없다는 반응이 더 크게 일어났다. * [[강철의 연금술사]] PS2 게임에서 [[그리드(강철의 연금술사)|그리드]]와 팀을 짜서 엔딩을 보면 그리드의 변덕(?)으로 [[알폰스 엘릭]]이 [[캐슬린 엘 암스트롱]]과 맞선을 보게 되는데, 이때 캐슬린이 [[알렉스 루이 암스트롱|자기 오빠]]와 맞먹는 덩치에 자신의 괴력조차 버티는[* 캐슬린이 힘껏 껴안았는데 당연히 몸이 강철 갑옷인 알은 아무렇지도 않았다.] 알에게 반해버린다. 캐슬린과 알의 [[쿠기미야 리에|성우]]가 같은 것을 이용한 성우 개그. * [[고양이 당인전 테얀데에]] - [[언제나의 모자]]의 엄마: 한번은 [[오미츠]] 말투를 따라 해본 적이 있었다. ([[미즈타니 유코]])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니시자와 바이오가 [[샤아 아즈나블]]을 패러디하고 있는데, 이는 니시자와 바이오와 샤아 모두 [[이케다 슈이치]]가 연기해서 그렇다. * [[호조 무츠미|623]](사빈)의 첫 등장은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나기사 카오루]]와 똑같다. 둘다 성우가 [[이시다 아키라]]이다. * [[논논비요리]] 애니메이션 7화에서 [[미야우치 렌게]]가 [[카가야마 카에데]]를 막과자집이라고 부르자 렌게에게 '제대로 이름으로 불러, 나에겐 카가야마 카에데라는 제대로 된 이름이 있다고'라고 말한다. [[카가야마 카에데]]의 성우인 [[사토 리나]]가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및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의 등장인물 [[미사카 미코토]]도 맡았기 때문이다. * [[농림/애니메이션|농림]]에서 [[키노시타 링고]]([[쿠사카베 유카]])가 [[잠시 머리 좀 식힐까]]라는 대사를 [[타카마치 나노하|마왕같은 표정]]을 짓는다는 서술과 함께 말하며 [[유카리 왕국|유카땅 왕국]]의 공주라는 내용도 나온다. 또한 예명인 '유카'와 실명인 '링고'의 두 이름을 합치면 [[타무라 유카리]]의 사진집 제목인 '유카링고'가 된다. * [[뉴 단간론파 V3 -모두의 살인 신학기-]]에서 [[호시 료마]]의 사망 직후 [[모노쿠마즈]]가 등장해 MG5로 철자를 이용한 3행시 드립을 친다. 이는 [[메탈기어 솔리드 V|MGSV]]를 의미하며, 메탈기어 시리즈의 주인공의 성우와 료마의 성우가 같은 [[오오츠카 아키오]]인 것을 반영한 개그이다. * [[드래곤볼 Z]]에서 재배맨의 자폭공격에 당한 [[야무치]]와 야무치를 죽게한 [[재배맨]]들 중 한 명이 [[후루야 토오루]]다. * [[드래곤볼 슈퍼]]에서 크리링 벨소리가 자세히 들어보면 원피스 1기 오프닝 "We are!"이다. 그 이유는 일어판 기준 원피스의 주인공인 루피와 크리링 성우가 [[타나카 마유미]]이기 때문이다. * [[디지몬 크로스워즈]]에서는 젠지로와 블래스트몬은 성우가 같다는 점을 반영해 [[크로우몬]]을 웃기는 데 실패한 [[츠루기 젠지로]]가 최후의 카드로 꺼내려 '''했던''' 것이 바로 [[블래스트몬]]의 성대모사였다. * [[데스 스트랜딩]] - 엄밀히 따지자면 성우개그는 아니지만 일본판 성우진의 대부분을 [[코지마 히데오|코지마]]가 [[메탈기어 시리즈]]의 성우로 캐스팅했다. 유일하게 힉스는 양국 성우가 전부 전작에서 같은 배역을 맡았는데, 북미판 성우는 [[트로이 베이커]], 일본판 성우는 [[미카미 사토시]]로, 둘 다 [[메탈기어 솔리드 V 더 팬텀 페인]]에서 [[리볼버 오셀롯#s-2]]을 맡았다. * 일본어판 기준으로 샘이 필드를 돌아다니다가 다이하드맨이 통신으로 "이봐 샘. 그렇게 발자국을 남기고 다니다니, 자네가 잠입공작원이었다면 [[https://www.youtube.com/watch?v=_MwV07wR8C0|실격이었을거네]]." 라고 말한다.[* [[오오츠카 아키오]]는 [[메탈기어 시리즈]]에서 [[솔리드 스네이크]]와 [[네이키드 스네이크]], [[베놈 스네이크]]를 연기했다.] * 특별출연한 [[코난 오브라이언]]이 일어판에서는 첫등장 시에 [[카즈히라 밀러|"보스, 늦었잖아!"]]라고 [[스기타 토모카즈|말한다]]. * [[러키☆스타/애니메이션|러키☆스타]] * [[이즈미 코나타]]가 [[스즈미야 하루히]]와 동일 성우임을 이용해 애니 여기저기서 둘을 엮어댔다. 절정은 메이드 카페에서 스즈미야 하루히 코스프레를 한 코나타. * 여름 코미케 에피소드에서 점장이 "한정 상품이 다 팔린 이 시간이야말로 기업 부스의 진정한 싸움이 시작된다!"는 말에 점장과 점원이 악성재고 중 찾아낸 것이 각각 [[사가라 소스케]]와 [[쿈]]의 캐릭터 카드(...)[[https://bbs.ruliweb.com/family/211/board/300075/read/30616824|#]] * [[록맨 11]]에서 [[퓨즈맨]]의 대사에서 '진심으로 간다!' 라는 대사가 나오는데 이는 퓨즈맨 성우인 [[후루카와 마코토]]가 [[원펀맨]]의 주인공 [[사이타마(원펀맨)|사이타마]] 성우였기에 나온 성우개그이다. * [[마법기사 레이어스(TVA)|마법기사 레이어스 TVA]]에서 이글 비전이 세피로의 기둥의 왕관이 있는 방에 진입했을때 거기서 [[에메로드 공주]]의 목소리를 듣게 되는데 이글이 아름다운 여자아이 목소리가 들렸다고 평한다. 허나 이글과 에메로드의 성우는 동일한 [[오가타 메구미]] * [[명탐정 코난]] * TVA 81화~82화 [[인기 아티스트 유괴사건]] - [[에도가와 코난]]의 성우이자 [[TWO-MIX]]의 멤버인 가수 [[타카야마 미나미]]가 본인으로 코난과 동시에 출연했다. [[츠부라야 미츠히코|미츠히코]]의 대사 '''"미나미 씨와 코난 군의 목소리, 똑같아요!!"'''로 대놓고 확인사살. * 대놓고 등장인물들의 일본판 이름자체가 [[사야 아즈나블]]과 [[아무로 레이]]랑 연관된 성우개그가 많다.[* [[아카이 슈이치]] → [[이케다 슈이치]], [[아무로 토오루]] / [[후루야 레이]] → [[후루야 토오루]]. 이외에도 [[카자미 유우야]]와 [[모로후시 히로미츠]]의 이름이 비슷한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그걸 [[오키야 스바루|떡밥]]으로 활용한다. * '''[[메탈기어 솔리드 4]] - [[빅 보스]]와 [[솔리드 스네이크]] 이 둘의 캐스팅 자체가 성우 개그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고. *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TVA에서 철인이라 불리는 [[니시무라 소이치]]가 자주 [[골판지 상자]]를 뒤집어 쓰면서 돌아다니는데 [[메탈기어 시리즈]]의 [[솔리드 스네이크|주]][[네이키드 스네이크|인]][[베놈 스네이크|공]] 성우와 같다는걸 노린 성우장난([[오오츠카 아키오]]} * [[벽람항로]]의 [[칭송받는 자]] 콜라보레이션에 경우 콜라보레이션 참가 캐릭터들인 쿠온, 루루티에, 우루루&사라나의 성우들이 벽람항로에서도 배역이 있다보니[* 쿠온의 성우 [[타네다 리사]]는 벽람항로에서 쇼카쿠&즈이카쿠, 시그넷. 루루티에의 성우 [[카쿠마 아이]]는 벽람항로에서 유니콘, 엑세터, 타카오. 우루루&사라나의 성우 [[사쿠라 아야네]]는 벽람항로에서 프린츠 오이겐을 맡았다.] 이에 얽힌 성우 개그를 대놓고 구사했다. * [[별의 커비(애니메이션)|별의 커비 애니메이션]]에서는 [[쿡 카와사키]]와 카부의 성우가 동일하다는 점 덕에 '별의 디디디' 더빙에 카와사키가 직접 카부 역을 맡았다. * [[붕괴3rd]]의 숙소 가구 중 '매트릭스 당구대'의 아이템 설명을 보면 [[후카(붕괴3rd)|후카]]가 [[하와이]]에서 아버지로부터 당구를 배웠다는 언급이 나온다. 후카의 성우는 [[에도가와 코난]]과 동일한 [[타카야마 미나미]]이고, 코난이 작중에서 걸핏하면 하와이에서 아버지에게 배웠다는 대사를 한다. * [[세토의 신부]]에서 [[터미네이터]] [[T-800]]을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인 [[에도마에]]의 성우가 다름아닌 [[T-800]]의 성우인 [[겐다 텟쇼]]이다. *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Re LIVE-]] *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와의 콜라보 스토리 중에 [[이치가야 아리사]]가 지나가던 [[하나야기 카오루코]]에게 길을 물어보고는 서로 이전에 만난 적 있는 겉 같다고 하는 장면이 나왔다. ([[이토 아야사]]) * [[탐정 오페라 밀키 홈즈]]에서 [[셜록 셰린포드]]와 [[에르큘 바튼]]의 콜라보 캐릭터가 각각 같은 성우가 맡고 있는 [[카구라 히카리]]([[미모리 스즈코]]), [[코쵸 시즈하]]([[사사키 미코이]])로 선정되었다. * [[주간 소년 선데이]] 창간 50주년에서 [[이누야샤(이누야샤)|이누야샤]]에게 어느 주천향인지 몰라도 어중간하게 변했다고 말하는 [[사오토메 란마]]에게 이누야샤가 자기랑 목소리 비슷하단 이야기를 했다.([[야마구치 캇페이]]) * [[수전전대 쿄류저]] 32화의 [[데보 몬스터|등장 괴인]]인 데보 스포콘은 끝마무리 기술 사용시 [[왼손은 거들 뿐]]이라고 외쳤다. ([[쿠사오 타케시]])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 [[릴카라 보그나인]]: [[한지우|아인스트! 넌 내꺼야!!(アインスト、ゲットだぜ!!)]] ([[마츠모토 리카]]) * [[슈퍼로봇대전 V]]에서는 [[블랙 가인|블랙 마이트가인]]이 블랙 동륜검을 쓸 때 [[파이버드|블랙 동륜검 차지 업!]]이라고 한다. ([[마츠모토 야스노리]]) * [[슈퍼로봇대전 W]] * [[싱클라인]]이 [[나가레 료마]]와 대결하게 되었을 때 료마가 주인공스러운 목소리를 하고선 변태짓이나 한다고 깐다. 또한 공격시의 대사 "[[켄시로|내 모습을 본 이상 넌 죽어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와 피탄(소대미지)시의 "[[근육 스구루|별것도 아닌 공격이다]]", 원호공격시의 "[[샤인 스파크|공격의 타이밍을 맞추는거다!]]" 등의 대사가 있다. ([[카미야 아키라]]) * 뇌광구를 발견한 로우 귤에게 [[다이고우지 가이]]가 필살기 이름을 붙여 주려고 하다 만류당하는데 그 필살기 이름이 '[[샤이닝 핑거|필살! 샤이닝...]]'이다. ([[세키 토모카즈]]) * 후지와라 시노부의 경우, 대부분의 또래 캐릭터들은 그를 '시노부'라 부르는데, 코우지만 그를 '후지와라'라 성으로 부른다. 그래서 신이나 F에서는 "하즈키 박사가 부르는 것 같아서 싫다"고 하는 장면이 있다. ([[이시마루 히로야]]) *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 [[솔리드 스네이크]]를 고르고 쉐도우 모제스에서 [[소닉 더 헤지혹|소닉]]을 상대로 무선통신을 하면 [[닥터 에그맨|왠지 저 고슴도치만 보면 화가 난다는 대사를 한다.]][* 스네이크의 성우 [[오오츠카 아키오]]와 닥터 에그맨의 성우 [[오오츠카 치카오]]는 부자관계다.]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 * [[나츄레]] 스피릿과 싸울 때 나츄레 의상을 입은 Mii 파이터 검사가 거대화 회색 [[커비]]를 동료로 끌고 나온다.[* 이쪽은 좀 애매하다. 원작 [[신 광신화 파르테나의 거울]]에서 나츄레의 부하로 등장한 보스 몬스터 [[https://youtu.be/Hq2ymGWrD2U?t=837|강력의 록커]]의 오마주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 * [[모르가나(페르소나 시리즈)|모르가나]]와 [[키타가와 유스케]], [[신(제노블레이드 2)|신]]의 스피릿은 각각 [[피카츄(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피카츄]]와 [[크롬(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크롬]], [[클라우드(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클라우드]]의 보디에 빙의해 있다. * [[시스터 프린세스]] 22화에서 코난 복장을 하고 스케이트 보드를 타고 등장하는 야마다 타로. ([[야마구치 캇페이]]) * [[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 * SIN 2화 예고에서는 아스카가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역습의]] [[나구모 쿄시로|나구모]]'란 말을 하며[* 마침 나구모의 눈 부분만 흑백으로 처리되어 1년전쟁 당시 샤아의 가면을 연상케 한다.], 게임판에서는 나구모가 [[백식|금색 알자드]]를 타고 나온다. ([[이케다 슈이치]]) * SIN 다음 이야기 예고에서 [[스고 아스카]]가 하는 대사들. ([[미츠이시 코토노]]) * '[[츠키노 우사기|아스라다를 대신해!]][* 원래 대사는 '달을 대신해 벌하겠어!'이다. 한국에서는 '정의의 이름으로~'라 알려진 그 대사.]' (3화 예고) * 4화 예고에서는 [[카츠라기 미사토|운명과 숙명 운운하며 장광설을 늘어놓다가]] 마지막에 '[[신세기 에반게리온|신세기]][* 참고로 한글로는 둘 다 '신세기'지만 원어로는 사이버 포뮬러 쪽의 신세기는 '퓨처 그랑프리'라고 읽기 때문에 에반게리온과는 다르다.]'라고 하다 하야토에게 제지된다. * [[쓰르라미 울 적에]] [[마츠리바야시]]편에서는 [[후루데 리카]]가 [[마에바라 케이이치]]에게 [[호시 소이치로|성우를 하는 게 어울릴 것]]이라고 하면서 [[키라 야마토|건담]]을 언급한다. 해당 대사는 용기사07이 손을 댄 원작 동인게임에서만 나오며, 이 동인게임이 성우 보이스가 수록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해당 대사를 넣은 걸 보면 꽤나 마음에 들었던 모양. 다만 원작 대사도 건■이라고 간접적으로 언급되는 정도이며, 이후 컨솔판들에서는 당연히 삭제. * [[쓰르라미 울 적에 례]] [[히루코와시]]편에서는 [[타카노 미요]]가 [[오가사와라 사치코]]의 명대사인 [[타이가 비뚤어졌어]]를 [[류구 레나]]에게 시전한다. 미요와 사치코의 성우가 [[이토 미키]]라 나온 개그. 사실 [[후와라즈의 곡옥]]에 홀린 레나가 먼저 미요에게 [[타이가 비뚤어졌어]]를 해달라고 했다. * [[아니메점장]] 트레블랑(最白) 1편에서는 [[도겐자카 토우야]] 역의 [[코야스 타케히토]]와 코야스 타케히토 역의 코야스 타케히토가 서로의 목소리를 칭찬하기도 했다. * [[아픈 건 싫으니까 방어력에 올인하려고 합니다.]] 개발자 만담 중 기계신 스킬을 얻은 [[메이플(아픈 건 싫으니까 방어력에 올인하려고 합니다.)|메이플]]을 보고 다음엔 [[타카나시 히카리|흡혈귀 같은 데미]]가 되거나 [[미나모토 사쿠라|좀비가 되어 아이돌을 노린다]]던가 하며 [[https://bbs.ruliweb.com/family/211/board/300075/read/30618170|이야기를 늘어놓는다]].(모두 [[혼도 카에데]] 성우 담당 캐릭터.) * [[아즈망가 대왕]]의 연재 10주년 [[무크]]지 [[오사카 만박]]에 실린 코가 료이치의 축전 만화에 그의 작품인 [[니닌가 시노부전]]의 캐릭터 [[온소쿠마루]]와 [[치요 아빠]]가 같이 등장하여 [[와카모토 노리오|목소리가 닮았다고]] 강조하는 부분이 나온다.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 [[어떤 마술의 인덱스땅]] * [[시라이 쿠로코]]와 [[우이하루 카자리]]의 기억에 남을 만한 장면 아이디어 짜기. 우이하루가 처음에는 [[투 러브 트러블|2분에 한 번씩 우연을 가장한 노출신]]을 주문했다가 '지나친 서비스는 번잡하다'고 퇴짜놓고,[* ~~메인은 아니지만~~두 성우다 투 러브 트러블에 나온 성우] 그러자 자신이 [[히라사와 유이|기타를 치고 노래하는건]] 어떠냐고 하자, [[시라이 쿠로코]]가 그런 뻔한 패러디로는 사회가 동요하지 않을거라고 반박한다.(케이온 패러디)--유이하루-- 우이하루가 이럴땐 사텐이 있었으면 하며 아쉬워 하자, 쿠로코가 그 이야기는 안하기로 했다고 대답하는것도 백미.[* 금서목록 본편에서 사텐이 등장하지 않는 것을 패러디] *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 44화에서 유치원생 코스프레를 하고 "폭풍을 부르는 유치원생, [[요시나가 사리]]!" 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는데, 성우인 [[야지마 아키코]]가 크레용 신짱의 [[노하라 신노스케]] 역이라는 것을 사용한 성우개그다. * 관련 음반인 [[https://www.amazon.co.jp/勇者特急マイトガイン-歌のアルバム-イメージ・アルバム/dp/B00005GWVL#featureBulletsAndDetailBullets_secondary_view_div_1491916055397|마이트가인 노래 앨범]] 17번 트랙은 미니 드라마인데, 목욕탕 카운터 아르바이트를 하는 사리와 마이토가 나온다. 해당 트랙 끝부분에서 [[노하라 신노스케|"형아, 봐봐, 코끼리!"]]라는 대사가 나온다. 이것도 사리와 신노스케의 성우가 둘 다 [[야지마 아키코]]라 나온 대사. * [[우주전대 큐레인저 VS 스페이스 스쿼드]]에서 [[루카 밀피]]가 갑자기 나타나 [[랩터 283]]의 마카롱을 뺏어먹는 씬이 있는데, 이때 하미가 둘의 목소리가 닮았다고 한다.(그 캐릭을 맡은 배우/성우가 [[이치미치 마오|M.A.O=이치미치 마오]])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쉽]]이 진행하는 우마무스메 유튜브 공식 채널 영상인 파카튜브에서 골드 쉽이 성대모사를 하는 영상이 있는데 타 우마무스메를 잘 성대모사하다 도라에몽등 온갖 이상한걸 성대모사 하더니 갑자기 마지막에서 [[우에다 히토미]]를 성대모사한다. *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 후루룩!]] 3화에서 [[https://youtu.be/RUPeyjkW3kY|세 유우나가 같이 우동면 반죽을 했다]].(모두 [[테루이 하루카]] 성우 담당 캐릭터) * [[원신]]의 [[HoYoverse|개발사]]는 중국에 소재를 두고 있지만 오타쿠 회사답게 [[붕괴3rd]]에 이어 일본 성우 개그를 간간히 넣고 있다. [[원신/여담#성우 및 수록 관련|항목 참조]]. * [[은혼]] * [[은혼/인기투표편]]에서 [[시무라 타에]]가 [[히지카타 토시로]]를 향해 히지카타 씨, 그쪽은 [[다테 마사무네(전국 바사라)|Let's party!]] 안 해도 되나요? 실은 당신이 제일 Let's party! 하고 싶지 않아요? [[전국 바사라/애니메이션|2기]] 한대니 근질근질한 거 아닌가요!? 라고 말한다. 여기서 2기는 전국 바사라 애니메이션 2기를 뜻 하고, Let's party는 [[다테 마사무네(전국 바사라)|다테 마사무네]]를 상징하는 대사. 다테 마사무네와 히지카타 토시로 둘다 성우가 [[나카이 카즈야]]다. 그리고 호스트 에피소드에서 히지카타는 진짜로 Let's party! 라고 외친다. * [[하세가와 다이조]]는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이카리 겐도]]와 비슷하게 생겼다. 애니 제작진이 이를 의식한건지 성우도 이카리 겐도역의 [[타치키 후미히코]]로 섭외했으며, 43화에서 이카리 겐도와 에반게리온의 패러디가 나온다. 또한 하세가와가 택시 운전 등을 할 때 듣고 있는 노래 테이프는 모두 성우 타치키 후미히코 본인 명의의 노래다. * [[가츠라 고타로]]가 [[은혼/렌호편]]에서 [[건담(MS)|건담]]의 패러디 로봇 건삼을 타고 가츠라, 갑니다!라고 외치고 건삼은 자폭한다. 가츠라의 성우 [[이시다 아키라]]는 [[기동전사 건담 SEED]]의 [[아스란 자라]]를 연기했으며, 아스란은 작중 자폭한다. 점프페스타 2005에서 상영된 은혼에서는 카츠라가 전용 MS인 ZURA를 타고 출격하였는데, 영락없는 자쿠의 모습. 심지어 자쿠를 디자인한 오오카와라 쿠니오의 디자인. 아스란은 [[자쿠 워리어]]에 탑승한 적이 있다. * [[은혼/렌호편]]의 [[엘리자베스(은혼)|엘리자베스]]의 성우는 [[기동전사 건담]]의 주인공 [[아무로 레이]]의 성우 [[후루야 토오루]]고 엘리자베스는 [[건담(MS)]]의 패러디 로봇 건삼을 타고 [[베이다(은혼)|베이다]]와 교전한다. 교전 중 메인 카메라가 당했을 뿐이야라는 대사는 덤. 게다가 베이다의 성우는 기동전사 건담의 라이벌 캐릭터인 [[샤아 아즈나블]]역의 [[이케다 슈이치]]다. * 4기 6화에서 [[쿠로코의 농구]] 패러디가 나오는데 [[기적의 세대]]의 마지막 인물로 환상의 파이브맨 [[쿠로코노 타스케]]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이름부터 쿠로코의 농구의 주인공 [[쿠로코 테츠야]]의 패러디고 성우도 동일한 [[오노 켄쇼]]. * 은혼 극장판에서 지급된 귀멸의 칼날 포스터 카드 특전에선 다른 캐릭터들이 [[소라치 히데아키|소라치]] 스타일로 어레인지 된 반면에 [[히메지마 교메이|교메이]] 혼자 [[사카타 긴토키|긴토키]]에 교메이 코스프레를 시켜놨다. 두 캐릭터의 성우가 [[스기타 토모카즈]]인 점을 이용한 [[성우개그]].[[https://twitter.com/baiko14/status/1347335964016865287?s=19|#]] * [[전여신ZERO]] 어펜드 시나리오에서 나온다. 메이드천사 4인방 중 하나인 아나스타시아와 싸울 때 [[나베리우스(전여신)]]가 다음 마스코트 자리를 뺏겠다고 하고, 옆에서 [[리타 세미후|리타]]가 목소리도 비슷하니 괜찮다고 거드는데, 아나스타시아와 나베리우스의 성우가 [[오오나미 코나미]]라 가능한 드립. 참고로 나베리우스는 공식 쿨데레일 정도로 조용하고 과묵한 반면, 아나스타시아는 실수 많은 의욕만만한 성격이라 정반대의 활달한 어투로 나온다. * [[전자상가의 서점 아가씨]] 애니메이션 12화에서 츠모링이 [[주문은 토끼입니까?]]의 등장인물인 [[우지마츠 치야]]가 일하는 일본식 카페 아마우사안의 유니폼을 입었다. 성우가 둘 다 [[사토 사토미]]. 참고로 주문은 토끼입니까?가 2014년 2분기, 전자상가의 서점 아가씨가 4분기에 애니화되었다. * [[진격! 거인 중학교]] - 담력 에피소드에서 [[리바이]]의 성우 [[카미야 히로시]]가 [[쿠로코의 농구]]에서 [[아카시 세이주로]]의 성우를 맡은것을 활용하여 등장했다. * [[카기나도 시리즈]]의 [[카기나도|1기]] [[https://youtu.be/Kh9kouNZGkM|8화]]에 출연한 캐릭터중 목소리가 나온 6명[* [[사이구사 하루카]], [[후타키 카나타]], [[나카츠 시즈루]], [[호시노 유메미]], [[카나코(토모요 애프터 ~It's a Wonderful Life~)|카나코]], [[사카가미 타카후미]].] 전원이 [[스즈모리 치사토|스즈키 케이코]]가 담당한 캐릭터다. 설정상 [[호시노 유메미]]가 성대모사를 한 것. * [[카미도리 알케미 마이스터]]에서 두 번 나오는데, 한 번은 '[[사티아 세이룬|지식의 여신]]의 납상'을 공방에 배치했을 때 세라위가 '어째 친근감이 있다며 서로 영혼이 부르는 것 같다'고 평가한다. 또 예약특전 어펜드 디스크 설치시 만들 수 있는 특수의장 중에 '례희의 전의隷姫の戦衣'가 있는데 이걸 만들어 세라위에게 장착시키면 윌에게 자신도 모르게 매우 순종적인 말을 하고 깜짝 놀란다.[* 참고로 주인공 윌은 에우슈리 게임 주인공 중에선 매우 온건하고 히로인들을 존중하는 편에 속한다. 원래 세라위도 이 정도로 순종적인 성격도 아니고.] 이 순종적인 말투는 례희에 나오는 메인 히로인인 실피엣타의 말투에서 따온 것. 이는 실피엣타, 사티아, 세라위 셋 다 성우가 [[카와시마 리노]]이기 때문이다. * [[테일즈 오브 판타지아]]의 [[아체 클라인]]은 [[멜론빵]]을 좋아하는데 사실 [[카나이 미카]]가 [[메론빵소녀]]을 맡았다는 성우개그를 연상시켰다. * [[팝 팀 에픽]]에서 [[하야미 쇼]]와 [[나카타 죠지]]가 동시에 '''"[[메이드 인 헤븐(죠죠의 기묘한 모험)|메이드 인 헤븐]]!"'''이라고 외쳤다.[* 둘 다 [[엔리코 푸치]]를 담당한 적이 있다. 전자가 [[죠죠 ASB]], 후자는 [[죠죠 EOH]].] * [[페어리 테일(만화)|페어리 테일]] 애니판에서도 나왔다. [[대마투연무]]편 도중에 경기 결과를 두고 사회자인 마토, [[세이버투스]]의 렉터와 프로시, [[머메이드 힐]]의 리즐리가 [[https://bbs.ruliweb.com/hobby/board/300075/read/16252428|만담을 펼치는 장면]]이 추가되었는데 이 4명의 성우는 각각 [[후지와라 케이지]], [[야지마 아키코]], [[코오로기 사토미]], [[나라하시 미키]]. 즉 [[크레용 신짱]]의 [[노하라 신노스케|신노스케]] 가족 4인방의 성우다. 본래 원작 코믹스에서는 저 4명이 엮이지도 않는데도 애니판에서 만담하는 장면을 추가한 것을 보아 대놓고 노리고 만든 씬이다. * [[페르소나5]]에서 [[시도 마사요시]]와 보스전을 치를때 복장이 심히 [[사야 아즈나블|세배 빠른 그분]]을 연상시킨다. * [[포켓몬스터 썬&문]] 93화에서 여배우 본능이 발동한 [[로사(로켓단 삼인방)|로사]]가 자기소개를 할 때 각종 코스프레가 나오는데, 코스프레 하나하나가 성우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지금까지 맡은 수많은 캐릭터들이다.[[https://m.blog.naver.com/hanee218/221391835986|#]] 참고로 이 중 [[하이바라 아이|홍장미]]와 [[아야나미 레이|레이]]는 [[우정신|한국에서도 통하는]] 성우 개그. [[파일:무사바바라.gif]] * [[프로젝트 크로스 존 2]]에서 우라시마 치즈루가 '긴급 가속장치'를 기동시키기 위해 [[엑스(록맨 시리즈)|엑스]]와 [[아리스 레이지]]에게 해당 대사를 외쳐달라고 재촉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는 두 캐릭터의 성우가 각각 [[사이보그 009]] 헤이세이/쇼와판의 시마무라 죠의 성우를 맡았기 때문. 실제로 시마무라 죠의 특수 능력이 가속장치이다.. * [[프로젝트 크로스 존 2]]에서 [[캡틴 코만도(캡틴 코만도)|캡틴 코만도]]와 [[제로(록맨 X 시리즈)|제로]]가 서로를 칭찬해 주는 상호대사가 있는데, 둘의 대화를 들은 [[엑스(록맨 X 시리즈)|엑스]]가 '''"자화자찬 같은 건가, 이거?"'''라고 의문을 갖는다. 제로와 캡틴 코만도의 성우는 [[오키아유 료타로]]로 동일.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의 등장인물 [[치카(프린세스 커넥트! Re:Dive)|치카]]의 쓰리사이즈는 80-56-82인데 이는 담당 성우 [[후쿠하라 아야카]]의 대표 배역 [[시부야 린]]의 쓰리사이즈 80-56-81의 패러디다. 정작 치카의 일러스트가 너무 슬렌더해서 그렇게 안 보이는 게 함정. 이후 린이 프리코네에 콜라보로 등장했을 때는 가챠 한정 캐릭터인 린 대신 치카의 메모리 피스를 이벤트에서 뿌리기도 했다.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애니메이션 1기)]][*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애니메이션]]의 감독인 [[카나사키 타카오미]]가 감독을 담당해서 그런지 성우 개그 외에도 코노스바와 겹치는 요소가 있다.] * 10화에서 한스가 [[미야코(프린세스 커넥트! Re:Dive)|미야코]]에게 빙의되어서 푸딩을 만들고 푸딩은 온도가 생명...이라고 되뇌이는데, 이는 해당 캐릭터를 담당한 성우인 [[츠다 켄지로]]가 담당한 [[한스(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한스]]가 아르칸레티아에서 주민들의 [[아쿠시즈교]] 가입 권유에 시달린 나머지 세제와 비누를 되뇌이는 것과 유사하다. 마침 캐릭터명도 한스로 같고, 미야코 및 아쿠시즈교의 숭배신인 [[아쿠아(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아쿠아]]의 성우가 [[아마미야 소라]]로 같다. * 10화에서 미야코가 [[페코린느]]가 만든 푸딩을 먹고 승천하던 도중 푸딩 재료로 매미가 사용된 것을 보고 무지개색 구토를 하며 쓰러지는데, 이는 해당 캐릭터를 담당한 성우인 아마미야 소라가 담당한 아쿠아가 만취해서 무지개색으로 구토를 하는 것과 유사하다. * [[하야테처럼!(애니메이션 1기)|하야테처럼! 1기]] 33화에서 [[후쿠야마 쥰]]과 [[사쿠라이 타카히로]]가 [[코드기어스 반역의 를르슈]]에서 직접 연기한 두 캐릭터를 패러디한다. * [[크레용 신짱]]에서 [[노하라 신노스케|신짱]]이 코난 코스프레하기 위해 [[혼다 케이코]]를 불러 내레이션을 부탁했다. * [[KOF 2002]]에서 [[K9999]]가 [[시마 테츠오|KUSANAGI이이이이!]]라고 외치자 [[KUSANAGI]]가 [[카네다 쇼타로(AKIRA)|'씨'를 붙이라고, 마빡이 새끼야!]]라고 맞받아친다. * [[KOF XI]]에서 [[죠 히가시]]가 불참한 대신 [[텐도 가이]]가 에디트 캐릭터로 출연을 하였다.[* 복장도 상의 탈의도 하고 열혈 쓰러운게 똑같다. 유리의 경우 가이 한정 승리 메시지에서 가이에게 허리케인 어퍼를 외쳐보라고 말하기도 한다.]([[히야마 노부유키]]) * [[SHUFFLE!]]의 팬디스크 [[리얼리 리얼리]]에서 [[후요우 카에데]]가 게임 중 뜬금없이 [[아사히나 미쿠루|금칙사항입니다]] 라는 말을 한다.(고토 유코)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18화 예고편에서 [[에밀리아(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에밀리아]]가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의 [[메구밍]]에 [[타카하시 리에|빙의되어]] [[폭렬마법]]을 시전한다.[* 이런 예고편이 나온 이유는 각본을 코노스바 작가인 아카츠키가 맡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리제로 작가인 나가츠키와도 친하다고 한다. 참고로 나카츠키는 [[아쿠시즈교]]에 속해있다고 밝힌적이 있었는데, 제일 좋아하는건 또 에밀리아란다(...)] 이 둘은 [[이세계 콰르텟 2]] 5화에 발렌타인 초콜릿 건으로 서로 이야기했고 6화에선 스바루와 메구밍이 티키타카를 했다. 1기 때는 의외로 메구밍과 글란츠 중위와 엮였는데, 이 또한 스바루-에밀리아 담당 성우라 노린 조합이었다. * [[라스트 피리어드]] [[쓰르라미 울 적에]] 콜라보 에피소드에서 [[쵸코(라스트 피리어드)|쵸코]]와 [[후루데 리카]]가 서로의 말버릇을 따라했다.([[타무라 유카리]]) * [[일하는 세포]]의 등장인물인 킬러 T세포가 내지르는 기합소리는 [[오라오라]]([[오노 다이스케]]) * [[J 스타즈 빅토리 버서스]] * [[죠셉 죠스타]]와 [[사카타 긴토키]]가 만나면 죠셉이 "네가 다음에 할말은 '어라? 어딘가 나와 [[스기타 토모카즈|닮았는데?]]'라고 한다!"라고 한다. 그걸 당하는 긴토키와 이를 보며 황당해하는 신파치는 덤. * [[아카이누]]가 [[카구라(은혼)|카구라]]를 보고 "여기는 전쟁이다. 꼬맹이는 집에서 잠이나자!"라고 일갈하는데 카구라는 "[[타치키 후미히코|목소리]]는 [[마다오]]인 주제에 명령하지말라해!"라고 한다. * [[아카이누]]가 [[보보보보 보보보]]와 대면하면 아카이누가 네놈 목소리가 짜증난다고 일갈한다. 보보보는 "나도 용서안한다. 보보보보 보보보니까!"라고한다. 보보보보 보보보의 성우는 [[코야스 타케히토]]로 원피스의 [[쿠잔]]과 같다. * [[보보보보 보보보]]와 [[죠나단 죠스타]]가 만나면 "[[디오 브란도|역사의 어둠에 영원히 가라앉아라!]]"라는 [[팬텀 블러드|원작]]의 명대사를 죠나단이 외치고 보보보는 "역사의 아프로에 영원히 가라앉아라!"라고 맞받아친다. * [[몽키 D. 루피]]와 [[럭키맨]]이 대면하면 럭키맨이 "럭키,쿠키,몬자야키!"라고 외치고 루피는 "[[도리&브로기|도리,브로기]],[[프랑키]]!"라고 외친다. * [[점프 포스]] * 뜬금없이 [[쿠죠 죠타로]]와 [[셀]]의 상호대사가 있는데 죠타로가 스타 플래티나의 속도에 따라올 수 있겠냐고 묻자 셀이 자신도 스피드에는 자신이 있다고 대답한다. [[DIO]]의 드라마CD판 성우가 셀의 [[와카모토 노리오]]라는것을 생각하면 묘하다. * 이거와 마찬가지로 [[DIO]]와 [[아바라이 렌지]]가 엮였는데, DIO가 사신들마저 지배해주겠다고 하자, 렌지가 흡혈귀 따위에게 질수 있을 것 같으냐!라고 하는데 렌지의 성우 [[이토 켄타로]]는 [[은두르]]의 성우이다. * [[세인트 세이야]]와 [[쿠치키 루키아]]도 상호대사로 엮였는데 세이야는 여자에게 주먹을 써서 무슨 소용이 있냐고 외치고 루키아는 응석부리지 말라고 한다. 세이야의 성우는 [[쿠로사키 이치고]]의 [[모리타 마사카즈]]다. * [[Fate/Grand Order]]의 [[멜트릴리스|수수께끼의 얼터에고 Λ]]의 인연대사 중 [[마르타(Fate 시리즈)|마르타]]에게 완벽한 목소리라고 칭찬하는 대목이 있는데 람다와 마르타의 성우는 둘 다 [[하야미 사오리]][[자화자찬|다.]] * [[파이널 판타지 14]]의 [[테미스(파이널 판타지 14)|테미스]]의 언동은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나기사 카오루]]를 오마쥬했으며, 성우 역시 동일한 [[이시다 아키라]]이다. 프로듀서인 [[요시다 나오키]]도 목소리가 이시다 아키라이니까 다들 눈치챘을 거라고. * [[파이어 엠블렘 if]]의 --정발에서 잘린--DLC중 하나인 인연의 암야제에서 [[카밀라(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카밀라]]가 복장을 갈아입기 전 [[안나(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행상인]]의 목소리가 [[셀레나(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익숙하다는 듯]]한 말을 한다. * [[거울 속 외딴 성]]의 마사무네가 작중 후반부에 에도가와 코난의 명대사인 '진실은 언제나 하나'를 말한다. * [[주술회전]]의 예고편 영상 중, [[판다(주술회전)|판다]]가 소수를 세며 진정하자고 한다. [[세키 토모카즈]]가 맡은 [[엔리코 푸치]]의 대사 == 북미 == * [[스컬걸즈]]의 [[필리아(스컬걸즈)|필리아]], [[세레벨라]], [[피콕(스컬걸즈)|피콕]], [[스퀴글리]]의 18번 컬러는 모두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의 캐릭터들을 패러디했는데, 이것이 바로 각각 해당 캐릭터들의 북미판 성우가 같다는 점을 이용한 성우 장난이다.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 - [[키타가와 유스케]]의 스피릿은 [[크롬(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크롬]]의 보디에 빙의해 있다. 일본판과 같은 케이스. * [[픽사]]의 [[카(애니메이션)|카]]의 엔딩에서 존 라첸버거가 [[몬스터 주식회사]], [[토이 스토리]], 카 세 작품에 나와 성우 돌려쓰기를 했다고 스스로를 까기도 했다. 사실 존 라첸버거는 이후 픽사의 '''모든 작품'''에 출연하여 현재는 그가 맡는 캐릭터가 일종의 [[이스터 에그]]로 여겨진다. * [[GLaDOS]]의 성우로 유명한 [[엘렌 맥클레인]]이 [[퍼시픽 림]]에서 로봇 A.I 성우를 맡았는데 일부러 GLaDOS의 음성과 비슷한 톤으로 작업이 되었다. [[기예르모 델 토로|퍼시픽 림 감독]]이 포탈 팬이어서 일부로 A.I의 성우를 엘렌 멕클레인으로 캐스팅한 것.[* 엘렌 멕클레인과 관련한 성우 개그는 여러개 더있는데 엘렌 멕클레인의 실제 남편분이 [[팀 포트리스 2]] [[스나이퍼(팀 포트리스 2)|의 성우]]인데 엘렌 멕클레인은 팀 포트리스 2에서 [[관리자(팀 포트리스 2)|관리자]] 목소리를 맡았다. 사실 엘렌 멕클레인은 [[밸브 코퍼레이션]]사의 주요 게임에 전부 출연해서(하프 라이프 2 - 콤바인 감시자 / 포탈 시리즈 - 글라도스, 터렛, 호기심 코어, 케이크 코어, 케롤린 / 레프트 4 데드 2 - 위치 / 팀 포트리스 2 - 관리자) 성우개그 소재가 상당히 많다.] * [[주토피아]]의 듀크 위즐튼(Duke Weaselton): '위즐튼! 듀크 위즐튼이야!'라고 버럭거린다. [[겨울왕국]]의 [[위즐튼의 공작|위즐튼]]과 같은 성우인 [[앨런 투딕]]이 연기해서 등장한 패러디. 듀크 위즐튼도 직역하면 '위즐튼 공작'이란 뜻이 된다. * [[언차티드(영화)|언차티드]]에서 원작 게임의 주인공 [[네이선 드레이크]]역을 맡은 [[놀런 노스]]가 카메오로 출연해 "나도 래본적 있어!" 라는 개그를 날린다. * [[퓨쳐라마]]에서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의 제이크가 등장하는데 제이크와 [[벤더 벤딩 로드리게즈]]의 성우는 모두 [[존 디마지오]]가 맡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성우 개그, version=88, paragraph=3)] [[분류:성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