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지명]][[분류:성남시]][[분류:수정구]][[분류:중원구]] ||<-4> '''{{{#000 [[성남시|{{{#000 성남시}}}]]의 {{{#000 지역군(원도심)}}}}}}''' {{{#000000 '''{{{+1 성남 본시가지}}}'''[br] 城南 本市街地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너비=100%, 높이=100%)]}}}|| ||<-2> '''광역자치단체''' ||<-2> [[경기도]] || ||<-2> '''기초자치단체''' ||<-2> [[성남시]] || ||<-2> '''별칭''' ||<-2> '''성남원도심'''(城南原都心) [br] '''구성남'''(舊城南)[* 성남(분당, 판교 포함) 및 주변 지역에서 부르는 통상명칭.] [br] '''수정중원 대생활권'''[* 2020 성남기본도시계획 상 명칭.] [br] '''북부 지역중심'''[* 2035 성남기본도시계획 상 명칭.] || ||<-2> '''하위 행정구역''' ||<-2> [[중원구]] [[성남동(성남)|성남동]], [[하대원동]], [[상대원동]], [[중앙동(성남)|중앙동]], [[금광동]], [[은행동]][br][[수정구]] [[수진동]], [[태평동]], [[신흥동]], [[단대동]], [[산성동]], [[양지동]] || ||<-2> '''면적''' ||<-2> 72.38㎢ || ||<-2> '''인구'''[* 2023년 8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 통계]]] ||<-2> [[수정구]]: 154,082명[* [[신흥동]], [[태평동]], [[수진동]], [[단대동]], [[산성동]], [[양지동]]] [br] [[중원구]]: 186,209명[* [[성남동(성남)|성남동]], [[중앙동(성남)|중앙동]], [[금광동]], [[은행동]], [[상대원동]], [[하대원동]]] [br] 본시가지 합계: 340,291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성남 본시가지'''(城南 本市街地), '''성남원도심'''(城南原都心)은 [[성남시]]의 [[원도심]]인 [[수정구]]와 [[중원구]]를 뜻한다. 다만, [[수정구]] [[위례신도시]]에 포함된 [[창곡동(성남)|창곡동]], [[복정동]], [[시흥동]], [[고등동(성남)|고등동]] 및 [[중원구]] [[여수동]], [[도촌동]], [[갈현동]]은 제외한다. 통칭은 '''구성남'''(舊城南). 2020 성남도시기본계획 상으로는 “수정중원 대생활권”이라고 불렸다[* 다만 수정중원 대생활권은 [[위례신도시]] 지역을 포함한다.]. 성남의 원도심은 [[1970년대]] 건설된 도시로, 형성 시기가 다른 [[분당신도시]] 및 [[판교신도시]]와 함께 성남 3대 생활권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부동산]]에서는 0기 신도시라고도 한다. 재개발 및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한 곳이다. 수정구와 중원구의 인구를 합하면 2023년 8월 기준 443,567명으로 [[목동신시가지아파트]]를 끼고 있는 [[서울특별시]] [[양천구]]와 비슷하나, 474,510명에 달하는 [[분당구]] 인구보다는 적다. 성남 원도심 전체의 인구가 분당·판교의 인구보다 적다는 것이다. 수정구와 중원구에 속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분당·판교에 연담화된 생활권으로 분류되는 [[고등동(성남)|고등동]], [[시흥동]], [[도촌동]]과 [[위례신도시]] 지역을 제외하고 본시가지만 한정하면 격차는 340,291명으로 더 벌어진다. 사실상 [[성남시]]의 중심이 분당으로 옮겨간 셈이다. == 명칭에 대해 == [[성남시]]에서 사용하는 “성남”이라는 지명은 다음과 같은 용례로 사용된다. 1. [[모란역]] 일대: 행정구역상 [[성남동(성남)|성남동]] 소재. 가장 좁은 의미의 성남. 1. “성남 본시가지”(원도심): 가장 대표적인 용례, 부동산 업계에서 사용하는 의미이다. 중생활권으로서의 “(구)성남”을 의미하며 [[분당신도시]]와 [[판교신도시]]에 대비하여 사용한다. 1. 2에서 [[고등동(성남)|고등동]], [[시흥동]], [[여수동]], [[도촌동]], [[위례신도시]]를 포함한 지역: 행정구역상 [[수정구]]와 [[중원구]]로, “[[분당구|분당]]”에 대비하여 사용. 지역 구분을 “성남/분당”으로 표기하는 경우, 이때 “성남”이라는 단어가 3번 의미를 뜻한다. 그리고 3번 용례는 분당을 성남의 일부가 아닌, 독립된 행정구역에 준해 바라보는 시각이 가장 강하게 담긴 용례이다. 1. [[성남시]] 전체: 가장 넓은 의미의 “성남” 2035년 성남도시기본계획에 따르면 이 지역의 공식 명칭은 '성남 본시가지' 또는 ‘원도심’이다. 다만 '구성남(舊城南)' 혹은 옛 명칭인 “광주대단지”라는 말로 자주 불린다. 1980년대 이후 새로 조성된 신도시인 [[분당신도시]] 및 [[판교신도시]]와 비교하며 수정구나 중원구를 낮게 보는 뉘앙스가 깔려 있어 지역주민들은 이 단어를 별로 좋아하지 않고 "원도심"이라고 불러달라고 한다. 비슷한 맥락으로 구시가지/구도심이라는 표현도 흔히 쓰인다. 강경한 [[분당구]] 분리론자 사이에서는 “구성남” 혹은 “구시가지”라는 용어를 다른 이유로 싫어하는 경우도 있다. 왜냐하면, 분당이 “성남 신시가지”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성남(원도심)은 구성남이 아니라 그냥 성남”이고, “분당은 별개”라고 주장한다. 본 문서는 '본시가지' 및 '원도심'을 주로 사용한다. ==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광주대단지 사건)] 성남의 본시가지는 [[분당신도시]]를 비롯한 신도시 지역들보다 이른 [[1971년]]부터 본격적으로 개발된 지역이다. 당시엔 성남시가 아닌 경기도 광주군[* 오늘날 [[광주시]]의 전신으로, 현재의 광주시+성남시+하남시를 관할했고, 60년대 이전에는 지금의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까지 전부 광주 땅이었다.] 성남출장소 소속으로, '''광주대단지'''(廣州大團地)라 불리는 지역이었다. 흔히 성남 구시가지를 [[난개발]]된 지역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오히려 광주대단지는 바둑판식으로 지어져 당대 기준으로 [[계획도시]]에 가까운 도시였다.[* 성남 원도심이 바둑판식 계획도시는 맞지만 험준한 지형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바둑판이라는 것도 난개발이라는 오해에 한몫했다.] 어찌보면 광주대단지 설계 과정에서 얻은 노하우 및 교훈이 [[서울특별시/강남|강남]] 개발 및 [[1기 신도시]] 개발에 영향을 줬다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문제가 있었다. 광주대단지가 '''맨땅에 기초적인 야영지만 지어놓고 주민들을 내팽겨친''', 그야말로 사람이 살 수 없는 베드 온리 타운의 극단적인 사례였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주민들은 8.10성남민권운동([[광주대단지사건]])을 일으켜 당시 [[서울특별시장]]인 [[양택식]] 시장에게 항의하게 된다. 이를 받아들인 양택식 서울시장은 광주대단지(성남출장소)를 [[성남시]]로 승격시킬 것과 주민의 요구를 전부 수용할 것을 약속하며 사건은 주민들의 승리로 끝나게 되었다. 주민들 입장에서는 승리였겠지만, 대외적으로는 [[폭동]]으로 매도되어 왔다가 최근에야 민권운동 참여자들에 대한 명예회복이 되었다. 시간도 많이 흘렀을 뿐만 아니라 서울시 측에서 지속적으로 사과해왔기에 오늘날에는 성남시민들의 서울에 대한 [[지역감정]]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이 사건 이후 현 수정구, 중원구 지역에서 서울로 가는 교통편이 대거 정비되었고, 가장 대표적인 예가 [[서울 지하철 8호선]]과 [[분당선]]이다. 특히 8호선은 건설 목적 자체가 광주대단지사건에 대한 서울시의 성남시를 위한 보상이므로, 수익자 부담 원칙의 예외로 완전히 서울 주도로 건설되었다. == 해당 지역 == * [[중원구]][* [[성남시청]]은 [[여수동]]에 소재하는데 원도심 지역에 속하지 않는다.] * '''[[성남동(성남)|성남동]]''': 구청 소재지 * [[하대원동]] * [[상대원동]] * [[중앙동(성남)|중앙동]] * [[금광동]] * [[은행동]] * [[수정구]] * [[수진동]] * [[태평동(성남)|태평동]] * '''[[신흥동]]''': 구청 소재지 * [[단대동]] * [[산성동]] * [[양지동]] == 도시구조 == 구시가지의 상징과도 같은 '''지옥의 경사로.''' [[http://kko.to/P_meY3hjp|비슷한 카카오맵 로드뷰]] 위키백과에는 성남시의 미친 경사라고 나와있다. 약간의 상 왜곡[* 내리막에서 아래를 향해 사진을 찍으면 반대편 오르막의 경사도가 실제보다 훨씬 크게 보인다.]이 있긴 하지만 성남시민 입장에서는 오히려 체감경사를 잘 표현해준 사진이다. [[파일:external/photo-media.daum-img.net/20120312134526035.jpg]] 딱 봐도 절대 낮고 완만한 언덕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이 사진은 영화 [[인셉션]]이 나왔을 무렵 '''인셉션 실사판'''이라는 제목으로 돌아다닌 적이 있다. 혹자는 [[네모바지 스폰지밥]]에 등장하는 '메롱시티' 실사판이라고 한다. 사진 속 언덕은 [[수정구]] 태평동 탄리로131번길 & 탄리로132번길. 참고로 저 언덕과 같은 라인에 [[성남 버스 77|마을버스]]가 운행되는데 겨울에는 미친 경사로 인해서 버스 운행노선을 바꾼다. 버스회사도 꺼리는 노선 운행. 초행길 외지인이 저 언덕으로 버스 타고 올라가면 진짜 트라우마가 생길 정도로 무섭다. 실제로 언덕이 너무 심해 차를 끌고 올라갔다가 못 내려오는 사람도 있다. 물론 평상시에도 저러는데 눈오고 빙판길 생기는 겨울은 그야말로 [[헬게이트]]. 그럴 경우 그나마 경사가 덜한 곳으로 우회해서 다니는 주민들도 이따금씩 보인다. 성남 본시가지는 1960~70년대 광주대단지 조성 당시 산을 깎아내는 과정없이 마구잡이식으로 건설한, 쉬운 말로 평탄화 작업을 하지 않고 나무만 베고 그대로 집을 지은 지역이기 때문에 주거환경이 나쁘다. 이 당시에는 쌀자급이 목표였던 시대이고 녹화사업이 오래전의 일이 아니었으며, 또한 국유지가 대부분인지라 땅값이 쌌기 때문에 평지가 많은 분당은 냅두고 산투성이인 구성남이 먼저 개발된것이었다. 그래서 지도만 보면 의외로 도로망이 깔끔하지만, 고개가 많은 험난한 지형에 마구잡이식으로 건축된 주택들이 많다. 성남시에서 평지란 과거 지형상 '''계곡과 골짜기'''였던 곳. 오죽했으면 겨울에 폭설이 내리면 몇몇 지역에 밧줄이 설치된다. 그리고 그 지역들은 이 밧줄을 쓰지 않으면 '''올라갈 수 없다.'''[* 특히 폭설이 많았던 2009년 겨울에는 도로가 얼어붙은 탓에 설종합시장 주유소 사거리, 상대원 고개 등의 구역에 밧줄이 설치되어 주민들이 밧줄을 잡고 경사를 오른 적도 있었다.] 이런 겨울에는 민원도 끝없이 들어와서 공무원들을 괴롭힌다.[* 분당을 제외한 성남 대부분이 [[홍콩|언덕 지형인데다 차량밀도가 굉장히 높고 주차시설은 열악한 상황]]이라 저절로 주차실력이 늘 수밖에 없다. 게다가 출퇴근 시간에는 서울을 왕래하는 차량행렬이 엄청나기 때문에([[경충대로]], [[성남이천로]] 등) 수시로 곡예운전과 전투운전을 해야만 한다.] 게다가 [[서울공항]] 때문에 일부 지역에는 고도제한까지 걸려 있었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부터 고도제한 완화 특혜 논란 속에 서울시 [[송파구]]에 지어진 잠실 [[롯데월드타워]] 때문에 이 지역 역시 그에 상응하는 고도제한 완화를 요구하였고, 이에 성남 전지역은 30층 이상으로 건축하는 것이 [[http://www.areyo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212|가능해졌다.]] 또한, 급격한 재개발로 인해 아파트 위주의 생활공간이 점차 넓어지는 추세다. 재개발 건설사와 지방자치단체의 비리를 다룬 영화 [[아수라(영화)|아수라]]에 나오는 가공의 도시 안남시의 '남' 이 성남에서 딴 글자일 정도로 성남시내 대부분 주거공간이 현재 재개발 과정에 놓여있다. 실제 성남시 인구의 약 40%라고 할 수 있는 본시가지의 절반 이상 가구(5만 가구)가 재개발 진행과정 중에 있다. 이에 언론에서는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703_0000030262|'''성남원(구)도심 전체가 "공사판"''']]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당연한 것이지만, 일단은 평지 지역 부터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주로 [[산성대로]] 주변이 타겟이다. 아래 사진은 재개발된 본시가지 전경. [[파일:external/www.newsspace.co.kr/b12f6d82aecddea76ff4bda181473ace130755.jpg]] 수정구의 구의 이름은 '''수'''진동과 복'''정'''동[* [[복정동]]은 엄밀히 본시가지 소속은 아니다.]에서 한글자씩 따왔고 중원구의 구의 이름은 '''중'''동(현 '''중'''앙동)과 상대'''원'''동에서 한글자씩 따왔다[* 분당구는 [[분당동]]에서만 이름을 따왔는데 당시 [[분당시범단지]]가 [[서현동]]에 속해있으나 행정동은 [[분당동]]이었기 때문이다. 분당구 행정동 거의 대부분이 분당동에서 분동해 나갔다.] == 주변 지역과의 관계 == * [[서울특별시]]: [[광주대단지사건]] 이래 애증의 관계. 상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 [[광주시]]: 성남 개발 이전부터 교류가 많았으며 [[모란시장]]과 [[경안동]]을 오가는 대중교통도 많다. [[수도권 전철]]은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이 성남과 광주를 이어주나 원도심이 아닌 [[분당신도시]] [[이매역]]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분당선]]으로 한번 환승해야 한다. * [[중원구]]-[[수정구]] 상호 관계: 외부에서는 두 지역이 사실상 한몸으로 여겨지지만 내부의 소지역갈등도 있다. [[성남시청]]이 [[분당구]]와 가까운 여수지구로 옮겨갈 때 [[수정구]] 지역은 결사반대했지만, [[중원구]]에서는 오히려 [[모란역]]이나 [[상대원동|상대원공단]] 지역에서 가기 편하다며 이전 지지 여론도 상당했다. 오히려 시청이 이전하면 유리해지는 [[분당구]]에서 찬성 여론이 지지부진했다. * [[분당구]]: [[분당신도시]] 개발 이후 [[중원구]]로부터 [[분당구]]가 분리해 나갔다. 이후 '''분당시 분리승격 문제''', '''분당학군 지정 문제'''[* 성남 단일학군에서 분당신도시 학군을 분리해달라는 요구(즉 분당교육지원청 신설 요구)였는데, 이를 거절한 대신 1/2구역으로 나누어 일단락되었다. 성남시에서 편찬한 지역사에도 수록된 사건임.]로 많은 갈등이 있었다. 예전보다는 지역간 교류가 많아져 [[모란시장]]은 분당구민들도 장을 보러 많이 오며 반대로 원도심에서 [[서현역]]이나 [[정자역]]으로 놀러온다. 하지만 [[신분당선]]의 개통과 [[경부고속도로]] 확장의 영향으로, 한번도 원도심 지역을 가본 적 없는 분당구민들도 있다. * [[판교신도시]]: [[야탑역]]을 허브로 판교-모란을 이어주는 버스들이 많다. [[서울 지하철 8호선]] 판교 연장도 계획중에 있다. 다만 이는 동판교 한정으로, 서판교 지역인 [[운중동]]과는 교류가 거의 없다. * [[갈현동]]: 본시가지와 [[분당신도시]] 사이 1km 폭 정도의 [[그린벨트]]지역. 논밭이나 산림으로 되어 있는 구역이 있는데 연꽃 재배단지가 있었다고도 한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중원구]]이다. * [[위례신도시]]: 행정구역상 [[수정구]]이나 본시가지 소속은 아니고, 오히려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연담화되어 있다. 구도심-신도심으로 교류가 없을것 같지만 [[공원로(성남)|공원로]]의 개통과 [[헌릉로]]의 확장으로 교류는 어렵지 않은 편. 버스 노선도 많이 생기고 있고 [[서울 지하철 8호선]] [[남위례역]]이 개통되어 성남 본시가지와 위례신도시간 교통이 편리해졌다. [[창곡동(성남)|행정동 위례동]]은 실질생활권을 성남 본시가지가 아닌 [[송파구]]에 두고 있지만, 의의로 행정서비스는 본시가지에 의존하고 있다. [[수정구|수정구청]]이 본시가지인 [[신흥동(성남)|신흥동]]에 있기 때문. 본시가지의 학생들이 위례의 학교에 진학하거나, 학원으로 통학하는 사례도 보이고 있다. 위례는 성남학군 1구역으로 분류되어 원도심과 학군을 공유하고 있다. 성남시 도시개발계획 상으로는 '''"수정중원 대생활권"'''(현 "북부 지역중심")의 일부로 되어 있다. * [[여수동]], [[도촌동]]: 행정구역상 [[중원구]]이나 본시가지 소속은 아니고, 오히려 [[분당구]]에 연담화되어 있다. [[성남시청]] 이전 배후지로 여수동(일명 여수지구)이 개발되고, 원도심 재개발/도시재생 사업의 일환으로 이주민들을 위해 도촌동(도촌지구)이 개발되었다. 도촌동 주민들 사이에서는 한 때 [[분당구]] 편입 여론이 일기도 했다. [[중원구]] 본시가지와는 달리 학군은 '''성남학군 2구역''' 소속으로 이 지역에 거주하는 학생들은 [[분당구]]로 배정이 된다. * [[고등동(성남)|고등동]], [[시흥동]], [[복정동]]: 행정구역상 [[수정구]]이나 본시가지 소속은 아니다. == 교통 == 앞서 언급된 [[광주대단지사건]]에 대한 보상으로 지어진 [[서울 지하철 8호선]]이 성남 본시가지를 관통한다. 8호선은 사실상 '''성남 원도심의, 원도심에 의한, 원도심을 위한 노선'''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분당구보다 수정, 중원구를 많이 지난다. 반면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분당'''선이라는 이름이 붙은 만큼 분당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나 본시가지에서의 접근성도 나쁘지 않다. [[신분당선]]은 [[시흥동(성남)|시흥동]] 쯤에서 본시가지를 지나가지만 역은 없다. ||<-2> [[파일:성남시 CI_White.svg|height=25px]] '''{{{#ffffff 성남 본시가지의 철도역}}}''' || || '''철도명''' || '''역명''' || || [[파일:Seoulmetro8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8호선|{{{#000 서울 지하철 8호선}}}]] || [*A [[복정역]]은 수정구 [[복정동]]의 이름을 땄으나,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에 위치한다.] [[산성역]] - [[남한산성입구역]]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성남)|신흥역]] - [[수진역]] - '''[[모란역]]''' || || [[파일:SB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000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A] [[가천대역]], [[태평역]], '''[[모란역]]'''[* [[야탑역]]부터는 [[분당신도시]]에 있다.] || 시내버스의 경우 [[성남시 버스 목록]] 및 [[광주시 버스 목록]] 참조. == 정치 == 현재 [[더불어민주당]] 대표인 [[이재명]]의 정치적 고향이며[* 초등학교 졸업 후 소년공 생활을 여기에서 했으며, 이 곳을 거점으로 시민운동을 했다.], [[제20대 대통령 선거]] 때 이재명 득표율이 경기도에서 가장 높은 곳이었다. == 관련 문서 == * [[원도심]]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성남시, version=2150, paragraph=5.5.1)]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성남시/교통, version=124, paragraph=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