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 [[파일:1251_6300.png|width=100%]] || [[파일:KD1251-b.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성남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성남시 직행좌석버스 1251번}}} || ||<-6><:>{{{#!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성남 1251 노선도.png|width=100%]]}}}|| ||<-2><:>기점||<:>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기흥구청)||<-2><:>종점||<:>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강남역)|| ||<|2><:>종점행||<:>첫차||<:>05:00||<|2><:>기점행||<:>첫차||<:>05:40|| ||<:>막차||<:>23:30||<:>막차||<:>24:10|| ||<-2><:>평일배차||<:>평시 20분/출퇴근 15분||<-2><:>주말배차||<:>30분|| ||<-2><:>운수사명||<:>[[대원버스]]||<-2><:>인가대수||<:>6대[* 토요일 5대, 공휴일 3대로 운행했다.]|| ||<-2><:>노선||<-4><:>기흥구청 - 신갈면허시험장(신갈역) - 연원마을(구성역) - 보정역 - 죽전역 - 동천역 - 머내 - [[서울TG]] - 궁안마을 - 낙생고등학교 → [[경부고속도로]]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 양재시민의숲 → 경부고속도로 → 이후 역순|| == 개요 == [[대원버스]]에서 운행했던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기흥과 강남을 이었다. == 역사 == === 화려했던 2002번 시절 === 이 노선의 전신은 2002번 버스로, 90년대 말 [[경기교통]]에서 개통해 죽전동성아파트 - [[양재역]] 구간을 운행했다. 당시만 해도 분당에서 강남까지 가는 가장 빠른 버스 중 하나로, 수요가 상당히 많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종의 편법으로 '-1'만을 붙여서 [[용인 버스 1241|2002-1번]]을 개통할 정도였으니 말 다했다. [[경기교통]] 부도 이후 [[경남여객]]으로 넘어가게 됐고, 이로 인해 기점을 [[강남대학교|강남대]]로 변경해 운행하다 동백지구의 입주 시작 이후 동백지구 교통대책의 일환으로 동백까지 연장됐다. 그러다가 2008년 8월 노선매각으로 인해 2002번이 [[대원버스]]로 넘어가게 됐다. === [[간선급행버스]] 8251번 분리 이후 === [[대원버스]] 양도 이후 한달 뒤에 2002번에서 분리돼 개통됐다. 개통 당시에는 신갈면허시험장까지 운행했다. 하지만 2010년 3월, 본 노선인 2002번이 용인에서는 [[용인 버스 5001|5001번]]과 [[용인 버스 5003|5003번]]에, 분당에서는 [[경기광주 버스 1005-1|1005-1번]]이나 [[서울 버스 9404|9404번]]에 밀리게 되면서 점점 수요가 없어지게 돼 결국 폐선을 하게 됐고, 폐선 이후 남은 차량들을 각각 [[용인 버스 1241|2002-1번]]과 8251번으로 차량이 이동했다. 이후 기존 2002번이 다녔던 지역 중 [[직행좌석버스]]가 없어진 기흥구청 구간을 커버하기 위해 2010년 6월 기흥구청까지 연장했다. === 형간전환 이후 === 하지만 2011년 12월 [[분당선]]이 [[기흥역]]으로 연장되자 수요가 많이 줄어들었는데, 8251번을 기다렸다가 타고 강남역을 가는 것보다 [[수인분당선]]을 타고 [[정자역]]에서 [[신분당선]]으로 갈아타는 게 빠르기 때문. 8251번은 간선급행버스의 성격이 강했던지라 배차간격이 20분에 1대꼴이어서 경쟁노선인 [[서울 버스 9404|9404번]]에도 밀리곤 했다. [[경기광주 버스 1111|8111번]], [[성남 버스 1121|8121번]]보다는 오래 버텼지만 결국 2012년 7월 10일부터 [[직행좌석버스]] 1251번으로 형간전환했다. 노선 변경은 없었지만 전 정류장 정차로 바뀌면서 고가차도를 이용하지 않고 머내.기업은행 정류장에 정차하게 됐다. 2019년 5월 4일에 폐선됐다. 궁내동 구간에는 [[용인 버스 1241|1241번]]이 대신 들어온다. == 특징 == 출퇴근 시간을 제외하면 형간전환 이후에도 기흥구청에서 강남역까지 40분을 찍는 8251번 시절과 같은 포스를 보여줬다. --신갈역 기준으로, 강남역까지 전철로도 약 40분이 소요된다. 이는 전철과 소요시간이 똑같다!-- 애초에 머내~판교 구간의 이용객이 그리 많지 않을 뿐더러, 수지지구에서 나오는 강남행 버스들이 머내, 기업은행 앞에서 거의 다 모이기 때문. 이외 출퇴근 시간에는 아직도 신갈역에서 강남역까지 1시간 약간 넘게 걸리는 것이 함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간대 출발하는 차를 타면 구성 이마트 쯤에서 이미 만차가 된다. 그래도 편하게 앉아서 가니깐 많이들 타는 듯 하다. 본 노선인 2002번이 성남면허였기 때문에 이 노선 역시 성남면허로 운행했다. 한동안 성남시 정류장이 하나도 없'''었'''지만 성남 면허인 것은 바로 이 때문. 이 노선이 있을 당시 성남시청 홈페이지에서 [[오리역]] 회차 용인시 마을버스는 100% 검색되는데도 같은 성남시에서 노선인가를 낸 8251번 노선이 검색되지 않았기에 '''무정차 노선도 [[아웃 ○○ 노선]] 이라고 인정하는 기준이 만들어져 버렸다.''' 한때 머내고가차도를 이용하는 유일한 노선이기도 했다.[* 다른 버스들은 머내,기업은행 정류장 정차를 위해 이용하지 않는다. 다만 M4101번은 출근시간대에 수지에서 만차가 됐을 때는 머내고가차도를 이용한다.] 2011년 11월 28일부터 서울톨게이트와 궁안마을 정류장에 추가 정차하면서 [[아웃 ○○ 노선|아웃성남]]을 벗어났다. 동백영업소 노선답게(?) 이 노선에 투입된 차도 연식이 오래된 차들이었다. [[경남여객]]에서 운행할 때만 해도, 에어로 스페이스 LS 디젤 신차들이 몇 대 있었는데, 2008년에 [[대원버스]]로 넘어가면서, 연식이 오래된 2000~2002년식 로얄럭셔리1만 투입했다. 그러다가 8251번으로 분리된 후도 여전했으나, 2010년 12월 드디어 [[자일대우버스 FX|FX Ⅱ 116]]이 투입됐다. 2002-1번이 [[용인 버스 1241|8241번]]으로 전환되면서 동백영업소는 사라지고 8251번은 [[수원(광교)영업소|광교영업소]]에서 관리하게 되면서 2012년부터 광교차고지 가스충전소 완공에 따라 [[천연가스버스]]가 투입됐다. == 연계 철도역 == '''폐선 당시의 노선만 작성합니다''' *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양재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기흥역]][* 기흥구청 정류장에서 남쪽으로 500m에 위치.], [[신갈역]], [[구성역]], [[보정역]], [[죽전역(분당선)|죽전역]] * [[수도권 전철 신분당선]]: [[양재시민의숲역]], 양재역, 강남역, [[동천역(신분당선)|동천역]] * [[용인 에버라인]]: 기흥역 == 관련 문서 == * [[성남시 버스 목록/폐선]] [[분류:성남시의 시내버스]][[분류:2019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