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성적 특성)] [[파일:external/www.nature.com/nrg3161-f2.jpg]] [[분류:발생학]] {{{+1 性決定系 / Sex-determination system}}} [목차] == 개괄 == 성결정계란 [[성별|생물학적 성]] 구분이 존재하는 어떤 종이 있을 때, 이 종에 속하는 개체의 생물학적 성이 정해지는 체계를 일컫는다. 크게 유전적 성결정계(genetic sex-determination system)와 비유전적 성결정계(Non-genetic sex-determination system)로 나뉘는 데 [[인간|현생인류(''Homo sapiens sapiens'')]]는 전자를 따른다. == 유전적 성결정계 == || || 양성구분 || 사례 || ||XY성결정계(XY sex-determination system)|| 자성(XX)/웅성(XY) || [[인간]]을 비롯한 모든 종의 [[포유류]]와 수많은 종의 동물들 || ||X0성결정계(X0 sex-determination system)|| 자성(XX)/웅성(X0) || [[메뚜기]]목 곤충을 위시한 다수의 [[곤충]] || ||ZW성결정계(ZW sex-determination system)|| 자성(ZW)/웅성(ZZ) || [[새|조류]] · 일부 [[파충류]] · 일부 곤충 || ||Z0성결정계(Z0 sex-determination system)|| 자성(Z0)/웅성(ZZ) || [[나방]] 등 || ||UV성결정계(UV sex chromosomes)|| 자성(U)/웅성(V) || 선태식물 · [[조류(수중생물)|조류(藻類)]] || ||반수배수성(Haplodiploidy)|| 자성(diploid)/웅성(haploid) || [[벌(곤충)|벌]]목 곤충 || 위의 표에 명기되지 않은 성결정계도 있는데, 한 예로 [[초파리]]는 성염색체 벌수가 상염색체 벌수의 몇 배인지에 따라서 성결정이 일어난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초파리 암컷은 XX 수컷은 XY 성염색체를 갖는 건 맞지만, 초파리의 Y염색체는 포유류의 Y염색체와 달리 성결정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 비유전적 성결정계 == 악어, 거북, 투아타라를 비롯한 일부 파충류는 온도에 따라 성 결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발생 초기에만 성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라서 노화에 따라 성전환을 하는 경우, 권력을 차지한 개체가 성전환을 하는 경우도 있다. [[어류]]에서도 이런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