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룬의 아이들/등장인물)] [목차] == 개요 == [[룬의 아이들]] 1부 [[룬의 아이들 윈터러]]의 등장인물. ==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보리스 진네만|보리스]]가 장서관 화재의 진상을 알고자 유령세계로 넘어갔을 때 만나게 된다. 장서관의 화재 사건 자체는 [[엔디미온(룬의 아이들)|엔디미온]]을 비롯한 소년 유령들도 알고 있었지만, [[오이지스]]는 그때 입은 중상으로 이미 죽음의 운명에 들었다고 한다. 오이지스가 깨어나지 않는 이상 진상에 대해 알 수 없었고, 그를 위해 보리스는 소년 유령들에 비해 강한 힘을 지닌 '어른 유령'들을 만나러 가기로 한다. 소년 유령 니키티스의 인도로 만난 '어른 유령'들과의 자리에서 그는 유령들과 몇 가지 문답을 교환하게 되고, 그 자리에서 섭정왕을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섭정왕이 오이지스를 되살려낼 수 있는 힘이 있지만 '전능한 죽음'의 비위를 거스르게 된다는 이유로 그를 되살리기를 거절하자, 보리스는 그에게 주사위 게임 '[[체이서(룬의 아이들 윈터러)|추격자]]'으로 승부할 것을 제안한다. 그러자 섭정왕은 삶과 죽음의 경계는 자신이 정하는 것이 아니지만, '죽음' 그 자신도 주사위 게임을 즐기니, 자신이 주사위 게임에 걸린 내기에 의해 운명을 바꾼다면 납득할 것이라며 그에 동의하여 주사위 게임을 벌인다. 섭정왕은 항상 일정 점수 이상의 차이를 두고 앞서나가고 있었으나, 보리스가 신성 찬트의 힘을 매개로 윈터러의 힘을 끌어다 쓰고 있었고, 결국 주사위가 어느 쪽에도 멈추지 않고 모서리로 서 버리는 일이 발생하여 호각지세가 발생하였다. 윈터러의 힘은 강력한 것이지만 보리스가 그 힘을 완전히 쓸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섭정왕과 호각이 되는 일이 있을 수 있었다. 섭정왕 쪽에서도 보리스가 윈터러의 힘을 끌어다 쓸 수 있는 것을 어느 정도 과소평가했던 듯. 주사위가 어느 쪽으로도 멈추지 않자, 결국 제 3자인 엔디미온에게 주사위를 던지도록 하여[* 엔디미온이 마법사라는 점, 자기 힘이 깃든 주사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이 결정은 엔디미온의 결정을 따르겠다는 말을 돌려서 표현한 것이나 다름없다.] 결판짓기로 한 결과 보리스가 이겼다. 섭정왕은 엔디미온의 아버지이며, 작가 블로그 문답에 따르면 대부분 가나폴리의 왕들인 유령들의 리더이다. '섭정왕'인 이유는 유령들의 왕인 존재가 평소 모습을 드러내지 않기에 '폐하'를 대신해 유령들을 통치하는, 말그대로 '섭정'이기 때문. 참고로 엔디미온이 소년왕이라 불리는 것은 유령들의 세계에서 엔디미온의 직책이 없기 때문에 생전의 직책인 소년왕을 그대로 쓰는 것이라고. 가나폴리의 왕들이 대부분인 유령들의 수장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섭정왕은 가나폴리 기준으로도 어마어마한 실력자라 추측할 수 있다.[* 간접적으로 언급되는데, 잠든자나 아픈자를 일으키는 건 쉬운 일이며, 죽은자를 되살리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다고 한다. 단 이 경우 '죽음'의 비위를 거슬려 무슨 일어날지 모른다고.][* 여담으로 여기서 유령들은 생전의 모습을 하고 있어 어른들은 노인들이 대부분인데, 중년의 모습을 하고 있는 섭정왕은 비교적 젊은 나이에 죽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는 엔디미온의 실제 아버지이니만큼, 일찍 죽은 것이 엔디미온의 이른 즉위에 영향을 줬다고 추측할 수 있다. 물론 다른 곳도 아니고 가나폴리인만큼 엔디미온은 혈통 때문에 운 좋게 왕이 된게 아니고 그에 걸맞는 실력을 가지고 있었을게 분명하지만.] [[분류:룬의 아이들/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