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강북구의 버스회사)] [include(틀:차파트너스 계열사)] ||<-2> '''{{{+2 선일교통 주식회사}}}'''[br]鮮一交通 株式會社[br]Sunil Transportation Co., Ltd. || || '''설립일''' ||[[1968년]] [[12월 19일]] || ||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 || '''대표자''' ||김정환 || || '''모회사''' ||[[도원교통(서울)|도원교통]] || || '''주요 주주''' ||'''[[도원교통(서울)|도원교통]]: 100%'''[br]{{{-2 (2023년 12월 31일 기준)}}} || || '''기업구분''' ||[[중소기업]] || ||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 || '''직원 수''' ||175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10억 2,450만원^^(2023년 기준)^^ || || '''매출액''' ||162억 7,500만 8,203원^^(2023년 기준)^^ || || '''영업이익''' ||3억 7,163만 3,182원^^(2023년 기준)^^ || || '''순이익''' ||6억 1,833만 1,849원^^(2023년 기준)^^ || || '''자산총액''' ||61억 7,986만 4,031원^^(2023년 기준)^^ || || '''부채총액''' ||15억 5,777만 3,404원^^(2023년 기준)^^ || || '''부채비율''' ||33.70%^^(2023년 기준)^^ || ||<|2>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북구]] 4.19로 84 ([[수유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535-244 선일교통(주),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1126번_개선형뉴슈퍼.png|width=100%]] || [[파일:104_2546.png|width=100%]] || || '''[[서울 버스 1126|{{{#ffffff 지선버스[br]1126번}}}]]''' || '''[[서울 버스 104|{{{#ffffff 간선버스[br]104번}}}]]'''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로 1968년에 설립됐으며,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다. == 특징 == 1권역에서 [[동아운수]]가 있는 삼양로 라인에 있으며, [[삼양교통]], [[영신여객(서울)|영신여객]]과 같은 포지션이다. 이들처럼 대규모 업체가 아닌 점도 동일.[* 소규모 회사긴 하지만 이들의 간판 노선인 120번과 130번이 각각 일평균 승차량 2만, 3만을 가뿐히 넘기는걸 생각하면 선일교통보다는 양호하다.] 최초 설립시 화계교통이라는 상호를 사용했으며 1974년 미아운수[* 여담으로 미아운수 영업시절에 1981년 영화 '[[https://www.youtube.com/watch?v=QHSN2HJiLIQ|도시로 간 처녀]]' 의 배경지로 촬영하기도 했다.], 1991년 다시 선일교통으로 사명을 변경해 지금에 이른다. 노선수는 적지만 [[교통 마이너 갤러리|교통갤]]에서 많이 언급된다. 하지만 대개 좋지 않은 쪽으로다.[* 서울 시내버스 중 유일하게 저상버스가 1대도 없으며 차파트너스 인수 전 [[버스 기사]]들의 폭로와 [[YTN NEWS]]의 보도로 공론화되면서 서울 시내버스에서 '''0순위'''로 입사를 걸러야 할 정도일 만큼 최악의 막장 업체로 꼽혔기 때문. 또한 2020년대 초반들어 서울시 유상감차 정책에 특히나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어 이 역시 비판의 이유가 되고 있다.] 노선들이 전부 빗자루 배차였지만 잦은 유상감차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사태]]로 인해 사실상 옛말이 됐다. 그래도 다른 업체에 비하면 노선별로 차량을 자주 굴리는 편.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중에서 창립 이래로 '''유일하게''' [[저상버스]]를 단 1대도 투입하지 않은 회사인데, 이유는 차고지 진출입로의 물막이턱으로 인한 하부 마찰 때문. 결국 이 업체 소속 노선들 모두 저상버스 투입 대상 예외로 인정됐다. 게다가 1119번은 녹천역 회차문제, 1126번은 안방학동 회차문제와 2차로 이하의 좁은 골목길(창동대우아파트 근처, 방학중학교 이후 구간)로 인해 수요가 많음에도 대형차량 운행 자체가 불가능하다. 그래서 외부 행선판이 LED인 차량 역시 8101번 신설 후 해당 차량을 지선 노선 예비차로 공유하기 전까지는 없었다. 또한 [[다모아자동차]]와 마찬가지로 돌출형 행선판을 설치하지 않는 몇 안 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다. 주로 대형은 현대자동차, 중형은 자일대우버스를 뽑았으나 2016년부터는 중형도 그린시티를 출고함으로서 현대차로 돌아섰으며, 자일대우버스는 2021년 4월 초 1126번 예비차로 남아있던 BS090 F/L을 마지막으로 전멸했다. 2017년 이후 출고분은 다른 강북구 연고 업체처럼 그린시티까지 완벽하게 로우백 플라스틱 시트를 탑재한다. 같은 삼양로 라인의 [[동아운수]]와 마찬가지로 차파트너스 인수 전까지는 서울에서 난폭운전이 매우 심각한 회사 중 하나였다.[* 1119번의 경우, 배차가 깨져 차량끼리 붙어버리면, [[서울 버스 노원15|노원15번]]이 정차하는 순간 바로 정류소를 무정차 통과하면서 신호위반을 했다. 아래의 내용과 같이 편도운행 후 충전, 열악한 환경 등이 맞물린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대부분의 업체가 에코점수에 혈안이 되어있는 반면 이 회사는 에코운전을 전혀 하지 않았으며 사측에서도 딱히 신경을 쓰지 않았다. 하지만 차파트너스 인수 이후로는 동아운수처럼 이 회사도 차파트너스의 개선 작업으로 인해 안전하게 정속으로 주행하는 중이다. 가스 충전은 보통 웬만하면 가까운 [[동아운수]]의 우이동 본사 차고지에서 하지만 해당 충전소를 이용하는 회사들이 너무 많아져서[* 이 회사 외에도 [[동아운수]]의 본사와 우이동 노선들, [[삼양교통]] 차량만으로도 충전용량이 한계치에 달하는지 인접 업체들이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만약에 막으면 이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 충전소의 용량이 과포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동아운수 우이동 영업소 외에도 104번과 1126번은 번동 [[한성운수(서울)|한성운수]] 차고지(한성운수 본사)에서 오전 시간대를 이용해서 진행하며, 1119번의 경우에는 창동역 서측 앞 [[쌍문운수]](옛 한성버스 차고지)에서 가스 충전을 하는데, 이 경우에는 특이하게 운행을 마친 뒤 휴식시간에 충전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녹천역 종점에서 편도운행을 마친 후 가스충전을 하고 다시 돌아와 차고지 방면 운행을 재개한다. 2020년에만 1119번 2대, 104번 1대 총 3대가 유상감차됐다. 2022년 7월 25일부로 차파트너스에 인수됨과 동시에 대표이사가 김정환 대표로 바뀌었다.[* [[도원교통(서울)|도원교통]]과 [[경성여객]]의 대표이사로 선일교통의 차파트너스 인수와 함께 겸직을 하게 됐으며 이후 [[선진운수]] 대표직도 겸직을 하게 됐다.] 천연가스버스 의무화 초기 디젤버스 조기대차 여파로 2010년대 초반에는 신차 소식이 아예 없었다. == 비판 (차파트너스 인수 전) == === 승무원의 처우 문제 === [youtube(0CGUzXxx19I)] [[YTN NEWS]]의 보도로 공론화되기 전에도 이미 서울 시내버스 업체 중에서 직원 복지 및 처우가 독보적으로 가장 열악한 업체였었다. 차고지 내부 및 외부 벽면에 노조에서 만든 현수막이 수도 없이 걸려있는 것을 보아 노사간 갈등이 심한 것으로 추정되며 [[버스 기사]]들 사이에서 애초에 선일교통 입사를 기피하는 경우가 많았고 특히 [[마을버스]] 업체에서 근무하다 선일교통에 입사한 기사가 '''3개월도 못 버티고 다시 마을버스로 이직'''했을 정도로 상당히 근무 강도가 빡셌다. [[https://m.bobaedream.co.kr/board/bbs_view/truck/81030|관련 글]] 차파트너스에 인수되고 얼마 안 가 인근 동아운수처럼 사내 개선작업이 시작됐다. 특히 난폭운전을 줄여 [[에코시스템|테너지]] 점수도 신경쓰고 친절도가 확연히 높아졌다고 한다. == 주요 연혁 == * 1968년 : 회사 설립(화계교통) * 1974년 : 미아운수로 상호변경 * 1991년 : 좌석버스 27번 (4.19 묘지 ~ 돈암동 ~ 종로5가 ~ 남대문 ~ 충정로 ~ 신촌) 개통, 선일교통으로 상호변경 * 1997년 : 좌석 27번을 형간전환. * 1998년 : [[우신운수]]로부터 도시형버스 146-1번 폐선으로 인한 잉여차량을 인수받았다.[* 이 과정에서 서울 74사 2546, 5668, 7010, 7025, 7036, 7039, 9368호 등이 넘어왔다. 참고로 2546호는 범양여객(훗날 [[선진여객]])→[[우신운수]]→선일교통 순으로 5668호는 신진운수→범양여객→우신운수→선일교통 순으로 9368호는 [[현대교통(서울)|현대교통]]→[[서울승합]]→우신운수→선일교통 순으로 소속 회사가 각각 변경되었다.] * 2004년 : 개편으로 인해 423번은 1119번으로, 432번은 1126번으로 전환. 127번은 폐선되었으며 361번의 나머지 절반 구간을 담당하는 104번 신설. * 2013년 : 두 지선버스 노선이 각각 창동역~녹천역/대우아파트~강북청소년수련관 구간이 연장. * 2022년 : 차파트너스 계열로 편입 == 면허 체계 == * 서울 71 사 '''1216''' ~ '''1217''', '''1219''', '''1255''', '''1259''', '''1296''' ~ '''1298'''호 * 강북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 면허. * 서울 74 사 '''9401''' ~ '''9499'''호 * 선일교통의 주 면허. 화계교통 시절에 발급 받았기 때문에 번호대가 [[현대교통(서울)|현대교통]], 구.[[화곡교통]] 사이이다. * 서울 75 사 '''2954''' ~ '''2956'''호 * 선일교통의 증차 면허. 구.27번(좌석) 증차분이다. ===# 타 회사 출신 면허 #=== * 서울 74 사 2546호 * 구.범양여객(구.[[선진여객(서울)|선진여객]]) 면허. [[우신운수]]가 구.146-1번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였다. 해당 노선이 폐선되면서 면허도 같이 넘어왔다. * 서울 74 사 3899 ~ 3900호 * 구.상원여객(구.[[동아여객]]) 면허. 구.상원여객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3900호도 있었으나 유성감차로 말소되었다. * 서울 74 사 5668호 * 구.[[신진운수]] 면허. 구.범양여객이 구.73-1번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였다. 이후 [[우신운수]]가 구.146-1번을 인수하면서 면허가 넘어갔다가 해당 노선이 폐선되면서 면허도 같이 넘어왔다. * 서울 74 사 7025, 7036, 7039호 * [[우신운수]] 면허. 구.146-1번이 폐선되면서 넘어왔다. * 서울 74 사 9368호 * [[현대교통(서울)|현대교통]] 면허. [[서울승합]]이 구.541-1번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였다. 이후 [[우신운수]]가 [[서울승합]]의 구.568번을 인수하면서 받았다가 구.146-1번이 폐선되면서 면허도 같이 넘어왔다. * 서울 75 사 3504호 * 구.삼원여객 면허.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운행 노선 == >__밑줄__ 표기 구간은 '''양방향이 동시에 경유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 행선판으로 목적지를 확인한 후 이용해야한다.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서울 버스 104|{{{#3d5bab 104}}}]]''' || 강북청소년수련관 || 국립4.19민주묘지 - 화계사입구 - 삼양동사거리 - [[길음뉴타운]] - 혜화동 - (→ 광장시장 →/← [[종로5가역]] ←) - [[충무로역]] - [[남대문시장]].[[회현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서울역]] || 5~9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서울 버스 1119|{{{#5bb025 1119}}}]]''' ||<|2> 강북청소년수련관 || 국립4.19민주묘지 - __[[수유역]].강북구청__ - 쌍문초등학교 - 방학3동주민센터 - 방학사거리 - [[창동역]] || [[녹천역]] || 5~9 || || '''[[서울 버스 1126|{{{#5bb025 1126}}}]]''' || 국립4.19민주묘지 - 강북구청 - __창동대우아파트__ - [[쌍문역]] - 도봉구보건소 - 도깨비시장 || 안방학동 || 5~9 || || '''[[서울 버스 8101|{{{#5bb025 8101}}}]]'''[*맞춤 맞춤버스. [[삼양교통]], [[아진교통]], [[진아교통]], [[한성여객]]과 공동배차] || 도봉보건소 || [[쌍문역]] - [[성신여대입구역|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 [[혜화역]] - 종로4가 - 을지로입구.시청입구 || [[소의문|서소문]] || 5~10 || ===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전 운행 노선 === * 27 : 4.19국립묘지 - 삼양동 - 길음동 - 돈암동 - 보문동 - 황학동 - 신당역 - 을지로 - 서울시청 - 서울역 * 127 : 강북청소년수련관 - 광산사거리 - 쌍문역 - 수유역 - 신일병원 - 삼양동 - 돈암동 - 보문동 - 신설동 - 동대문운동장[* 노선이 좀 특이한데, 4.19에서 나와 곧장 수유역으로 가지않고, 쌍문역을 먼저 경유 한 다음 수유역을 지나 삼양로에 진입한다. 삼양동 주민들에게 수유역으로 가는 역할을 하던 노선이었으나, 개편 후 이 노선은 결국 사라졌으며([[서울 버스 104]]는 유성운수 361번 대체노선이다.) 개편 직 후 삼양동 구간에 수유역가는 노선이 단 하나도 없었으며, 지금은 [[서울 버스 1128]]이 다니고 있다.] * [[서울 버스 1119|423]] : 강북청소년수련관 - 광산사거리 - 수유역 - 광산사거리 - 쌍문초교 - 숭미초교 - 방학3동주민센터 - 신동아아파트 - 방학사거리 - 농협창동물류센터 - 창동역 * [[서울 버스 1126|432]] : 진안빌라 - 방학동 - 안방학사거리 - 도깨비시장앞 - 북부농협 - 정의여중 - 쌍문역 - 대우아파트 - 도봉전화국 - 쌍문역 == 보유차량 == === 현재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과거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에어로타운|현대 에어로타운 디젤]] * [[현대 HD버스|현대 HD160 디젤]] * [[현대 FB버스|현대 FB485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L 디젤]] * [[현대 RB버스|현대 RB520S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2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20S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40S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S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 * [[대우버스 BM090|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F/L 천연가스버스]] * [[새한 BD|새한 BD098 디젤]] * [[새한 BD|새한 BD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F|대우 BF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5L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L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L 로얄시티 디젤]] ==== [[기아]] ==== * [[기아 코스모스|기아 AM818 코스모스 디젤]] == 지배구조 == 2023년 12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도원교통(서울)|도원교통]] || 100.00%|| 모회사 || == 둘러보기 == [include(틀:지역별 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업체)]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분류: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분류:차파트너스]][[분류:서울 강북구의 교통]][[분류:1968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