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후궁(환조 ~ 연산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조선 태종의 후궁[br]{{{+1 선빈 안씨 | 善嬪 安氏}}}'''}}}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숙선옹주(선빈)안씨_묘.jpg|width=100%]]}}} || ||<-2> {{{#ffd400 {{{-2 선빈 안씨묘 전경}}} }}} || || '''출생''' ||미상 || || '''사망''' ||[[1468년]]^^([[세조(조선)|세조]] 14년)^^ [[7월 15일]]^^([[음력]] [[6월 17일]])^^ || || '''능묘'''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동]] 산 37-13 || ||<|4> '''재위기간''' ||'''{{{#ffd400 조선 궁인}}}''' || ||[[1407년]] 이전 ~ [[1421년]] [[6월 10일]] || ||'''{{{#ffd400 조선 숙선옹주}}}''' || ||[[1421년]] [[6월 10일]] ~ [[1435년]] [[3월 1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순흥 안씨]] || || '''부모''' ||부친 - 안의(安義) || || '''배우자''' ||[[태종(조선)|태종]] || || '''자녀''' ||{{{#!folding 슬하 2남 3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혜령군]](惠寧君, {{{-3 1407 ~ 1440}}}) 차남 - [[익녕군]](益寧君, {{{-3 1422 ~ 1464}}}) 장녀 - [[경신옹주]](敬愼翁主) 차녀 - [[숙안옹주]](淑安翁主, {{{-3 ? ~ 1464}}}) 3녀 - (요절)[* 1418년 조선왕조실록에 궁인 안씨가 1남3녀를 낳았는데 모두 어리다고 쓰여있었다.]}}} || || '''봉작''' ||궁인(宮人)[br]→ 숙선옹주(淑善翁主) → '''선빈(善嬪)'''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태종(조선)|태종]]의 [[후궁]]. 아버지는 검교 한성윤 안의(安義)이다. 본래 [[궁녀]]였으나 태종의 눈에 띄어 후궁이 되었다. 슬하에 [[혜령군|혜령군 이지]], [[익녕군|익녕군 이치]]를 비롯하여 두 옹주를 낳아 2남 2녀를 두었다. 특히 막내 아들 [[익녕군|익녕군 이치]]는 태종의 [[유복자]]로 태어났고, 나머지 자녀들도 어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 생애 == 1421년(세종 3) 숙선옹주(淑善翁主)로 봉작되는데, 이때 그녀의 아버지는 검교 판한성부사에 제수된다.[* 세종실록 12권, 세종 3년 5월 11일 임신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da_10305011_003|#]] ] 태종의 사후에는 안씨는 송사 문제로 실록에 여러 번 이름이 오르내린다. 1430년(세종 12)에는 [[신빈 신씨]]의 첫째 딸 [[정신옹주]]의 남편인 영평군 윤계동(尹季童)과 집터 문제로 송사를 벌였고, 1468년(세조 14)에는 자신의 딸인 경신옹주와 노비와 전답을 비롯한 재산 분배로 송사를 벌였다. 1468년(세조 14) 세상을 떠났다. 이때 그녀와 노비 문제로 다툼이 있었던 딸 경신옹주를 제외하고는 모두 그녀보다 먼저 사망한 상태였다. == 묘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기념물|{{{#ffffff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 || 42호 ||<|2> ← || '''43호''' ||<|2> → || 44호 || || [[배봉산 보루]] || '''숙선옹주(선빈) 안씨 묘''' || [[구천폭포#사릉 석물 채석장 터|사릉 석물 채석장 터]]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ffffff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43호}}}''' || ||<-2> {{{#fff {{{+1 '''숙선옹주(선빈) 안씨 묘'''}}}[br]{{{-1 淑善翁主(善嬪) 安氏 墓}}}}}}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숙선옹주(선빈)안씨 묘,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동]] 산 37-13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조선시대 || || '''{{{#fff 수량 / 면적}}}''' || 분묘 1기, 묘표 1기, 상석 1기, 산신제석 1기, 문석인 2기, 장명등 1기/2,308㎡ || || '''{{{#fff 지정연도}}}''' || [[2019년]] [[6월 7일]] || || '''{{{#fff 시대}}}''' || [[조선시대]] || || '''{{{#fff 소유자[br](소유단체)}}}''' || [[전주 이씨]] 소강공파 문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숙선옹주(선빈)안씨_묘.jpg|width=100%]]}}} || || {{{#ffd800 ''' 숙선옹주(선빈)안씨 묘[*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5411039&ccbaKdcd=23&ccbaAsno=0043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clearfix] ---- 묘는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동]]에 있다. 2019년 6월 7일에 [[서울특별시의 기념물|서울특별시 기념물]] 제43호로 지정받았다. == 대중 매체 == * 드라마 《[[용의 눈물]]》- [[이보희(배우)|이보희]][* 당시의 이보희는 39세였는데 이숙번의 처[* [[송윤아]]가 배역을 맡았는데, 설정과는 달리 이보희가 14살이나 많다.]보다 어린 나이라는 설정과 맞지 않는 미스캐스팅이라는 말이 많았다.] 태종이 처음 보고 반한 것으로 묘사된다. 역사와는 달리 궁녀가 아니고 이숙번의 집에 얹혀살던 양반집 딸로 각색되었다가 태종의 눈에 들어 후궁이 된다.[* 참고로 원래 원경왕후의 몸종이었던 [[신빈 신씨]]는 용의눈물에서는 엉뚱하게도 원래 선빈의 롤이어야 할 상궁 출신으로 나온다.~~설정 돌려막기~~] 대놓고 자신의 아이도 세자가 될 수 있냐며 물어 볼 정도로[* 이 직후 태종은 '''"이것들이!"''' 라며 원자를 후다닥 세자로 책봉한다.] 후궁 중에서 가장 야심이 많은 성격으로 그 성격 드센 원경왕후에게도 지지 않고 맞섰으며, 이 때문에 가장 갈등이 심했다.[* 원작인 [[박종화]]의 세종대왕에서 [[혜선옹주]]가 맡았던 역할이 거의 대부분 선빈에게 옮겨온 것으로 추측된다. 만남에 이숙번이 엮여있다든가, 대놓고 자식을 왕으로 만들려는 야심을 내보인다든가, 원경왕후와 극심한 대립을 보인다든가 등등.] [[분류: 조선의 후궁]][[분류:1468년 사망]][[분류:순흥 안씨]][[분류:서울특별시의 기념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