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롤러코스터]][[분류:없어진 롤러코스터]][[분류:2000년 설립]][[분류:2009년 폐지]][[분류:2012년 해체]] [Include(틀:다른 뜻1, from=Son of Beast, other1=TO1의 곡, rd1=RE:BORN(TO1), paragraph1=3.2)] ||<-2><:>'''{{{+2 선 오브 비스트}}}[br]Son of Beast'''|| ||<-2><:>[[파일:Son of Beast.jpg|width=100%]]|| ||<:>'''소재지'''||<:>[[미국]] [[오하이오]] 주 [[메이슨]][br]킹스 아일랜드|| ||<:>'''종류'''||<:>목재 롤러코스터[* 트랙에 따라서 하이브리드 롤러코스터로 분류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루프에서 사용된 트랙의 종류가 철제이기 때문.]|| ||<:>'''제작사'''||<:>미국 롤러코스터 주식회사[br](Roller Coaster Corporation of America)|| ||<:>'''디자이너'''||<:>베르너 슈텡겔(Werner Stengel)[* [[대한민국]] [[에버랜드]]의 [[T 익스프레스]]도 설계했다.]|| ||<:>'''건설비용'''||<:>USD 약 $20,500,000|| ||<:>'''상태'''||<:>[[철거]]됨|| ||<:>'''운행기간'''||<:>[[2000년]] [[5월 26일]]~[[2009년]] [[6월 16일]]|| ||<:>'''리프트'''||<:>체인 리프트|| ||<:>'''최고 높이'''||<:>66 m (218 ft)|| ||<:>'''트랙 길이'''||<:>2,143 m (7,032 ft)|| ||<:>'''최고 속력'''||<:>126.2 km/h (78.4 mile/h)|| ||<:>'''탑승 인원'''||<:>시간당 1,600명|| ||<:>'''탑승 시간'''||<:>2 20|| ||<:>'''최대중력가속도'''||<:>4.5G|| ||<:>'''최대낙하각도'''||<:>55.7°|| ||<:>'''낙하횟수'''||<:>12회|| ||<:>'''회전 구간'''||<:>1회(2000~2006)[br]없음(2007~2009)|| ||<:>'''신장 제한'''||<:>122 cm(48 in) 이상||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JggE0FYV_Ys)] [[미국]] [[오하이오]] 주 [[신시내티]] 근교의 [[메이슨]]의 놀이공원 킹스 아일랜드에 있다가 2012년 7월 27일에 철거된 우든 롤러코스터. [[1979년]]에 개장한 우든 코스터인 〈[[더 비스트(롤러코스터)|더 비스트]]〉의 후속작이다. 이름부터가 '''야수의 아들''', 다시 말하면 '''비스트의 아들'''이라고도 할 수 있으니 이름부터 후속작임을 확고히 하고 있다. 개장 당시 우든 코스터 중 가장 높은 높이[* 2023년 현재는 2008년에 개장한 [[에버랜드]]의 [[T 익스프레스]]가 56m로 제일 높은 우든 코스터다.]와 가장 빠른 속력과 가장 긴 트랙 길이를 자랑했으며, [[2006년]]까지는 회전구간(루프)이 있는 우든 코스터라는 독보적인 스펙을 지녔다. 이것은 우든 코스터로 속력이 빠르고 격렬한 스릴을 주는 하이퍼 코스터를 만들어 보자는 의도였다. == 역사 == 그러나 건설이 처음부터 순탄치 않았는데, 당시 킹스 아일랜드를 소유하고 있던 파라마운트 파크스는 건설이 완료되기 전에 RCCA와의 계약을 해지했고, 마무리 공사는 킹스 아일랜드에서 자체적으로 했다. 오픈도 난항이 많았는데, [[2000년]] [[1월 11일]]에 강풍으로 인해 트랙 구조물 일부가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수습 후 완공되어 동년 4월 28일에 겨우 개장했지만, 트랙에 문제가 생겨 다시 문을 닫고 수리한 뒤 동년 5월 26일에 재개장했다. 개장 후 이용객들의 평가는 진동이 심하다는 것이 주류였다. 원래 우든 롤러코스터는 진동이 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걸 속도가 빠르고 격렬한 하이퍼 코스터 개념으로 만들었으니 진동이 더 심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 [[2006년]]에 사고가 터지는데, [[7월 9일]], 트랙의 구조가 뒤틀리면서 트랙 사이에 틈이 생겼고, 열차가 이곳을 지나면서 큰 충격이 가해졌다. 큰 사고는 아니었지만 열차에 탄 많은 사람들이 목 통증을 호소했고 이들은 모두 병원으로 옮겨졌다. 선 오브 비스트는 즉시 문을 닫았고 개선 작업에 착수했다. 큰 변경점은 루프 구간을 제거하고, 좀 더 가벼운 차량으로 교체했다. 이 과정에서 6량에서 5량으로 1량이 줄어 최대 탑승 인원도 줄었다. [[2007년]] [[7월 4일]], 개선된 선 오브 비스트가 개장했다. 그러나 2년도 채 안된 [[2009년]] 6월에 또다시 사고가 터진다. 6월 16일, 한 여성이 5월 31일에 선 오브 비스트를 탄 이후 [[뇌출혈]]이 발생하여 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사실을 밝힌 것이다. 이번에는 부상이 심각했기에 문제도 커졌고, 선 오브 비스트는 다시 문을 닫았다. [[2010년]] 초, 공원 안내도와 표지판에서 선 오브 비스트가 [[기록말살형|지워졌다]]. 운영 중단 상태로 3년이 지난 [[2012년]] [[7월 27일]], 킹스 아일랜드는 선 오브 비스트를 철거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같은 해 11월 20일,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리프트 힐 구간이 철거되며 선 오브 비스트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파일:Banshee Son of Beast grave.jpg|width=100%]]|| ||<:>선 오브 비스트의 묘석|| 이후 이 자리에는 철제 인버티드 코스터 〈[[밴시(롤러코스터)|밴시]]〉(Banshee)가 건설되어 [[2014년]] [[4월 18일]]에 개장했다. 밴시가 있는 자리에는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선 오브 비스트가 있었다는 묘석 하나가 자리잡고 있다. == 기타 == 이래저래 유명세를 떨쳤던 롤러코스터라 게임으로 재현하는 양덕들이 있다. 또한 [[롤러코스터 타이쿤]]에서도 이 롤러코스터가 개장한 것을 반영하여 우든 롤러코스터에 루프 트랙을 추가하였다. * [[노리미츠|노리미츠 2]] - [[https://www.youtube.com/watch?v=3MD4bMGWcsc|재현 영상]] * [[플래닛 코스터]] - [[https://www.youtube.com/watch?v=K4uZaFaZqL8|재현 영상]] 참고로, 전신인 [[더 비스트(롤러코스터)|더 비스트]]는 이 롤러코스터의 철거 이후에도 계속해서 운영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