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김제시의 로)] ||<-3> {{{#fff {{{+2 '''석지로'''}}}}}} || ||<#FFF> ← [[보성군|{{{#!html보성}}}]] {{{#!html방면}}}[br][[하원로(부안)|하원로]] ||<#0018A8> [[29번 국도|{{{#!html
29번
국도
}}}]] ||<#FFF> [[서산시|{{{#!html서산}}}]] {{{#!html방면}}} →[br][[아리랑로(김제)|아리랑로]] || || ← [[부안군|{{{#!html부안}}}]] {{{#!html방면}}}[br][[하원로(부안)|하원로]] || [[30번 국도|{{{#!html
30번
국도
}}}]] || [[두류동|{{{#!html대구}}}]] {{{#!html방면}}} →[br]부안 - 태인간 도로 || ||<-3> '''{{{#fff 노선 번호}}}''' || ||<-3> '''[[29번 국도]][br][[30번 국도]]''' || ||<-3> '''{{{#fff 다국어 표기}}}''' || || 영어 ||<-2> Seokji-ro || || 한자 ||<-2> 石芝路 || ||<-3> '''{{{#fff 기점}}}''' || ||<-3> [[전라북도]] [[김제시]] [[김제시/행정#s-1.7|부량면]] 군포교 || ||<-3> '''{{{#fff 종점}}}''' || ||<-3>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태인사거리 || ||<-3> '''{{{#fff 연장}}}''' || ||<-3> 14.50km || ||<-3> '''{{{#fff 관리}}}''' || ||<-3> 익산지방국토관리청 || ||<-3> '''{{{#fff 왕복 차로 수}}}''' || || 4차로 ||<-2> 군포교 - 옥정교차로 궁사교차로 - 태인교차로 || || 2차로 ||<-2> 화호교차로 - 궁사교차로 태인교차로 - 태인사거리 || ||<-3> '''{{{#fff 주요 경유지}}}''' || ||<-3>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남쪽을 스쳐지나간다. ], [[정읍시]] || [목차] == 개요 == [[전라북도]] [[김제시]] [[김제시/행정#s-1.7|부량면]]의 군포교 상에 있는 [[부안군]]과의 경계에서 시작하여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의 태인사거리까지 이어지는 총 14.50km, 2~4차선의 [[도로]]. 군포교부터 옥정교차로까지의 짧은 구간이 [[29번 국도]]와 [[30번 국도]]로 지정되어 있다. 도로 이름의 유래는 [[조선시대]] 말기의 [[화가]]인 석지 [[채용신]]이다. 채용신은 무관 집안에서 태어나 본인도 무관이었지만 당시 대표적인 초상화가로 활동했다. 대표작으로는 [[흥선대원군]], [[황현]]의 초상화가 있으며 [[고종(대한제국)|고종]]의 [[영정]]을 그린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던 중 낙향하여 [[정읍시]] [[정읍시/행정#s-3.1|신태인읍]] 육리에서 사망하게 되었는데, 아마 석지로가 육리 근처를 지나기 때문에 이 사람의 호를 따온 것 같다. == 상세 == === 특징 === [[30번 국도]] [[부안]] - [[정읍시/행정#s-3.1|신태인]] 구간의 구 도로. 신 도로인 부안 - 태인간 도로의 개통으로 [[2013년]]에서 [[2014년]]에 전술한 구간을 제외하고는 국도 지정이 해제되었다. 군포교에서 옥정교차로까지의 짧은 구간은 4차선으로 확장되어 있는 구간이다. 과거 부안군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근처 나루(군포나 동진나루)에서 배를 타고 [[동진강]]을 건너야 했다.[* 조선시대만 해도 백산과 동진에 다리가 있었으나 동진 다리는 [[임진왜란]] 때 파괴되었고 백산 다리는 직강화 공사를 하며 헐렸다. ] 하지만 기상상황이 좋지 못하면 배를 띄울 수 없어 동진강을 건너는 다리의 건설은 부안군의 숙원사업이었다. 그러다 [[1959년]] 3월 13일 근처 나루인 군포에서 이름을 따온 군포교가 개통하게 되어 부안군의 주요 관문이 되었다. [youtube(tLtAOsyMK1I)] 이후 [[1978년]] 김제를 거의 직접 잇는 동진교의 개통으로 이용객이 줄었지만 부안군의 관문 중 하나를 담당하고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1999년]]에 구 군포교가 더 사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노후화되어 이를 대체하기 위해 4차선으로 새로운 군포교를 건설하게 되었다. 이 도로가 현재의 [[하원로(부안)|하원로]]와 석지로로 지정된 구간이며, 공사 중에는 군포교 우회도로나 백산우회도로로 불리기도 하였다. 또한 석지로 구간 중 유일하게 국도로 지정되어 있는 구간이기도 하다. [[29번 국도]]와 [[30번 국도]]로 지정되어 있다. 군포교를 건너면 전군길[* 구 군포교로 연결된다. ], [[죽백로]], [[아리랑로(김제)|아리랑로]]와의 교차로인 옥정교차로를 지나는데, 아리랑로는 최근 개통한 도로이고 원래는 죽백로와의 삼거리 형태로 옥정삼거리라고 불렸다. 그러나 확장공사를 하며 이후 구간인 화호리 쪽으로 국도가 이설되어 현재는 복합 다이아몬드형 교차로로 변했다. 여담으로 부안 - 태인간 도로 공사 시 옥정교차로 주변이 제일 진척도가 느렸다. 나머지 구간은 모두 4차선으로 이설되었던 시점에도 여기는 겨우 옹벽을 세우고 있었으니... 이후 옥정교차로 바로 앞인 화호리에서 북쪽의 농로가 석지로로 지정되고, 구 국도인 2차선 도로와 만난다. 이 구간이 단절되어 있는 것은 구 국도와 신 국도가 갈라지는 지점에 별도의 교차로가 없고 구 국도를 농로에 연결했기 때문으로, 둘은 화호교차로를 통해 연결된다. 이후 [[태인면]]까지 연결된다. 이 구간은 2차선이긴 하지만 과거 국도였던 구간이니만큼 선형이나 정비는 잘 되어 있는 편. 특히 [[정읍시/행정#s-3.1|신태인읍]] 구간에서는 2차선 우회도로로 읍내를 빗겨 간다. 궁사교차로에서 태인교차로까지 다시 4차선이 된다. 부안 - 태인간 도로가 [[태인IC]]와 직접 접속할 수 없다 보니, 궁사교차로에서부터 구 국도를 4차선으로 확장하여 태인IC 접속도로 형식으로 만들었다. 이렇게 1번 국도인 [[정읍대로]]와 접속하는 구간까지 4차선으로 확장되어 있다. 2차선 구간의 선형을 유지하고 있기는 하나 태인육교 등 일부 구간은 살짝 이설시켰는데, 이런 구간에서는 이설 전 도로가 석지로로 지정되어 있다. === 주요 구간 === ||<-6><#C8C8C8> '''[[하원로(부안)|하원로]]와 직결 ([[부안IC]] 방면)''' || ||<-6><#C8C8C8> '''군포교 (중복천, [[동진강]])''' || || '''[[29번 국도|{{{#blue 29번 국도}}}]]'''[br] [[김제시|김제]][br]← ||<#C8C8C8> '''[[아리랑로(김제)|아리랑로]]''' ||<-2><|3><#C8C8C8> (옥정교차로)[br]'''화호천교 (화호천)''' ||<|3><#C8C8C8> '''고잔길''' ||<|3> 고잔마을[br]→ || || '''[[711번 지방도|{{{#GREEN 711번 지방도}}}]]'''[br] [[죽산]][br]← ||<#C8C8C8> '''[[죽백로]]''' || || 전군마을[br]↙ ||<#C8C8C8> '''전군길''' || ||<-6><#C8C8C8> '''부안 - 태인간 도로[*가칭]와 직결 ([[태인IC]] 방면)'''[* 이후 구간은 도로 밑 북쪽의 화호리 앞 농로가 석지로로 지정되어 있다. 확장 전에는 옥정교차로와 화호리 농로가 연결되어 있었으나, 확장 이후 분리되어 기존 석지로로 주행하려면 화호삼거리 - 화호교차로를 통하여 우회하게 되었다.] || ||<-6> || ||<-6><#C8C8C8> '''단절 구간''' || ||<|2> [[김제시|김제]][br][[벽골제]][br]← ||<-2><#C8C8C8> '''[[벽골제로]]''' ||<-2><#C8C8C8> '''부안 - 태인간 도로''' ||<|2> '''[[30번 국도|{{{#blue 30번 국도}}}]]'''[br] [[태인면|태인]][br][[부안군|부안]][br]→ || ||<-4><#C8C8C8> (화호삼거리) || || 육리[br]← ||<-4><#C8C8C8> '''육리1길''' ||<#dcdcdc> || || '''[[30번 국도|{{{#blue 30번 국도}}}]]'''[br] [[태인면|태인]][br][[정읍시/행정#s-3.1|신태인]][br]← ||<-4><#C8C8C8> '''부안 - 태인간 도로'''[br](양괴교차로) || '''[[30번 국도|{{{#blue 30번 국도}}}]]'''[br] [[부안군|부안]][br][[김제시|김제]][br]→ || ||<#dcdcdc> ||<-4><#C8C8C8> '''[[정신로]]'''[br](우령삼거리)[* 태인 방면 기준, 좌회전해야 석지로가 이어진다. ] || [[정읍시/행정#s-3.1|신태인]][br]↑ || ||<-6><#C8C8C8> '''신태인교 ([[호남선]])''' || || '''[[701번 지방도|{{{#GREEN 701번 지방도}}}]]'''[br][[감곡역]][br]← ||<-4><#C8C8C8> '''[[호남철로]]'''[br](금화동사거리) || '''[[701번 지방도|{{{#GREEN 701번 지방도}}}]]'''[br][[신태인역]][br]→ || || '''[[736번 지방도|{{{#GREEN 736번 지방도}}}]]'''[br][[정읍시/행정#s-3.2|감곡]][br]← ||<-4><#C8C8C8> '''[[감곡로]]'''[br](신태인고사거리) || '''[[736번 지방도|{{{#GREEN 736번 지방도}}}]]'''[br][[정읍시|정읍]][br]→ || ||<|2> 신태인공단[br]← ||<-2><#C8C8C8> '''신태인공단길''' ||<-2><#C8C8C8> '''[[신태인중앙로]]''' ||<|2> [[정읍시|정읍]][br]→ || ||<-4><#C8C8C8> (우회도로)[* [[V-World]] 기준] || ||<-6><#C8C8C8> '''백산교 (용호천)''' || || 원동[br]← ||<-4><#C8C8C8> '''원동길'''[br](원동교차로)[* 부안 - 태인간 도로의 교차로이기도 하나, 석지로와 부안 - 태인간 도로 간을 이동할 수 없다, 단순히 원동길 진입만 가능. 반대로 원동길에서는 석지로와 부안 - 태인간 도로로 진입 가능하다. ] ||<#dcdcdc> || || 원궁사마을[br]← ||<-2><#C8C8C8> '''박산길''' ||<-2><|2><#C8C8C8> (궁사교차로) ||<|2><#dcdcdc> || || '''[[30번 국도|{{{#blue 30번 국도}}}]]'''[br] [[부안군|부안]][br][[임실군/행정#s-2.1|강진면]][br]↙ ||<-2><#C8C8C8> '''부안 - 태인간 도로''' || ||<|2> 천오마을[br]← ||<-2><#C8C8C8> '''[[태인동서로]]''' ||<-2><#C8C8C8> '''낙양길''' ||<|2> 홍촌마을[br]→ || ||<-4><#C8C8C8> (오봉교차로) || ||<#dcdcdc> ||<-4><#C8C8C8> '''개멀길'''[br](낙양교차로) || 낙양리[br]→ || ||<#dcdcdc> ||<-4><#C8C8C8> '''[[호남고속도로]]'''[br](고속도로삼거리/[[태인IC]]) || '''[[호남고속도로|{{{#SKYBLUE 호남고속도로}}}]]'''[br][[태인IC]][br]→ || ||<-6><#C8C8C8> '''태인육교 ([[호남고속도로]])''' || ||<|2> 태인농공단지[br]청학마을[br]← ||<-2><#C8C8C8> '''태인공단1길''' ||<-2><#C8C8C8> '''기지내길''' ||<|2> 기지내마을[br]→ || ||<-4><#C8C8C8> (기지내사거리) || || '''[[1번 국도|{{{#blue 1}}}]], [[21번 국도|{{{#blue 21번 국도}}}]]'''[br][[전주시|전주]][br]← ||<-4><#C8C8C8> '''[[정읍대로]]'''[br](태인교차로) || '''[[1번 국도|{{{#blue 1}}}]], [[21번 국도|{{{#blue 21번 국도}}}]]'''[br][[정읍시|정읍]][br]→ || || [[전주시|전주]][br][[김제시/행정#s-2.2|원평]][br]← ||<-4><#C8C8C8> '''[[정읍북로]]'''[br](태인사거리) || [[정읍시|정읍]][br][[북면]][br]→ || ||<-6><#C8C8C8> '''[[태인로]]와 직결 ([[태인면|태인]] 방면)''' || === 대체도로 === '''부안 - 태인간 도로'''가 이 도로의 확장 구간이다. 단 부안읍과 태인면 사이가 딱히 수요가 많은 구간은 아니어서 교통량을 이 도로만으로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지 다른 도로는 없다. === [[대중교통]] === ==== [[철도]] 및 [[도시철도]] ==== 저 멀리 [[호남선]] [[신태인역]]이 지나간다. ==== [[시내버스]] ==== [[정읍시 시내버스]]가 운행하는 구간이다. 우선 [[신태인터미널]] - [[태인터미널]] 사이를 운행하는 노선 계통이 있고, 마을로 들어가기 위해 짧은 구간을 경유하는 노선도 많은 편. 같은 노선번호 안에서도 경로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방면을 잘 확인해야 한다. * [[정읍 버스 91]] - 신태인과 태인을 모두 찍고 칠보면으로 가는 노선. 전체 구간이 [[30번 국도]] 구간을 따라간다. * [[정읍 버스 123]] - 박산,산지마을 방면의 노선이 경유한다. 아니더라도 대부분 석지로 근처의 신태인중이나 내석 정류장을 들른다. * [[정읍 버스 231]] - 산지 방면의 노선이 궁사리 근처를, 화호 - 신태인 노선이 화호리 근처를 들른다. 나머지 노선 중에서도 신태인읍 구간에서 석지로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그 구간 상에는 정류장이 없다. * [[정읍 버스 232]] - 화호, 신곡, 산정 방면 노선이 화호리 근처를, 산지 방면 노선이 궁사리 근처를 들른다. * [[정읍 버스 233]] - 박산 방면 노선이 박산마을 근처를 경유한다. [[김제시 시내버스]]는 고잔마을 정류장에만 정차한다. [[벽골제로]] 상의 화호정류장에서 김제와 정읍 시내버스 간의 환승이 가능하다. * [[김제 버스 11]] - 부량면에서 고잔마을을 거쳐 구 군포교를 건너 부안 백산까지 들어간다. * [[김제 버스 13]] - 부량면에서 고잔마을을 찍은 후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죽백로]]를 이용해 죽산까지 간다. === 교통량 === ||<-8><#0018A8> [[29번 국도|{{{#FFFFFF '''29'''}}}]]{{{#fff ,}}} [[30번 국도|{{{#FFFFFF '''30번 국도'''}}}]] || || 구간 || 지점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전북]] [[부안군]] - [[정읍시]] ||[[정읍시/행정#s-3.1|신태인읍]] 군포교 || 4,195 || 3,865 || 4,750 || 4,627 || '''5,133''' || * 단위는 대/24시간. 별표는 교통량을 계측하지 않은 해이다. * 군포교 자체만 놓고 봤을 때도 교통량은 많지 않은 편. 부안읍을 직접 잇는 두 도로 중 나머지 하나인 [[동진대교]]의 수요가 10,000명을 넘어가는 것을 생각하면 군포교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은 적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 이후 구간은 구 국도 구간으로 그나마 적은 수요도 신 국도로 뺏긴 모양새. === 주요 시설 === *양괴보건진료소: 정읍시 신태인읍 석지로 502-7 *[[태인중학교]] / [[태인고등학교]]: 정읍시 태인면 석지로 1469 === 기타 === == 부안 - 태인간 도로 == ||<-3> {{{#fff {{{+1 '''부안 - 태인간 도로'''}}}}}} || || ← [[부안군|{{{#!html부안}}}]] {{{#!html방면}}}[br][[석지로]] || [[30번 국도|{{{#!html
30번
국도
}}}]] || [[두류동|{{{#!html대구}}}]] {{{#!html방면}}} →[br][[태산로(전북)|태산로]] || ||<-3> '''{{{#fff 노선 번호}}}''' || ||<-3> '''[[30번 국도]]''' || ||<-3> '''{{{#fff 기점}}}''' || ||<-3> [[전라북도]] [[김제시]] [[김제시/행정#s-1.7|부량면]] 옥정교차로 || ||<-3> '''{{{#fff 종점}}}''' || ||<-3>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매당교차로 || ||<-3> '''{{{#fff 연장}}}''' || ||<-3> 14.50km || ||<-3> '''{{{#fff 관리}}}''' || ||<-3> 익산지방국토관리청 || ||<-3> '''{{{#fff 왕복 차로 수}}}''' || || 4차로 ||<-2> 전 구간 || ||<-3> '''{{{#fff 주요 경유지}}}''' || ||<-3> [[전라북도]] [[김제시]], [[정읍시]] || [[석지로]]를 대체하기 위한 도로. [[전라북도]] [[부안군]]과 [[전라북도]] [[정읍시]]를 연결하는 15.3km의 도로로, 공사 중에 쓰였던 가칭은 부안 - 태인간 도로였다. 다만 부안 구간은 [[변산바다로]]와 [[하원로(부안)|하원로]]로 신규 명명되었으나 정읍 구간은 분리 명명되지 않았다. 아마도 주소를 부여받을 수 없는 건물이 없기 때문에 굳이 부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문단에서는 부안 - 태인간 도로의 구간 중 석지로에서 지정해제된 옥정교차로부터 확장된 도로의 종점인 매당교차로까지의 구간을 서술한다. 이 구간이 별도로 도로명을 부여받을 시 문서 분리 바람. [clearfix] === 주요 구간 === ||<-6><#C8C8C8> '''[[석지로]]와 직결 ([[부안IC]] 방면)''' || || '''[[29번 국도|{{{#blue 29번 국도}}}]]'''[br] [[김제시|김제]][br]← ||<#C8C8C8> '''[[아리랑로(김제)|아리랑로]]''' ||<-2><|3><#C8C8C8> (옥정교차로)[br]'''화호천교 (화호천)''' ||<|3><#C8C8C8> '''고잔길''' ||<|3> 고잔마을[br]→ || || '''[[711번 지방도|{{{#GREEN 711번 지방도}}}]]'''[br] [[죽산]][br]← ||<#C8C8C8> '''[[죽백로]]''' || || 전군마을[br]↙ ||<#C8C8C8> '''전군길''' || || [[군산]][br][[김제]][br]← ||<-4><#C8C8C8> '''[[벽골제로]] · [[석지로]]'''[br](화호교차로) ||<#dcdcdc> || || 신덕리[br]← ||<-4><#C8C8C8> '''[[석지로]]'''[br](양괴교차로) || 양괴리[br]→ || || 요동마을[br]← ||<-4><#C8C8C8> (신덕교차로) || 우령리[br]→ || ||<-6><#C8C8C8> '''신태인교 ([[호남선]])''' || || '''[[736번 지방도|{{{#GREEN 736번 지방도}}}]]'''[br][[정읍시/행정#s-3.2|감곡]][br]← ||<-4><#C8C8C8> '''[[감곡로]]'''[br](태화교차로) || '''[[736번 지방도|{{{#GREEN 736번 지방도}}}]]'''[br][[정읍시/행정#s-3.1|신태인]][br]→ || ||<-6><#C8C8C8> '''구석교 (용호천)''' || || 원동[br]← ||<-4><#C8C8C8> '''원동길'''[br](원동교차로) ||<#dcdcdc> || ||<#dcdcdc> ||<-4><#C8C8C8> '''[[석지로]]'''[br](궁사교차로) || [[태인면|태인]][br][[태인IC]][br]→ || || 증산리[br]← ||<-4><#C8C8C8> '''[[태인동서로]]'''[br](오봉교차로) || 오봉리[br]→ || ||<-6><#C8C8C8> '''천신2교 ([[호남고속도로]])''' || || '''[[1번 국도|{{{#blue 1}}}]], [[21번 국도|{{{#blue 21번 국도}}}]]'''[br][[전주시|전주]][br]← ||<-4><#C8C8C8> '''[[정읍대로]]'''[br](왕림교차로) || '''[[1번 국도|{{{#blue 1}}}]], [[21번 국도|{{{#blue 21번 국도}}}]]'''[br][[정읍시|정읍]][br]→ || || 고천리[br]← ||<-4><#C8C8C8> '''[[정읍북로]]'''[br](고천교차로) || [[태인면|태인]][br]→ || ||<-6><#C8C8C8> '''항가터널 (항가산)''' || ||<|2> 매성리[br]← ||<-2><#C8C8C8> '''매당1길''' ||<-2><#C8C8C8> '''[[태산로(전북)|태산로]]''' ||<|2> [[태인면|태인]][br]→ || ||<-4><#C8C8C8> (매당교차로) || ||<-6><#C8C8C8> '''[[태산로(전북)|태산로]]와 직결 ([[칠보]] 방면)''' || === 교통량 === ||<-8><#0018A8> [[29번 국도|{{{#FFFFFF '''29'''}}}]]{{{#fff ,}}} [[30번 국도|{{{#FFFFFF '''30번 국도'''}}}]] || || 구간 || 지점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전북]] [[부안군]] - [[정읍시]] ||[[정읍시/행정#s-3.1|신태인읍]] 군포교 || 4,195 || 3,865 || 4,750 || 4,627 || '''5,133''' || ||<-8><#0018A8> [[30번 국도|{{{#FFFFFF '''30번 국도'''}}}]] || || 구간 || 지점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4> [[전북]] [[부안군]] - [[정읍시]] ||[[정읍시/행정#s-3.1|신태인읍]] 양괴교차로 || 5,460 || 4,591 || 4,591* || 5,839 || '''5,839'''* || ||[[태인면]] 원동교차로 || 4,974 || 5,481 || 5,935 || 6,392 || '''6,470''' || ||[[태인면]] 천신1교 || 3,011 || 3,296 || 3,493 || 3,493* || '''3,818''' || ||[[태인면]] 신성교 || 1,472 || 1,448 || 1,448* || 1,945 || '''1,945'''* || * 단위는 대/24시간. 별표는 교통량을 계측하지 않은 해이다. * 일 5,000명 수준의 전반적으로 많지 않은 교통량이지만, [[태인IC]], [[태인면]]으로 가는 [[석지로]]가 분기한 이후의 구간인 천신1교 이후로는 교통량이 3~4천명으로 감소한다. 또 [[정읍대로]]와 분기한 이후의 신성교에서는 아예 천 명 대의 교통량을 유지한다. 매당교차로 이후의 구간은 적어도 왕복 4차로 확장은 불가능할 듯 싶다. [[분류:김제시의 도로]][[분류:29번 국도]][[분류:30번 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