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석수철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쌍방울 레이더스 1차 지명선수)] ---- ||
'''{{{#fff 석수철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000000 [[쌍방울 레이더스|'''{{{#000000 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6번}}}''' || || [[한혁수]][br](1993~1995) || {{{+1 →}}} || '''{{{#ffc81e 석수철[br](1996~1997)}}}''' || {{{+1 →}}} || [[박계원]][br](1998.6.5.~1999.4.15.)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수철_군산상업고.jpg|width=100%]]}}} || ||<-2> '''군산상일고등학교 야구부 No.72''' || ||<-2> '''{{{+2 석수철}}}[br] 昔守澈 | SUK Soo Chul[* [[WBSC]] [[http://www.wbsc.org/ko/tournaments/2017-u18-baseball-world-cup/rosters/team/1323/|공식 등록명]].]''' || ||<|2> '''{{{#fff 출생}}}''' ||[[1973년]] [[4월 25일]] ([age(1973-04-25)]세) || ||[[전라북도]] [[옥구군]] [[옥구읍|옥구면]][* 옥구군 옥구면은 옥구읍으로 승격되었고, 그 뒤에 현재의 옥서면이 옥구읍에서 분리되었다. 옥구군은 [[1995년]]에 군산시로 [[도농복합시|통합]]되었다.] 옥봉리[br](現 [[전라북도]] [[군산시]] [[옥서면]] 옥봉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fff 학력}}}''' ||옥봉초등학교[* 옥봉초등학교를 다니다가 야구를 하기 위해 군산중앙초등학교로 전학을 갔다.] {{{-2 (전학)}}} → 군산중앙초등학교 {{{-2 (졸업)}}}[br]군산중학교 {{{-2 (졸업)}}}[br][[군산상일고등학교 야구부|군산상업고등학교]] {{{-2 (졸업)}}}[br][[성균관대학교 야구부|성균관대학교]] {{{-2 ([[유학과|유학]] / [[학사]])}}} || || '''{{{#fff 포지션}}}''' ||[[3루수]] || || '''{{{#fff 투타}}}''' ||[[우투우타]] || || '''{{{#fff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6년/신인드래프트#s-2|1996년 1차 지명]]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 || '''{{{#fff 소속팀}}}''' ||[[쌍방울 레이더스]] (1996~1997) || || '''{{{#fff 지도자}}}''' ||'''[[성균관대학교 야구부]] 코치 (1999~2011)''' [br] '''[[군산상일고등학교 야구부|군산상업-상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1~)'''[* 2011년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군산상고]]의 부름을 받고 첫 해에 감독대행으로 부임하여 다음 해부터 공식 감독이 되었다.]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코치 (2005) || || '''{{{#fff 본관}}}''' ||[[경주 석씨]]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IE001760278_STD.jpg]] || 前 [[쌍방울 레이더스]]의 3루수이자 현재 군산상일고 야구부의 감독.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군산공항]] 근처 옥봉초를 다니다가 야구에 빠지게 되었는데, 아버지의 권유[* 아버지도 중학생 때까지 야구부에서 활동한 선출이라고 한다.]로 당시 시내에 있는 군산중앙초로 전학을 가게 되어 본격적인 야구를 시작했다. 포지션은 3루수와 유격수를 번갈아 보면서 시작. 군산중학교 진학 이후에도 계속 3루수와 유격수를 번갈아서 보다가, 군산상고로 진학 후 고등학교 2학년부터 본격적인 3루수로 포지션 정착을 하게 된다. 3학년 때 열린 전국체전에서 군산상고가 3위를 거두고, [[성균관대]]로 진학한다. 성균관대학교 시절에는 팀 내에서 강타자로 이름을 많이 알렸다. 하지만, 이런 활약에도 불구하고 당시 성균관대는 대학야구 약체팀이라서 팀은 항상 하위권 성적을 맴돌았다. 팀 성적은 부진했지만 결국 대학교 3학년 시절인 1994년에 국가대표 유니폼을 입게 되어 당시 [[고려대]] 내야수 [[김종국(야구선수)|김종국]]과 국가대표 키스톤 콤비를 이루게 된다. 1995년 4학년 시절에는 일찌감치 [[쌍방울 레이더스]] 지명이 확실시 되는 분위기였고, [[1996 애틀랜타 올림픽/야구|1996 애틀랜타 올림픽]] 예선 무대인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에서 활약하여 애틀랜타 올림픽 본선 진출 티켓을 따내기도 했다. 결국 대학시절의 활약으로, [[한국프로야구/1996년/신인드래프트|1996년 신인드래프트]]에서 계약금 1억 5천만 원, 연봉 2천만 원에 쌍방울 1차 지명 입단이 확정되었다. === 프로 경력 === === 1996 시즌 === 데뷔 첫 해인 1996년 114경기에 출장, 289타수 77안타(0.266)에 2루타 16개, 3루타 1개, 홈런 3개, 32타점을 기록했다. 당시 6월까지는 3할이 넘는 타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김성근]] 감독의 지략과 선수들의 투지 넘치는 플레이로 데뷔 첫 해부터 정규시즌 2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확보한다. 플레이오프에서 쌍방울은 [[전주종합운동장 야구장|전주구장]]에서 열린 홈 1, 2차전을 전부 승리하며 [[한국시리즈]] 진출을 눈앞에 두게 된다.[* 만약 쌍방울이 한국시리즈에 올라왔으면 [[해태 타이거즈]]와 맞붙게 되어 호남더비가 탄생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3차전부터 4차전까지는 [[현대 유니콘스]]의 홈인 [[숭의야구장|도원구장]]에서 진행되었는데, 3차전은 0-3으로 무기력하게 쌍방울이 패하였다. 4차전에서는 8회말까지 2-2로 동점이던 상황에 [[김경기]]가 친 '''3루 쪽으로 굴러오는 평범한 땅볼을 1루 악송구로 실책'''을 범하고 이어진 [[김상국]]의 2타점 3루타로 2-4로 패배하여 결국 5차전까지 가게 되었다. '''또한 이 결정적인 실책 하나로 인해 시리즈의 분위기는 급격히 현대 쪽으로 넘어갔다.''' 역사에는 만약이 없다지만, 이 실책이 아니었다면 쌍방울이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을지도 모르는 일이었다. 5차전에서는 0-2로 팀이 지고 있던 상황에, 5회말 선두타자로 등장해 좌전 안타를 치며 출루했으나 후속타가 터지지 않아 무득점에 그쳤다. 7회말에는 1사 만루 상황의 찬스를 얻었지만 기회를 살리지 못했고, 8회말에는 2사 1,3루 기회에서 1루 주자로 출루했다가 [[정민태]]의 견제로 아웃당하고 결국 [[KBO 리그]] 역사상 최초로 [[리버스 스윕]]으로 패배하며 쌍방울의 한국시리즈 진출은 좌절되었다. 플레이오프 최종성적은 13타수 3안타(2루타 1) 1사구 .231/.286/.308을 기록한다. 그리고 시즌이 끝난 후 신인왕 투표에서 3위를 기록했다.[* 당시 신인왕은 한국프로야구 최초이자 신인으로 30-30을 기록한 동갑내기 친구 [[박재홍(야구)|박재홍]].] === 1997 시즌 === 데뷔 첫 해의 좋은 활약에 힘입어 3,600만 원으로 연봉이 인상되었다. 하지만 갑자기 닥쳐온 고관절 부상으로 결국 개막 엔트리에도 빠지게 된다. 그의 부상으로 쌍방울의 3루수는 노장이었던 [[김성래]], [[한대화]]가 돌아가면서 맡게 되었지만, 노장들의 노쇠화로 인하여 핫코너가 구멍이 되어버려 팀 수비에 문제가 많이 생기게 되었다. 결국 1997 시즌은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하게 되며 시즌을 마감지었다. 복귀를 위해 재활을 계속 하다가 [[대만 프로야구 리그]]의 입단 제안도 받았으나, 당시 대만에 큰 [[지진]]이 발생하여 모든 일이 없던 것으로 되어 입단 취소.[* 당시 2억 원에 계약을 체결한 상태에서 취소가 됐다고 한다.] 결국 이른 나이에 [[은퇴]]를 결정하였고, 프로 최종 경력은 데뷔 첫 해인 1996 시즌이 마지막이 되었다. 그래서인지, '''비운의 선수'''라고 많이 불리게 된다. 프로 입단 후에 아예 뛰지 못한 것도 아니고, 발전 가능성이 엿보일 때 부상으로 아쉽게 은퇴를 했기 때문. 은퇴 후 일자리를 알아보던 중에, [[1999년]]부터 자신이 대학 시절 활약했던 [[성균관대학교 야구부]] 코치로 들어가게 되었다. == 지도자 경력 == 성균관대에서 코치로 새롭게 야구 인생을 시작하며 성균관대를 강팀으로 바꿔놓으며 많은 인재들을 길러냈다.[* 성균관대 감독은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에서 활약하기도 했던 이연수. 쌍방울이 해체하고 은퇴를 선언하여 모교인 성균관대 감독을 2001년부터 현재까지도 맡고 있다. 인터뷰에 따르면, 이연수 감독 밑에서 보고 배운 것이 많다고 전해진다.] 대표적인 선수로는 [[김태완(1984)|김태완]], [[모창민]][* 대학교 시절 활약으로 [[단국대학교|단국대]] [[나지완]]과 함께 대졸 최대어였다.], [[이상훈(1987)|이상훈]][* 프로에서는 그저 그런 성적이었지만, 드래프트 당시에 대졸 타자 최대어였다.], [[정재훈(1980)|정재훈]][* 휘문고 시절까지 유격수로 활약하여 [[OB 베어스]]의 지명을 받게 되었으나, 정재훈 본인은 대학교 진학을 희망했다. 다른 대학교에서는 유격수로 키우겠다고 했는데 성균관대에서는 투수로 기르겠다고 선언하여 결국 정재훈 본인의 선택으로 성균관대에 입학하게 된다. 졸업한 후 [[두산 베어스]]에서 중간계투와 마무리로 큰 활약을 하게 된다.]이 있다. 국가대표 코치로도 선발되어 [[야구 월드컵]], 세계대학야구선수권대회 등 여러 국가대표 대회에서 코치로 차출되기도 했다. 그러던 2011년, 모교인 군산상고의 요청으로 군산상고 감독으로 부임하게 된다. 그가 부임하기 전까지 군산상고는 8년 동안 감독이 7번이나 바뀌며 팀 분위기가 많이 안좋았는데 그가 부임하고 나서 2년 만에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우승과 [[전국체육대회|전국체전]] 우승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해가 갈수록 야구 인재들이 수도권으로 전학을 가면서 인재 유출이 심해졌고, 그런 악조건 속에서도 2016년에 다시 봉황대기 결승에 진출했으나 [[휘문고등학교 야구부|휘문고]]에게 끝내 패하였다.[* 이때 휘문고 선수들의 설레발로 인해 주자가 홈을 밟지도 않았는데 선수들이 다 뛰어나가 축하를 해주다가 3루주자와 벤치의 4번선수가 충돌하며 이걸 본 석수철 감독이 필사의 항의를 하며 3루주자를 아웃처리 시켜 끝내기를 무효로 돌렸다. 아쉽게도 재차 끝내기를 당했지만. [[https://youtu.be/LzZoeZKLHV4|해당 영상]] ] 하지만 그 해 열린 전국체전에서 [[세광고등학교 야구부|세광고]]를 물리치며 2013년 이후 3년 만에 다시 [[전국체육대회|전국체전]] 우승을 일궈냈다. 군산상고 감독으로 부임한 후에도 실력을 인정받아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 등 굵직한 대회에서 국가대표 코치를 맡고 있다. 그러나 [[2018년]] [[7월 4일]], [[영선고등학교 야구부|고창영선고]]와의 [[전국체육대회|전국체전]] 예선전에서 '''[[승부조작]]이 의심되는 졸전 끝에 0-4 참패'''했고, 이로 인해 본선 직행이 불투명해진 [[전주고등학교 야구부]] 측이 [[대한체육회]],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등 유관단체에 조사를 의뢰하면서 지도자 생활 20년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7/14/0200000000AKR20180714040300055.HTML?input=1179m|최대의 위기를 맞기도 했다.]] 2022년 7월 3일 열린 주말리그 후반기 세광고전에서 발생한 판정 시비 건으로 몰수게임 패배가 선언된 뒤 자격 정지 조치를 받아 한동안 감독직을 수행하지 못했다. == 여담 == * 역대 [[KBO 리그]]에 등록 된 선수 중 '''유일한 [[석(성씨)|석씨]]였다.''' [[롯데 자이언츠]]에 [[석상호]] 선수가 등록해서 더 이상 유일한 석씨가 아니게 되었다.[* 그것도 다수를 차지하는 石씨가 아닌 昔씨이다. 昔씨는 [[신라]] [[석탈해]]의 후손으로 2015년 인구조사 기준으로 11,355명 밖에 없는 희귀 성씨. 다만 석상호가 어느 석씨인지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 2011년에 열린 [[레전드 리매치|군산상고 경남고 레전드 리매치]] 때, 군산상고 레전드로 나와서 대타로 출전하여 적시타를 때려내기도 했다. * 프로 구단의 지도자가 되는 것이 최종목표라고 한다. * [[박명환야구TV]]에 [[오상민]]이 출연했을 당시 어느 네티즌이 중학교-고등학교-대학교 선배인 석수철과의 관계를 물었는데 별다른 친분은 없다고 한다. 오상민 왈, 석수철이 오상민을 별로 안 좋아하는 것 같다고... * 고교야구 희대의 끝내기 취소를 이끌어낸 감독이기도 하다. 당시 현장에서 온갖 바디랭귀지를 섞어가며 상대인 휘문고 측이 홈을 밟지 않고 인원들이 튀어나온걸 문제삼은것. [[https://youtu.be/LzZoeZKLHV4|해당 영상]] == 연도별 주요 성적 == * 한국야구위원회 기록실에 표기되는 리그 TOP 10위 이내 기록은 순위가 등재. '''{{{#red,#ff0000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진한 표시'''는 리그 5위내 입상성적. ||<-15>
'''{{{#000000 역대 기록}}}''' || || {{{#ffcc00 연도}}} || {{{#ffcc00 소속팀}}} || {{{#ffcc00 경기수}}} || {{{#ffcc00 타수}}} || {{{#ffcc00 타율}}} || {{{#ffcc00 안타}}} || {{{#ffcc00 2루타}}} || {{{#ffcc00 3루타}}} || {{{#ffcc00 홈런}}} || {{{#ffcc00 타점}}} || {{{#ffcc00 득점}}} || {{{#ffcc00 도루}}} || {{{#ffcc00 4사구}}} || {{{#ffcc00 장타율}}} || {{{#ffcc00 출루율}}} || || 1996 ||<|2>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 114 || 289 || .266 || 77 || 16 || 1 || 3 || 32 || 32 || 4 || 8 || .360 || .310 || || 1997 ||<-13>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 [br] (1시즌) || 114 || 289 || .266 || 77 || 16 || 1 || 3 || 32 || 32 || 4 || 8 || .360 || .310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군산시 출신 인물]][[분류:1973년 출생]][[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쌍방울 레이더스/은퇴, 이적]][[분류:경주 석씨]][[분류:군산상업고등학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야구 선수 자녀]]